던전 크롤/마법봉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00CD64;padding:12px"
{{{+1 이 문서는 DCSS 0.20 개발판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br][br]이 문서에 기재된 정보는 던전 크롤 스톤수프 0.20 개발판 최신 소스를 기준으로 합니다.[br]현재 DCSS 개발판의 최신 소스는 다음 [[1]]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br]가능한 최신 소스를 기준으로 하므로, 웹죽의 업데이트가 느린 경우 아래의 문서의 서술과 웹죽 게임플레이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던전 크롤 스톤수프 게임 정보
종족직업아이템공략 및 팁
마법돌연변이서브던전조작법능력치적성
몬스터네임드랜덤 인카운터능력물리 피해 공식방어력
개발판 변경사항 재생 공식상태이상은밀-암습
※ 문서 내 영어 표기가 없는 부분 추가해 주세요.
스톤수프 아이템 관련 정보
근접 무기 /속성 물약마법봉마법서
원거리 무기 /속성 두루마리잡동사니설명서
방어구 /속성 음식지팡이 
목걸이반지탄환카드
고정 아티팩트 금화
룬 & 조트의 오브

1 개요

파일:DCSSWands.png
마법봉
Wand</td></tr></table>
마법 도구의 일종인 특이한 막대.

마법봉(Wand)은 마법 주문이나 효과가 깃들어 있는 발동 도구(device)다.

v 또는 V키를 누르거나, 인벤토리에 있는 마법봉을 클릭하면 발동할 수 있다. 마법봉을 한 번 발동하면 충전량(charge)이 1 줄어든다. 마법봉은 충전의 두루마리나 파켈라스의 권능을 써서 다시 재충전할 수 있다. 딥 드워프는 자신의 MP를 희생하여 마법봉을 충전할 수 있다.

감정의 두루마리를 쓰거나 발동술 스킬이 높지 않은 한, 일반적으로 마법봉에 남은 충전량이 얼마인지는 알 수 없다. 충전량이 감정되지 않은 마법봉을 사용하면 통상보다 많은 수치가 소모된다(1번 휘둘러도 충전량이 3씩 소모되는 식이다). 때문에 귀중한 마법봉은 꼬박꼬박 감정의 두루마리를 써서 미리 충전량 수를 밝혀두는 편이 좋다. 마법봉을 감정하지 않았더라도 (여태까지 발동한 수 : X) 식으로 지금까지 발동한 수는 꼬박꼬박 기록된다. 파켈라스 신도라면 줍자마자 바로 마법봉 충전량이 감정된다.

마법막대(rod)와 달리 마법봉은 발동하기 위해 손에 장비할 필요가 없다.

전사계열 캐릭터들이 마법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아이템. 충전만 되어 있으면 발동은 100% 성공한다. 다만 발동만 성공하는 거지 빗나가거나 몬스터가 저항할 확률은 별개다.

마법봉의 주문력은

15 + 2.5×발동술</td></tr></table>

으로 판정된다. 27레벨에서는 82.5의 주문력으로 효과가 나간다. 다만 이 주문력은 각 마법봉 주문별 주문력 한계에 제한을 받는다[1]. 몬스터가 마법봉을 휘두를 때는 주문력이 30+HD로 판정된다. 몇몇 몬스터나 네임드는 인벤토리에 마법봉을 가진 채로 생성된다.

0.15 버전 이전에는 마법봉 무게가 개당 10.0aum이었다.
0.16 버전 이전에는 마법봉을 주워도 자동으로 ‘종류’가 감정되지 않았다. 또한 충전량을 모르는 마법봉을 사용해도 충전량이 추가로 소모되진 않았다.

2 종류

.종류</td>최대
충전
</td>
효과</td></tr>
파일:DCSSWandofAcid.png</td>산의 마법봉
Wand of Acid</td>
15</td>산성 공격</td></tr>
파일:DCSSWandofConfusion.png</td>혼란의 마법봉
Wand of Confusion</td>
48</td>혼란</td></tr>
파일:DCSSWandofDigging.png</td>굴착의 마법봉
Wand of Digging</td>
24</td>벽 타일을 뚫는다.</td></tr>
파일:DCSSWandofDisintegration.png</td>분해의 마법봉
Wand of Disintegration</td>
24</td>적 몬스터나 사물을 폭파</td></tr>
파일:DCSSWandofEnslavement.png</td>노예화의 마법봉
Wand of Elslavement</td>
24</td>적을 일시적으로 매혹시켜 동료로 만든다.</td></tr>
파일:DCSSWandofflame.png</td>불꽃의 마법봉
Wand of Flame</td>
48</td>작은 불꽃 발사</td></tr>
파일:DCSSWandofHasting.png</td> 가속의 마법봉
Wand of Hasting</td>
9</td>대상을 가속시킨다.</td></tr>
파일:DCSSWandofHealwounds.png</td>상처 치료의 마법봉
Wand of Heal wounds</td>
9</td>상처 치료.</td></tr>
파일:DCSSWandofIceblast.png</td>얼음폭발의 마법봉
Wand of Iceblast</td>
15</td>지정한 몬스터나 지점을 중심으로 3x3칸에 회피 불가능한 얼음 폭발</td></tr>
파일:DCSSWandofLightning.png</td>번개의 마법봉
Wand of Lightning</td>
15</td>번개 발사</td></tr>
파일:DCSSWandofParalysis.png</td>마비의 마법봉
Wand of Paralysis</td>
24</td>마비</td></tr>
파일:DCSSWandofPolymorph.png</td>변신의 마법봉
Wand of Polymorph</td>
24</td>적을 임의의 몬스터로 변신시킨다.</td></tr>
파일:DCSSWandofRandomeffect.png</td>랜덤 효과의 마법봉
Wand of Random effects</td>
48</td>랜덤 효과 발생.</td></tr>
파일:DCSSWandofSlowing.png</td>감속의 마법봉
Wand of Slowing</td>
48</td>감속</td></tr>
파일:DCSSWandofteleportation.png</td>공간이동의 마법봉
Wand of Teleportation</td>
9</td>타겟을 공간이동시킨다.</td></tr></table>

혼란, 분해, 마비, 변신, 감속 등 디버프 계열 마법봉은 초반에는 공격 마법봉보다 훨씬 유용할 수도 있지만, 후반 가면 대개 버려지는 신세가 된다. 이 마법봉 효과는 적의 MR에 따라 무효화될 수 있는데, 후반 몬스터들은 대개 마저가 +++++이상이거나 아예 마법 면역을 달고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마법 면역(Magic immune) 몬스터는 디버프 마법봉 효과를 아예 무시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분해의 마법봉은 벽에 구멍을 뚫는 용도로 두고두고 쓰인다.

2.1 산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Acid.png산의 마법봉
Wand of Acid</td></tr>
툴팁</td>부식성 산을 발사하는 마법 도구.</td></tr>
효과</td>산성 화살 발사. 관통 효과가 있다.</td></tr>
충전량</td>15</td></tr></table>

0.18 버전에서 불의 마법봉과 냉기의 마법봉을 대신해 새로 등장한 아이템이다. 관통 효과가 있는 산성 화살을 발사한다. 위력은 불/냉기 마법봉과 비슷하다. 적을 부식시킨다. 부식 시 해당 몬스터의 AC는 8 감소한다.

2.2 혼란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Confusion.png혼란의 마법봉
Wand of Confusion</td></tr>
툴팁</td>목표물에게 혼란과 어리둥절함을 유도하는 마법 도구.</td></tr>
효과</td>목표물을 혼란시킨다.</td></tr>
충전량</td>48</td></tr></table>

단일 대상을 혼란시켜, 아무렇게나 이동/공격하게 만든다. 혼란에 걸린 대상은 마법 주문을 외울 수 없고, 특수 능력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혼란에 걸려있는 동안에는 암습 공격에 취약해진다. 그러나 이 효과는 MR에 따라 저항될 수 있다. 다른 상태이상 계열 마법봉이 다 그렇듯, 후반엔 잉여지만 MR이 낮은 적들이 나오는 초중반엔 상당히 유용한 편이다. 혼란에 걸린 적이 일정 확률로 자신을 공격할 수 있다는 점에선 마비의 마법봉보다는 효과가 떨어지지만, 깊은 물이나 용암 타일 주변에서 쓰면 때때로 상대를 한 턴만에 끔살시켜버릴 수 있다. 미니 서브던전인 성채(Bailey)처럼 주위에 깊은 물 타일로 해자가 파여 있고 중심에 오크 기사 같은 몹이 득시글대는 지형에서 특히 유용하다.

일자통로에서 쓰면 혼란에 빠진 적에게 공격받을 확률이 50퍼센트나 된다. 가급적이면 개활지에서 쓰는 편이 좋다.

2.3 굴착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Digging.png굴착의 마법봉
Wand of Digging</td></tr>
툴팁</td>가공되지 않은 바위 벽에 터널을 뚫는 마법 도구.</td></tr>
효과</td>7칸 굴착.</td></tr>
충전량</td>24</td></tr></table>

벽을 뚫어 굴을 만든다. rock 벽만 뚫을 수 있다. 투명하거나 투명하지 않고 여부는 상관이 없다. rock 벽이 아닌 돌 벽(stone wall)이나 강철 벽, 수정 벽, 밀랍 벽, 조각상, ‘비정상적으로 단단한(unnaturally hard)’ 벽은 굴착할 수 없다.

보통 방법으로는 들어갈 수 없는 지형에 출입하거나, 적에게서 도망치는 등등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가장 대중적이고 유용한 사용법은 역시 일자통로를 만들어 적과 일대 일 싸움을 유도하는 것이다.

300px300px
예시 1</td>예시 2</td></tr></table>

개활지에서 적 떼거지와 마주쳤을 때, 굴착의 마법봉(혹은 분해의 마법봉)을 사용하여 벽에 일자통로를 뚫으면 적과 1:1 상황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 적 무리에 관통 주문을 쏘는 마법사, 소환술사, 고통 시전자, 스마이트 공격을 날리는 몬스터가 있다면 마법봉을 대각선으로 두 번 사용해서 예시 2번 같은 지형을 만들어 싸우는 편이 좋다. 적 무리에 저런 몬스터가 없다면 1번 지형으로 충분하다.

예시 2번 같은 지형을 만들면, 한 번에 한 몬스터만이 플레이어 캐릭터를 볼 수 있다. 예시 2번 지형의 장점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단 2번처럼 굴을 파면 1번과는 달리 마법사가 멀리서 쏘는 주문이나 스마이트 공격에 맞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소환술사는 시야 내에 플레이어가 없다면 몬스터를 소환하지 않으므로, 소환 몬스터에게 시달리는 일이 줄어들게 된다. 지옥의 고통 역시 시야 안에 플레이어가 있을 때만 효과가 발휘되므로 멀리 있는 토먼터나 핀드에게 얻어맞는 일이 사라진다. 때문에 플레이어들은 다수 적과 싸울 때 2번 같은 지형을 만들어 싸우곤 한다. 이 때 대개 굴착의 마법봉으로 긴 통로를 뚫고, 그 다음 분해의 마법봉을 한 번 사용하는 식으로 2번 지형을 만든다. 위험한 적과 전투하기 전에는 미리미리 벽에 공사를 해둔 다음 적을 유인해 싸우는 편이 좋다.

다만 이런 지형에서 싸울 때는, 공간이동을 하거나 또 굴착을 하지 않는 한 도망갈 길이 막힌다는 점을 염두에 두는 편이 좋다. 위 지형은 굳이 전투뿐만이 아니라, 상처를 회복하는 사이 숨어있을 장소로도 안성맞춤이다.

포미시드는 종족 특성 상 벽을 굴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포미시드에게도 굴착의 마법봉은 충분히 유용하다. 포미시드가 벽을 한 칸 파려면 1.2턴이 걸리지만, 굴착봉은 1턴에 7칸을 뚫어주어 위급한 상황에서 턴 수를 절약해준다.

0.12 버전 이전에는 몬스터들이 절대 굴착의 마법봉을 사용하지 않았다.
0.14 버전 이전에는 4레벨 대지 마법인 굴착을 시전하면 이 마법봉의 효과를 사용할 수 있었다. 현재 굴착 주문은 삭제되었다.

2.4 분해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Disintegration.png분해의 마법봉
Wand of Disintegration</td></tr>
툴팁</td>모든 물질의 물리적 구조를 분열시킬 수 있는 마법 도구. 단단한 벽은 부술 수 없지만, 화강암 석상까지 산산조각 낼 수 있다. 살덩이 따위는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td></tr>
효과</td>적을 폭파시켜 대미지를 준다. 벽에 사용하면 한 칸을 굴착한다.</td></tr>
충전량</td>24</td></tr></table>

몬스터에게 쓰면 단일 대상에게 무속성 대미지를 입힌다. 분해의 마법봉 효과로 죽으면 그 몬스터의 시체는 산산조각으로 폭발하며 온 사방에 피가 튀기고 살덩어리가 비산한다[2]. 고자그 신도가 사용하면 시체가 폭발한 다음 살덩어리 대신에 금화가 흩뿌려진다.

분해의 마법봉은 회피하거나 방패로 막을 수 없지만, MR에 따라 저항될 수 있다. 그래도 다른 MR 관련 마법봉보다는 저항이 어려운 편이다. MR 기반 효과긴 하지만 초반부터 후반까지 두루두루 쓸만한 편이다. 후반이라도 가고일이나 조각상처럼 ‘암석으로 이루어진’ 몬스터에게 쓰면 째지는 대미지가 나온다.

물체에 쓰면 물체를 분해한다. 벽, 철창(iron grate), 나무, 오크 석상, 대부분의 조각상, 바위(rock)나 슬라임 벽에 쓸 수 있다.

몬스터에게 써도 효과가 괜찮지만 대개는 일자통로를 만드는 데 쓰인다. 일자통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바로 위 ‘굴착의 마법봉’ 항목 참조. 가끔 굴착의 마법봉이 안 나왔을 때 대용으로 쓰기도 한다. 차지 수가 많이 소모되긴 하지만.

  • 이 마법봉으로 오크 석상을 부수면 베오그가 가끔 스마이트를 날린다. 특히 힐 오크가 부쉈다면 더 높은 확률로 꿀밤을 먹인다.
  • 체력은 낮은데 위험도가 높은 보가트[3]나 소냐 같은 몬스터에게 특히 효과적이다. 몇 번만 쓰면 먼지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0.6 버전 이전에는 생명체에겐 아무 효과가 없었다.
0.15 버전 이전에는 오렌지색 수정 조각상이나 은 조각상에 휘두르면 즉시 파괴시킬 수 있었다.

2.5 노예화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Enslavement.png노예화의 마법봉
Wand of Elslavement</td></tr>
툴팁</td>목표물에게 노예적인 복종심을 불러일으키는 마법 도구.</td></tr>
효과</td>적을 매혹시켜 일시적으로 아군으로 만든다.</td></tr>
충전량</td>24</td></tr></table>
파일:DCSSEnslaveexample1.png
매혹된 몬스터</td></tr></table>

적을 매혹시켜 일시적으로 플레이어 편에서 싸우도록 만든다. 만약 몬스터가 이 마법봉을 플레이어에게 사용하면 캐릭터는 혼란 상태에 빠진다. 이 효과는 MR에 따라 저항될 수 있다. 매혹된 몬스터는 우측 위에 하트 표시가 나타난다.

꽤 재밌게 쓸 수 있는 아이템이다. 큰 코볼드, 오크 전사, 오크 기사처럼 쫄따구를 덕지덕지 달고 나오는 몹 상대로 유용하다. 노예화가 성공적으로 걸리면 알아서 주위 잡몹들을 때려잡아주기 시작한다. 초반에 킬러 비에게 쫓길 때도 한 마리를 매혹시켜 미끼로 던져놓고 도망가는 전략이 유효하다. 아니면 일자통로에서 바로 앞에 있는 적을 매혹시켜 길막을 시켜놓고 도주한다거나. MR이 높은 몬스터가 나왔다면(마법사라든가) 그 몬스터에게 사용하기보다는 주위 MR이 낮은 몬스터에게 대신 쓰는 편이 좋다.

t키를 누르면 후퇴/지정한 대상 공격 등 매혹한 몬스터에게 각종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디버프 마법봉이 전부 그러하듯, 이 효과는 MR에 따라 실패할 수 있다. 때문에 초중반에만 쓸 만할 뿐 후반으로 갈수록 효용이 급감한다. 후반 가면 그냥 버리고 \키로 자동 줍기도 끄고 잊어버리는 편이 좋다.

노예화의 마법봉은 일반 D&D 룰과는 달리 언데드나 슬라임 등의 “지성 없는” 몬스터에게도 통한다. 그러나 플레이어 캐릭터가 믿는 신에 따라, 동료로 만들 수 있는 몬스터에 제한이 생기기도 한다. 예를 들자면 :

  • 악하거나 부정한 몬스터는 선신을 싫어한다.
  • 좀비나 시체 계열 몬스터, 시체 훼손 주문을 시전할 수 있는 몬스터는 페다스 마다쉬를 싫어한다.
  • 신성한 몬스터는 악신을 싫어한다.
  • 불결한 몬스터나 혼돈 몬스터는 을 싫어한다.
  • 주문 시전자들은 트로그를 싫어한다.
  • 디스메노스는 신앙 중일때는 불과 관련된 몬스터를 매혹시킬 수 없다.

0.15 버전 이전에는 몬스터는 이 마법봉을 사용할 수 없었다.

2.6 불꽃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flame.png불꽃의 마법봉
Wand of Flame</td></tr>
툴팁</td>조그마한 불꽃을 발사하는 마법 도구.</td></tr>
효과</td>조그마한 불꽃 발사.</td></tr>
충전량</td>48</td></tr></table>

조그마한 불꽃을 발사한다. 이 때 나가는 불꽃은 Throw Flame(2레벨 화염 주문)의 그것이다. 말이 불꽃의 마법봉이지 위력은 나무에 불도 못 붙일 만큼 하찮다. 오히려 나무에 불을 붙일 수 있는 건 번개의 마법봉 쪽이다. 다만 전기뱀장어를 잡을 때는 증기 구름 데미지가 더해져 상당히 강력하다. 아무튼 초반에나 잠시 쓰고 버리는 용도다.

0.16 버전 이전에는 최대 충전량이 24였다.

2.7 가속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Hasting.png가속의 마법봉
Wand of Hasting</td></tr>
툴팁</td>대상의 행동 속도를 빠르게 가속시키는 주문을 발사하는 마법 도구.</td></tr>
효과</td>대상의 행동속도가 33% 빨라진다.</td></tr>
충전량</td>9</td></tr></table>

가속(Haste) 주문을 쓴다. 대상의 모든 행동속도가 33% 빨라진다. 순수 전사, 마법사 등 모든 캐릭터에게 유용하다. 가속 마법을 배우고 안정화시키는데 필요한 경험치 양을 절약시켜준다. 가속 마법을 배운 마전사라도 전투 도중에 MP를 절약시켜주므로 그럭저럭 쓸만하다. 가속 효과를 쓰면 마법 오염이 약간 쌓인다.

물론 포미시드에게는 거의 쓸모없는 아이템이다.

굳이 자신뿐만이 아니라 동료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 베오그 신도가 오크 동료에게 쓰거나, 샤원 신도가 천사에게 쓰는 식으로. 그래도 용량이 9밖에 안 되니까 되도록 아껴 쓰는 편이 좋다.

2.8 상처 치료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Healwounds.png상처 치료의 마법봉
Wand of Heal wounds</td></tr>
툴팁</td>목표물의 상처를 치료하는 마법 도구.</td></tr>
효과</td>10~37 HP 회복
부패한 HP 2-6 회복</td></tr>
충전량</td>9</td></tr></table>

상처 치료 물약과 똑같은 효과다. 계산식도 같다. (9 + 3d28/3). 치료하는 HP 양은 발동술 스킬과 상관없다. 발동술 스킬이 낮다고 해서 HP가 적게 차지도 않고, 발동술 스킬이 높다고 HP가 많이 차지도 않는다. 부패한 HP도 회복한다. 용량은 9칸이다.

바인 스토커를 제외한 모든 종족에게 귀중한 아이템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미라에게 유용하다. 미라는 물약을 마실 수 없기 때문에, 오직 이 마법봉을 통해서만 상처를 신속히 회복할 수 있다. 부패를 회복하는 것은 덤이다. 리치폼 법사에게도 중요한 아이템이다. 리치폼 상태일 때는 물약을 마실 수 없기 때문에 상처 치료를 이 마법봉에 의지해야 한다. 딥 드워프는 자연적으로 재생할 수 없는 대신 아예 게임 시작부터 이 마법봉을 가지고 시작한다. 용량은 5차지.

원래 엘리빌론의 신도는 이 마법봉을 사용해 적을 교화시킬 수 있었으나, 0.16 이후 마법봉을 사용해 적을 교화시킬 수는 없도록 변경되었다.

다른 대부분의 치유 수단처럼, Death's Door가 발동된 동안엔 이 마법봉은 아무 효과가 없다.

0.10 버전 이전에는 치료의 마법봉(Wand of healing)이라는 이름이었다.

2.9 얼음 폭발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Iceblast.png얼음 폭발의 마법봉
Wand of Iceblast</td></tr>
툴팁</td>발동하면 날카롭게 폭발하는 얼음 조각을 발사한다. 냉기에 내성이 있는 적에게도 다소 피해를 줄 수 있다.</td></tr>
효과</td>날카로운 얼음 조각 발사. 맞은 목표 주위에 3x3칸의 얼음 폭발이 일어난다.</td></tr>
충전량</td>15</td></tr></table>

얼음 조각을 발사한다. 투사체가 적에게 닿으면 3x3칸에 냉기 폭발이 일어난다. 이 때 폭발 반경 안에 자신이 들어가 있다면 자신도 피해를 입는다. ‘날카로운’ 얼음 조각을 발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미지 일부가 물리 판정을 받아서 냉기 저항이 있는 몬스터에게도 어느 정도 피해를 줄 수 있다. 화염구 주문처럼 무조건 명중한다. 필중하므로 킬러비나 스프리건처럼 회피가 높은 적 상대로 쓰기 좋다.

2.10 번개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Lightning.png번개의 마법봉
Wand of Lightning</td></tr>
툴팁</td>어마어마한 번개를 발사하는 마법 도구다.</td></tr>
효과</td>번개 화살 발사. 관통 효과가 있으며, 벽에 부딪히면 반사된다.</td></tr>
충전량</td>15</td></tr></table>

공격 마법봉 중에서는 대미지가 가장 강력한 축에 속한다. 관통 효과가 있는 전기 볼트를 발사한다. 이 볼트는 벽에 반사되어 같은 적을 여러 번 때릴 수도 있다. 반사된 전기가 플레이어를 때릴 수 있는 방향으로 조준하면 경고 표시가 뜬다. 마법봉을 쓰고는 싶지만 그냥 쐈다간 반사를 맞을 수 있는 상황에서는 . 키를 대신 사용해서 쏘면 된다. 다만 이 경우 반사 대미지로 인한 2차 타격은 불가능하다.

전기 계열 공격이 다 그러하듯 심각하게 큰 소음을 낸다(t-t로 소리치는 것의 두 배 정도). 때문에 광역으로 어그로를 끌 수 있으니 주의하는 편이 좋다.

사이렌 같은 몬스터에게 매혹(mesm)을 당했을 때, 이 마법봉을 쓰면 상태이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무지막지한 소음 때문에 깜짝 놀라 정신을 차리기 때문.

2.11 마비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Paralysis.png마비의 마법봉
Wand of Paralysis</td></tr>
툴팁</td>목표를 마비시켜 손끝 하나 움직이지 못하게 만드는 마법 도구다.</td></tr>
효과</td>타겟 마비.</td></tr>
충전량</td>24</td></tr></table>

단일 대상을 마비시킨다. 마비된 상태는 아무 행동도 할 수 없으며, 회피가 0이 된다. 또한 마비된 상대는 암습에 취약해진다. 다만 이 마비 효과는 MR에 따라 저항될 수 있다.

발동술 스킬을 조금만 올리면 초중반 내내 굉장히 유용하게 쓰인다. 초중반에 나오는 네임드나 각종 위험한 몬스터들 중에는 MR이 낮은 적들이 상당히 많다(특히 짐승계열 적들). 정면으로 붙으면 발릴 것이 빤한 몬스터라도 마비 한 번이면 손쉽게 정리해버릴 수 있다. 물론 마법 저항이 5단계라거나, 마법에 면역인 적들이 득시글거리는 후반에는 별 쓸모가 없다.

2.12 변신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Polymorph.png변신의 마법봉
Wand of Polymorph</td></tr>
툴팁</td>목표를 다른 모습으로 변신시키는 마법 도구다. 정해진 형체가 없이 변신하는 적에게 특히 효과적이다.</td></tr>
효과</td>타겟 변신.</td></tr>
충전량</td>24</td></tr></table>

대상 몬스터를 영구적으로 변신시킨다. 이 때 대상은 HD가 비슷하거나 살짝 높은 몬스터로 변신한다. 다만 이 때 사악한 몬스터가 중립 몬스터로 변하거나, 신성한 몬스터가 사악한 몹으로 변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몬스터의 악마성/신성(holiness)은 똑같이 유지된다. 언데드에게는 변신이 먹히지 않지만, 악마는 변신시킬 수 있다. 악마를 변신시키면 다른 악마로 변한다.

이 마법봉을 쓰면 몹이 여러 몬스터로 변하긴 하지만 “진짜” 마법사로는 변신하진 않는다. 어떤 몬스터가 브레스 같은 특수능력을 쓰는 용으로 바뀔 수는 있어도, 오크 마법사나 딥 엘프 악마술사 같은 마법사로 변하는 일은 없다[4]. 예외로 네임드 몬스터는 (말할 수 있는 몬스터로 변했다면) 시전할 수 있는 주문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름도 똑같이 유지된다.

몬스터가 플레이어에게 이 마법봉을 사용하면, 플레이어는 일시적으로 박쥐, 버섯, 돼지, 고슴도치, 나무, 위스프, 거미 등의 형태로 변신한다[5]. 드문 확률로 석상폼, 히드라, 용 따위로 변신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안 좋은 쪽으로 변신한다.

진 신도가 이 마법봉을 쓰면 신앙이 깎이고 징벌을 받는다.

아무 약한 몬스터로 변신하는 게 아니라, ‘HD가 비슷하거나 살짝 높은’ 몬스터로 변신시키는 효과기 때문에 대상을 잘못 선정했다간 피볼 수 있다. HD는 낮지만 성가신 몬스터에게 쓰면 전투가 훨씬 쉬워질 수 있지만, 히드라 같은 대상에게 썼다간 폭풍용이 갑툭튀하는 대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

좋은 타겟</td></tr>
전기뱀장어 : 날아다니거나 물에서 사는 다른 몹으로 변한다. 킬러비라거나.
말벌, 독벌(Wasp/hornet) : HD는 낮지만 위험성은 큰 몬스터다. MR도 낮다. 변신시키면 대개 다른 약한 몬스터로 변한다.
보가트, 코볼드 소환술사 등의 HD가 낮은 소환술사 : HD가 낮으면서 자신보다 훨씬 강력한 몬스터들을 떼거지로 불러낸다. 뭘로 변신시키든 대개 원본보단 상대하기 편하다.
보이지 않는 공포 : HD는 비슷하지만 ‘보이는’ 몹으로 변한다.
격노의 나방 : MR이 낮다. 뒤에서 깔짝거리면서 다른 몬스터들을 광폭화시키기 전에 미리 변신시켜주면 좋다.
지그문트 등 좋은 장비를 들고 나오는 네임드 : 다른 인간형 몹으로 변하지 않는 한, 장비가 무용지물이 된다.</td></tr>
나쁜 타겟</td></tr>
히드라 : HD도 높은데 MR도 높다. 도망을 가든지 다른 수단을 강구하는 쪽이 낫다.
데스 야크 : 상동.
유령 나방 : MR이 높고 HD도 높다. 그냥 죽이는 편이 편하다.
가스트로녹 : HD가 20이다. 즉 헬리펀트나 금속 까치(shard shrike), 타이탄, 강철 거인 같은 것으로 변한다. 저런 몬스터들보단 그냥 민달팽이를 상대하는 쪽이 쉬울 것이다.</td></tr></table>

아니면 왜곡의 무기를 들고 있는 몹에 사용하는 것도 괜찮다. 그라인더에게 사용하면 대개 빨간 임프 같은 다른 임프류 잡몹으로 변하지만 종종 지옥의 사냥개 같은 것으로 변하기도 한다.

0.12버전에서 Wand of polymorph other를 대체하여 추가되었다. 이 마법봉이 플레이어에게 사용되면 변신하는 대신 나쁜 돌연변이가 일어났다.
0.13 버전에서는 플레이어에게도 변신 효과가 적용되도록 바뀌었다.

2.13 랜덤 효과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Randomeffect.png랜덤 효과의 마법봉
Wand of Random effects</td></tr>
툴팁</td>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마법 도구다.</td></tr>
효과</td>랜덤 효과 발생.</td></tr>
충전량</td>48</td></tr></table>

발동하면 이하의 효과 중 하나가 나타난다.

공격 효과</td></tr>
불꽃, 얼음, 불, 냉기, 마법의 다트, 화염구, 흡수, 번개</td></tr>
디버프 효과</td></tr>
노예화, 분해, 공간이동, 혼란, 마비, 감속, 변신</td></tr>
버프/기타</td></tr>
가속, 투명화, 굴착</td></tr></table>

상처 치료 효과를 제외한 모든 마법봉 효과가 나간다. 공격 효과가 나갈 확률은 40~50% 정도로 높은 편이지만, 종종 가속이나 투명화를 걸어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확률은 10% 정도다) 다른 안정적인 공격수단이 나오면 버려지는 신세가 된다.

선신을 섬기는데 음에너지 흡수 공격이 발사된다거나, 진을 믿는 중인데 변신 효과가 나간다거나, 체이브리아도스 신도인데 가속을 건다거나, 디스메노스를 신앙하는데 화염 공격을 쐈다간 징벌을 받을 수도 있다. 저 신들을 믿고 있다면 이 마법봉은 가급적 안 쓰는 편이 좋다. 어차피 쓰기 전에 경고 메시지도 나갈 것이다.

굴착의 마법봉이 없다면 이 마법봉을 대용으로 써볼 수도 있다. 확률은 5% 정도에 불과하지만 굴착 효과가 나갈 수도 있다. 물론 뜬금없이 전기가 나가서 반사를 얻어맞을 수도 있으니 주의.

좀은 랜덤 효과의 마법봉을 자신이나 남에게 사용하는 것을 아주아주 즐거워한다(200).

2.14 감속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Slowing.png감속의 마법봉
Wand of Slowing</td></tr>
툴팁</td>목표물의 행동 속도를 느릿느릿하게 만드는 마법 도구다.</td></tr>
효과</td>수 턴간 목표물을 감속시킨다. 행동이 1.5배 느려진다.</td></tr>
충전량</td>48</td></tr></table>

수 턴 동안 목표물을 느려지게 한다. 공격과 이동에 턴을 1.5배 소요하도록 한다. 전투뿐만 아니라 도망에도 유용하다. 다만 타겟이 MR에 따라 저항할 수 있다는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마비의 마법봉보다는 디버프 확률이 높은 편이다. 오우거나 오크 전사처럼, 물리적인 힘은 강력하지만 마법 저항이 낮은 적에게 특히 유용하다.

2.15 공간이동의 마법봉

파일:DCSSWandofteleportation.png공간이동의 마법봉
Wand of Teleportation</td></tr>
툴팁</td>목표물을 임의의 위치로 공간이동시키는 마법 도구다.</td></tr>
효과</td>타겟 공간이동.</td></tr>
충전량</td>9</td></tr></table>

대상을 Tele 상태로 만든다. Tele 상태에 걸리면 몇 턴 후 랜덤한 위치로 공간이동한다. 대개 자신에게 사용하는 용도로, 탈출 수단으로 쓰인다. 두루마리보다 훨씬 안정적인데, 침묵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눈이 흐려지는 돌연변이[6]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이 마법봉은 자주 나오는 편이 아니며, 용량도 9칸밖에 안 된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되도록 공간이동의 두루마리를 사용하고 이 마법봉은 아껴두는 편이 좋다.

대개 몬스터보다는 자신에게 사용한다. 몬스터에게 사용할 수는 있지만, MR에 따라 실패할 확률이 있기 때문에 도주할 의도라면 자신에게 쓰는 쪽이 낫다. 적에게 성공적으로 공간이동을 걸었다면 “약간 불안정해 보인다”라는 메시지가 뜬다. 메시지가 뜬 몇 턴 후 적은 임의의 위치로 공간이동한다.

3 삭제된 아이템

  • 마법 다트의 마법봉(wand of magic dart) : 매직 다트를 발사한다. 실피만 남기고 도주하는 몹 처리용이나 몹 끌어오기 등에 쓰인다. 0.18 버전에서 삭제되었다.
  • 불의 마법봉(wand of fire) : 강한 불꽃을 발사한다. 관통효과가 있다. 0.18 버전에서 삭제되었다.
  • 화염구의 마법봉(wand of fireball) : 적에게 닿으면 반경 1칸에 폭발하는 화염구를 발사한다. 이 범위에 캐릭터가 있으면 캐릭터도 피해를 입는다. 0.18 버전에서 삭제되었다.
  • 냉기의 마법봉(wand of frost) : 약한 얼음꽃을 발사한다. 0.18 버전에서 삭제되었다.
  • 얼음의 마법봉(wand of ice) : 강한 냉기 덩어리를 발사한다. 관통효과가 있다. 0.18 버전에서 삭제되었다.
  • 흡수의 마법봉(wand of draining) : 음에너지를 발사하여 적의 HP와 경험치를 감소시킨다. 자신에게 사용하면 경험치만 감소한다. 0.18 버전에서 삭제되었다.
  • 투명화의 마법봉(wand of invisibility) : 대상을 투명하게 만든다. 0.18 버전에서 삭제되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던전 크롤/아이템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가령 불꽃의 마법봉은 Throw Flame을 쏘는 마법봉인데, 이 Throw Flame은 2레벨 마법이라 주문력 한계가 50밖에 안 된다. 따라서 발동술이 27레벨일 때 불꽃의 마법봉을 쓰면, 27레벨이라 원래는 주문력이 82.5 판정을 받아야 하지만 해당 마법주문의 한계 때문에 주문력 50으로 쏘는 것으로밖에 취급되지 않는다.
  2. 용 몬스터는 시체가 폭발하지 않는다.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
  3. 해당 층에 나오는 몬스터의 환상을 떼거지로 소환한다.
  4. 다만 대부분 악마 몬스터의 주문은 마법이 아니라 ‘능력’ 판정을 받는다는 점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5. 박쥐 15.4%, 버섯 15.4%, 돼지 15.4%, 고슴도치 15.4%, 나무 15.4%, 위스프 15.4%, 거미 3.1%, 얼음짐승 3.1%, 석상 0.77%, 히드라 0.31%, 용 0.15%.
  6. Blurry Vision. 두루마리를 읽는데 훨씬 많은 턴을 소모하며, 두루마리를 읽는 동안 공격에 무방비상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