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북부선

상위 항목 : 동해선,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주의. 현재 운휴중인 구간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현재 운행이 중단된 구간입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이 구간이 폐지될 경우 틀을 교체해주시고, 운행이 재개될 경우 틀을 제거해주시기 바랍니다.

東海北部線 / Donghae Bukbu Line

1 개요


동해북부선은 현재 영업거리표상 제진역감호역을 잇는 동해선의 지선철도 노선이다. 본래는 안변역에서 양양역을 잇던 노선이었고, 해방이 되자 전 구간이 북한에 위치하게 됐다. 휴전선이 놓이자 구고성읍에 가까운 곳까지 남한땅이 됐지만 영업이 정지됐다.

동해북부선의 마지막 기관사[1] 강종구 옹은 남북열차시험운행 당시 초청도 받지 못했다. 애초에 고성군에서는 3명만 초청받았다고. 결국 제진역에서 북측 기관사의 손만 잡고 돌아설 수밖에 없었다. 사망 소식도 전혀 알려지지 않았는데, 2010년 기사에 와병 중이라는 언급이 있은 후 2013년 기사에 이미 사망한 사람이라는 언급이 있다. 경의선의 마지막 기관사인 한준기 옹과는 여러모로 대비되는 안타까운 모습.

2 역사

1929년 9월 11일안변역~흡곡역간을 최초로 개통하였고 그 뒤로 차츰차츰 연장해서 1937년 12월 1일양양역까지 개통하였다.
그러나 13년 후 6.25 전쟁의 발발로 전 구간이 영업을 중지하게 된다.

동해북부선 양양역~초구역 구간은 일단 휴전협정으로 일단락된 1953년 하반기부터 영업을 재개하였다. 물론 이게 서류상 부활일 뿐, 실제로 다른 지역과 연결된 게 아니었다는게 문제지만... 따라서 1953년부터 1967년까지 이 지역에 열차가 운행된 기록은 없다.

당연히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없는 최전방 철도인데다 실제로 열차는 운행을 안 해서 차츰 차츰 이 동네의 철로는 인근 군부대의 자재로 들어가게 되었고, 그에 따라 양양까지의 선로는 차츰 차츰 철거되게 되었다. 북한에서는 휴전선에 가까운 곳은 철거하고 금강산청년선으로 개칭하였다. 그리고 1967년 점점 줄어들다가 마지막으로 서류상으로만 부활해있던 양양 - 낙산사 - 속초 구간 마저 완전 폐선되었다.

당시에는 동해선의 남쪽 구간은 묵호역-삼척역까지가 개통되어 있었고, 전쟁 직후 완공된 영암선(영동선)을 통하여 동해남부선과도 연결되어 있었지만, 양양에서 묵호까지의 거리도 상당하기 때문에 연결 공사가 진행되지 못했다. 다만 조금 남쪽의 동해선 구간은 경포대역(현재는 철거됨)까지 연장하여 강릉시로 연결되게 되었다.

남북협력에 따라 동해북부선을 연결하자는 논의가 진행되어 2007년제진역이 들어서게 되었다. 그러나 강릉에서 제진까지의 거리가 상당하고 중간에 주요 도시가 속초시를 빼고 없다는 점, 동해고속도로 건설 등의 이유로 통일이 되기 전에 건설될 가능성은 낮다.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사업에 따라 강릉역 ~ 제진역 구간도 착공하는 것을 추진중이다.

2016년 4월 29일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동해선의 지선이 되었다.

3 노반 흔적

노반 흔적은 상당히 많이 남아 있다. 일제가 해방 직전까지 공사를 계속하던 노선이라 노반 자체는 거의 다 닦아놓은 상태였고, 이 지역 개발 속도가 늦었던 관계로 꽤 많은 흔적이 남아 있다. 실제로 열차가 운행되었던 고성-양양 구간은 7번 국도로 전용된 구간과 도시화 되어버린 속초 시내 구간을 제외하고는 마을길 등으로 대부분이 남아 있다.

열차가 운행되지 않았던 양양 이남 구간도 모든 구간의 노반은 완성되어서 현재도 상당 구간에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이 구간은 일제가 노반만 닦아 놓고 선로까지 부설하지는 않아서 그런지 대부분 구간이 7번 국도로 사용되어서 흔적이 군데군데 남아 있다. 주문진 이남 구간 일부는 자전거 도로로 사용중이다.

속초에서 양양으로 가는 해안도로에서 강을 건너다 보면 도로교 옆에 철도 교각이 몇 개 남아 있다.

4 역 목록

일러두기(여객, 화물취급)
KKTX 필수정차kKTX 선택정차
RSRT 필수정차rSRT 선택정차
IITX-청춘 필수정차iITX-청춘 선택정차
SITX-새마을/새마을호 필수정차sITX-새마을/새마을호 선택정차
M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m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C통근열차 정차B바다열차 정차
OO-train 정차VV-train 정차
NS-train 정차DDMZ-train 정차
AA-train 정차GG-train 정차
H화물취급여객/화물 미취급
일러두기(역 등급)
관리역보통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신호소
역명여객화물등급분기노선소재지
0.0제 진猪 津강원도 고성군
11.1감 호鑑 湖?금강산청년선강원도 고성군

4.1 옛 동해북부선 역 목록

역명등급분기노선소재지
0.0안 변安 邊경원선[2]강원도 안변군[3]
8.9오 계梧 溪
14.9상 음[4]桑 陰
25.2자 동[5]慈 東강원도 통천군
31.4흡 곡[6]歙 谷
38.0패 천[7]沛 川
47.4송 전[8]松 田
54.3고 저[9]庫 底
61.0통 천[10]通 川
65.1벽 양碧 養
70.2염 성[11]溓 城
75.7두 백[12]荳 白
86.2남 애南 涯강원도 고성군
93.2장 전[13]長 箭
101.0외금강外金剛
109.2삼일포三日浦
111.4고 성[14]高 城
119.9초 구草 邱강원도 고성군[15]
125.9제 진猪 津
135.9현 내縣 內
143.3거 진巨 津
150.7간 성杆 城
157.4공현진公峴津
163.3문 암文 岩
169.2천진리天津里
175.7속 초束 草동서고속화철도강원도 속초시
181.5대 포大 浦
185.2낙산사洛山寺강원도 양양군
192.6양 양襄 陽
도화리[16]桃花里
광정리光丁里
시변리市邊里
임호정臨湖亭
주문진注文津강원도 강릉시
사천진沙川津
  1. 정확히는 동해북부선 기관사들 중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한 기관사다.
  2. 지금은 강원선이다.
  3. 상음역은 당시엔 통천군 소속이었다.
  4. 현 금강산청년선의 상음청년역.
  5. 현 금강산청년선의 동정호역.
  6. 현 금강산청년선의 명고역.
  7. 현 금강산청년선의 금봉강역.
  8. 현 금강산청년선의 시중호역.
  9. 현 금강산청년선의 통천역.
  10. 현 금강산청년선의 통천역이 아닌 동해역. 영동선삼척선동해역과는 동명이역이다.
  11. 현 금강산청년선의 렴성역.
  12. 현 금강산청년선의 두포역.
  13. 현 금강산청년선의 고성역.
  14. 현 동해북부선의 감호역.
  15. 공현진역부터 천진리역 까지는 당시엔 양양군 소속이었다.
  16. 양양역 이남구간은 노반공사까지만 끝내고 선로가 부설되진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