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중국 해군은 급성장 중에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러시아 해군의 힘에는 미치지 못한다. 중국도 해군력 증강을 하고 있지만 러시아도 경제가 살아나면서 해군력 증강에 박차를 가하고 잇다. 중국 해군은 러시아의 2선급 무기를 도입하고 있으며 부족한 부분은 서방 기술과 자체 기술로 보완하고 있다. 아직까지 러시아 잠수함 세력은 강력한 위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에는 키로프급, 슬라바급, 우달로이급 등의 강력한 수상함 전력이 존재한다. 중국의 잠수함들은 러시아에 비하여 매우 구형이며 체급이 몇 단계 작다. 다만 수상함 전력에서 준이지스급 함정과 4,000톤급 이상의 전투함을 다량 건조하는 중국의 해군력은 주목할만 하다.
다만 만약 양국간에 전쟁 발발시 해군력은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할것이다. 두 국가는 서로 영토가 매우 넓게 붙어있기 때문에 양국의 해군이 전쟁에 개입할 여지 자체가 매우 적다. 게다가 양국의 해상전투가 벌어질 곳은 십중팔구 한반도나 일본 열도 근해(특히 남해와 동해)가 될 것이나 해상자위대나 대한민국 해군이 자기네 앞바다에서 벌어지는 난장판을 두고 볼리는 없다.[1] 때문에 중국과 러시아 간에 전쟁이 벌어진다면 해군은 서로간에 견제만 하는 수준이고, 육군과 공군만 동원해서 싸울 가능성이 높다. 러일전쟁 때처럼 러시아가 태평양 함대로 충분치 않다며 유럽 본토의 함대를 차출해 동중국해까지 원정함대를 보낼 가능성은 있겠지만, 사실상 세계일주나 마찬가지라 시일이 너무 오래 걸릴 것이고 중국 해군이 홈그라운드로 원정오는 러시아 함대까지 못 막을 정도로 약체는 아니므로 전황에 별다른 영향을 주기는 힘들것이다.
2.1 주력 수상함 비교[4]
함종[41] | 러시아 해군 | 인민해방군 해군 |
보유 대수 | 추가 주문 | 보유 대수 | 추가 주문 |
8만톤 이상 ~ 9만톤 미만 항공모함 | | 6척[42] | | |
6만톤 이상 ~ 7만톤 미만 항공모함 | 1척[43] | | 1척[44] | |
5만톤 이상 ~ 6만톤 미만 항공모함 | | | | 5척[45] |
2만5천톤 이상 ~ 3만톤 미만 헬기항모 | | | | |
2만톤 이상 ~ 2만5천톤 미만 강습상륙함 | | 2척[46] | | |
1만5천톤 이상 ~ 2만톤 미만 강습상륙함 | | | | |
1만톤 이상 ~ 1만5천톤 미만 강습상륙함 | | | | |
2만톤 이상 ~ 2만5천톤 미만 LPD, LSD | | | 3척[47] | 1척[48] |
1만톤 이상 ~ 1만5천톤 미만 LPD, LSD | | | | |
5천톤 이상 ~ 1만톤 미만 LPD, LSD | | | | |
5천톤 이상 ~ 1만톤 미만 LST | | 6척[49] | | |
3천톤 이상 ~ 5천톤 미만 LST | 16척[50] | | 30척[51] | |
2천톤 이상 ~ 3천톤 미만 LSU, LSM 수송함 | | | 11척[52] | |
1천톤 이상 ~ 2천톤 미만 LSU, LSM 수송함 | | | 12척[53] | |
5백톤 이상 ~ 1천톤 미만 LSU, LSM 수송함 | | | 45척[54] | |
5백톤 이상 ~ 1천톤 미만 LCM, LC 수송함 | | | 100척[55] | |
4백톤 이상 ~ 5백톤 미만 LCM, LC 수송정 | | | | |
3백톤 이상 ~ 4백톤 미만 LCM, LC 수송정 | | | | |
2백톤 이상 ~ 3백톤 미만 LCM, LC 수송정 | 2척[56] | 3척 | | |
1백톤 이상 ~ 2백톤 미만 LCM, LC 수송정 | | | 200척[57] | |
50톤 이상 ~ 1백톤 미만 LCM, LC 수송정 | | | 30척[58] | |
1톤 이상 ~ 50톤 미만 LCM, LC 수송정 | | | | |
50톤 이상 ~ 1백톤 미만 LCVP, LCP 상륙정 | | | | |
5백톤 이상 ~ 6백톤 미만 공기부양정 | 2척[59] | | | |
3 관련 항목
- ↑ 다만 대한민국 해군은 미국과 일본이 빠진 틈을 타서 북한이 무슨 짓을 할 지 모르니 러시아나 중국의 충돌은 자신들을 직접 공격하지 않는 이상 신경쓰지 않을 것이다. 사실 미국 입장에서 한국은 괜히 끌어들이기보단 유사시를 대비해 전력을 보전하도록 놔두는 편이 낫고, 한국도 북한이 끼어들지 않는 이상 웬만해선 공세적으로 나서기 꺼려할 것이다.
- ↑ 러시아 해군정보 참고
- ↑ 중국해군 자료
- ↑ 배수량이나 군함의 등급 기중에 관해서는 해군력, 호위함/비교, 초계함 항목을 참고.
- ↑ 키로프급, 만재 배수량(28,000톤), Volna급 위상배열 레이더를 2기 장비, 1기당 6개의 동시교전 능력을 보유하고 12개의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음, 그러므로 총 12개의 목표와 동시교전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동시에 12개의 목표를 24기의 미사일로 유도하여 타격할 수 있다, 취역 중인 4번함의 경우 개량형의 FLAP LID B계열의 위상배열 레이더 1기가 Volna 1기 대신에 장착되어 있다. 성능은 불명, 30N6E2(FLAP LID B)의 경우 36개의 목표와 동시교전하고 72기의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다고 하나 키로프급에 장착되어 있는지는 알 수 없다.FLAP LID B, 참고로 이지스 시스템은 동시교전 능력 최고 24기다.
- ↑ 키로프급중 초도함인 어드미럴 우샤코프는 너무 녹슬어서 해체 결정 나머지 2척은 개수중이다.
- ↑ 리데르급
- ↑ 055형 구축함
- ↑ 슬라바급, Volna급 위상배열 레이더를 1기 장비, 1기당 6개의 동시교전 능력을 보유하고 12개의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음, 한편으로는 함대방공시스템은 S-300F Rif(NATO 코드 SA-N-6 Grumble)를 탑재하여 12기의 목표와 교전할수 있다는 소스(그냥 6 x 2인지는 알수없음.)도 있다.
- ↑ 프로젝트 21956, 21956는 러시아의 최신기술이 모두 결집되어 탄생한다고 한다., 6척 소스는 영문위키 참조.
- ↑ 란저우급은 루저우급의 신형임, 루저우급은 동시교전 능력 6여개이며 12발을 유도가능함.
- ↑ 카라급 만재 9,900톤, Volna급이 장비된 4번 아조프함은 퇴역하였다. 운용 중인 것은 3번함인 케르치함으로 일반 전투함이다.
- ↑ 우달로이급I 7척(비축 1척), 우달로이급II 1척, 소브레멘니급 4척(비축3척) - 모두 만재 7,900여톤에 달한다.
- ↑ 항저우급
- ↑ 광저우급, 선진급
- ↑ 루후급(Type 052)
- ↑ 카신급-만재 4,390톤(1척), 네우스트라시미급-만재 4,400톤(2척)
- ↑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만재 4,500톤(20척),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만재4,035톤(6척)
- ↑ 장카이급
- ↑ 부레베스트니크급(크리박 I)-3,575톤(3척)
- ↑ 루다급(Type 051)
- ↑ 스테레구시급의 개량형 그레미야쉬치급 Project 20385, 총 30척 계획 - 건조 중
- ↑ 장웨이급, 지앙후급V, IV, II
- ↑ 스테레구시급 2,220톤 /Project 20380(1척 취역)/Project 20381(2척취역)-3척 건조 중.
- ↑ 게파르트급 1,930톤 (2척) 카스피해 소함대에서 운용 중
- ↑ 지앙후급 III, I
- ↑ 그리샤급 1,200톤 - 구형 대함초계함.
- ↑ 이것은 만재배수량이 1,440톤 가량인 중국의 신형 스텔스 콜벳함 장다오급이다.
- ↑ http://en.wikipedia.org/wiki/Type_056_corvette
- ↑ 보라급 만재 1,050톤 - 공격형, 상륙못함.
- ↑ 파르킴급 만재 950톤 - 구형 대함초계함.
- ↑ 부얀-M급 21631형 949톤
- ↑ 나누추카급(만재660톤) 13척
- ↑ 타란툴급(만재540톤) 26척
- ↑ 037 II 식 황(黃 )급 미사일 고속정, (Type 037-II)
- ↑ Type 037-IG Houxin, 478톤
- ↑ 후베이급
- ↑ 부얀급 21630형(550톤)
- ↑ Haiqing-class 대잠초계정(36척), Type 037 대잠초계정(78척)
- ↑ Type 062 class gunboat(100여척), Type 062-I 대잠초계정 (36척)
- ↑ 만재배수량 기준
- ↑ 러시아는 2016년에 항모 건조를 시작하여 2023년까지 4~6척을 건조한다는 계획이다. 배수량은 계획 초기와 달리 80,000톤으로 공개되었으며 함재기는 60대까지 수용 가능하다.
- ↑ 만재 67,500톤,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 ↑ 랴오닝급, 67500톤
- ↑ http://en.wikipedia.org/wiki/Future_Chinese_aircraft_carrier
- ↑ 만재 21,300 톤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 ↑ 유자오급 강습 상륙함
- ↑ http://en.wikipedia.org/wiki/Type_071_amphibious_transport_dock
- ↑ Project 11771 Ivan Gren, 5,500톤
- ↑ 4,700톤 Alligator-class landing ship, Project 11711 (4척)/Project 775 Ropucha I, 만재 4,080톤(12척)/Project 775M Ropucha II 4,080톤(3척)
- ↑ Yukan class (Type 072):7척, Yuting I class (Type 072II) :11척, Yuting II class (Type 072III):12척-추가 건조중
- ↑ Yunshu IV class (Type 073): 2,000톤
- ↑ 만재1850톤: Type 073-III (Yudeng Class)/ 배수량 1100 톤이상 :Yudao II class (Type 073)/ Yubei (LCU): 1200톤 - 10척
- ↑ Yuhai class (Type 074) 만재800톤-20척/Yuliang-Yuling class (Type 079) 만재833톤-25척
- ↑ yupen class (Type 271): 기본 150톤, 만재 600톤
- ↑ Project 21820 Dyugon, 280톤
- ↑ Yunnan class (Type 067): 배수량 135톤
- ↑ Yuch'in class (Type 068): 배수량 58~ 70톤
- ↑ Project 12322 Zubr, 만재 555톤, 주브르급 (2척)
- ↑ 타이푼급, 수상 23,200–24,500톤
- ↑ 델타급III-수상 10,600톤(3척), 보레이급I- 수상14,720톤(2척)
- ↑ 보레이급II- 수상14,720톤(2척)
- ↑ 새로건조되는 96형 탕급이 16,000톤이라는 루머가 있지만 확실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Type 096 submarine
- ↑ 델타급IV-수상 9,210톤(6척)
- ↑ 진급 수상 8,000톤, 수중 11,000톤(5척 건조함), 1척 추가진급 5척 소스
- ↑ 샤급 수상 6,500톤(1척)
- ↑ 오스카급II-수상 12,500~14,700톤(5척)
- ↑ 아쿨라급 I-수상 8,140톤(2척)/ 아쿨라급 I 개량형-수상 8,140톤(4척, 1척 비축)/ 아쿨라급 II-수상 8,470 ~ 8,450톤(2척)/ 야센급I-수상8,600톤
- ↑ 야센급 II(9척 건조 중)
- ↑ 시에라급 II-수상 7,600톤(2척)
- ↑ 시에라급 I-수상 7,200톤(2척)
- ↑ 빅터 III-수상 6,990톤(2척)
- ↑ 상급 수상배수량 4 ~ 5,000톤 4척 확인됨, (상급 추가 2~4척)/ 한급 수상 4,500톤(3척)
- ↑ 골프급, 수상 2,794톤
- ↑ 델타급III-수상 10,600톤, 미니잠수함 모선
- ↑ 델타급IV-수상 9,210톤(1척 비축), 여러가지 테스트 용도의 잠수함, 해양조사, 탐색, 구조 용도, 미니잠수함 모선, 과학실험 장치
- ↑ 텡고급-수상 3,100톤(1척 비축)
- ↑ (2,300 ~ 2,350톤) - 킬로급 877형(14척)/킬로급 877EKM형(1척)/킬로급 877LPMB형(1척)/킬로급 877V형(1척)
- ↑ 킬로급-Project 06363 Improved Kilo(2,300 ~ 2,350톤) 6척 건조중
- ↑ 킬로급 877형(2,300 ~ 2,350톤) 1척비축
- ↑ 킬로급 Project 877EKM(2척), Project 636 Kilo II(10척), 수상배수량 2,300~2,350톤
- ↑ 위안급 디젤 잠수함 7척소스, 수상배수량 1,900톤/송급 Type 039, 수상 배수량 1,992톤 (13척)
- ↑ 라다급-수상1,765톤
- ↑ 라다급 13척 건조계획 출처
- ↑ 밍급(로미오급 개량형), 수상 1,584톤(17척)
- ↑ 사로프급-수상 3,950톤, 신형 무기 테스트와 개발, 실험이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