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국가 vs 국가: 해군력 비교
한국 해군 vs 북한 해군한국 해군 vs 해상자위대한국 해군 vs 중국 해군러시아 해군 vs 해상자위대중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미해군 vs 중국 해군중국 해군 vs 인도 해군러시아 해군 vs 중국 해군미해군 vs 러시아 해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VS해상자위대

파일:ZOEUdaA.jpg

비교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해상자위대
전체 배수량1,352,000 톤451,000 톤[1]

1 개요

파일:Attachment/2013093003826 5.jpg
자료출처: 해군본부가 인용한 제인연감 (2011~12)

중국해군은 1990년대까지 연안해군에 머물렀으나, 2000년대부터 쇼미더머니를 시전하며 엄청난 돈을 뿌리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 이미 해군항공대를 조직하여 항모 보유를 염두에 두기 시작했고, 2000년대부터는 질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010년대 이르러서는 중국해군은 이미 연안해군이라고는 절대로 불러줄 수 없는 대양해군이 되었다.

2010년대 중반 상황에서는 아직 일본에 상당히 뒤쳐지는 게 사실이긴 하다. 육상자위대가 국내 치안 유지와 대게릴라전 빼고는 할 줄 아는 것이 없고, 항공자위대도 주로 보조적인 방어 임무에 특화된 반면 해상자위대는 이전부터 주전력으로 육성되었고 그 전력은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막강한 수준이다. 미국, 한국과 함께 이지스함을 운용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고. 게다가 일본 해자대를 논할때 이지스함만 보느라 빠뜨리기 쉬운 사실이 있는데 그것은 해자대가 이지스함 말고도 방대한 종류의 우수한 방공함들을 다량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이 다른 선진국들이 기함이나 핵심전력으로나 굴릴 이지스함을 수십척 넘게 굴리고 있다면 일본은 다른 신흥공업국들이 기함 혹은 비장의 카드 정도로나 굴릴 5000t 이상급 방공함들을 수십척 굴리고 있다. 미 해군에서 항모빼고 마이너 그레이드 미국이라는 워낙 먼치킨적인 비교대상이 있어서 그런거지 해자대는 방공분야에 한해선 미국과 러시아에 이은 3위 자리를 노려볼수 있을 정도로 세계 순위권에 든다. 따라서 중국 해군은 자국의 최신 방공함인 란저우급루저우급을 충분한 숫자까지 뽑아내기 전에는 일본 해자대에 대해 확실한 우세를 점할 수 없을 것이다.

잠수함 분야에서도 중국은 일본에게 절대적인 양적 우세를 점하고 있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아직 여러모로 개선해야할 점이 많다. 중국의 공격 원자력 잠수함인 한급은 SSN 개발단계에서 나온 과도기적인 함선이라 실전에 쓰기에는 여러모로 곤란한 점이 있고, 재래식 잠수함의 숫적 주력은 구식의 밍급이나 송급인데 이러한 잠수함들로는 해자대의 우수한 대잠망에 도전하기 어렵다. 하지만 상급원급은 최신함이므로 우수한 성능을 갖추어가고 있으며, 중국의 재래식 잠수함 중에도 서방 잠수함과 필적하는 성능으로 평가받는 킬로급이 12척 있어 이것만으로도 일본에 큰 위협이기는 하다.

그러나 예산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중국과 일본의 차이는 이미 일본이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장기적으로는 중국이 우위를 점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중국의 최신 주력함 숫자는 굉장한 속도로 건조되고 있으며 2척의 차기 중형 항공모함이 건조되어가고 있고 3척의 상급 공격형 핵잠수함을 추가로 배치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5척의 중형 항공모함을 건조해 6개의 항모전단을 갖출 계획인지라 향후에는 중국 해군이 질적인 면에서 해자대를 추월하는 쪽으로 잡힐 것이다.

무엇보다 중국 해군은 2010년대에 들어서 항공모함인 랴오닝급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제 레이더는 일본제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고 탐지거리도 짧기에 그간은 색적면에서 중국 해군이 불리한 처지에 있었으나 이제 정찰기나 조기경보기를 띄울수 있는 항공모함을 가지게 되면서 중국 해군도 색적면에서 자위대에 뒤지지 않을뿐더러 함재기가 대함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음을 생각하면 중국 해군은 랴오닝급이 속한 함대에 한해서 해상자위대보다 훨씬 긴 화력투사거리를 확보하게 된다. 그러므로 랴오닝급의 실전배치가 완료되면 현재 중국 해군 전력이라 하더라도 해상자위대가 우세를 장담할 수 없게 될 것이다.[2] 현재까지는 해상자위대가 중국해군보다 우위에 있고, 해상자위대 역시 주력함정이나 잠수함 등을 많이 뽑아내고 있지만 중국해군의 무서운 추격을 볼 때 향후에 중국해군에게 큰 폭으로 따라잡힐 가능성이 크다. 2015년 영국의 군사전문지인 IHS 제인스디펜스위클리(JDW)는 올해 처음으로 중국의 해군 군사력이 일본을 능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미 해군분석센터(CNA) 마이컬 맥더빗(Michael McDevitt) 퇴역 해군소장은 향후 2020년에 중국해군이 세계 2위의 해군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 전망하였다.

2 양국의 대표적인 주력 전투 수상함

국가사진[3]함급배수량(만재)보유 척수이지스 동급 유무VLS기타
일본파일:WJeQ086.jpg아타고급 구축함10,000 톤2 척이지스급/AN/SPY-1D(V5)Mk.41 VLS 64셀x1, 32셀x1AN/SPY-1D를 대한민국과 공동구매
중국파일:EFBqupb.jpg052D형 구축함7,500 톤9 척이지스64셀052C형 구축함의 후속함.
2014년 기준, 진수된 전투수상함 중 가장 강력한 전투수상함 중심, 배수량 순으로 나열함. 단순히 배수량은 크지만 개함방공 능력이 미흡한 전투수상함은 제외한다.[4]

3 2009년 이후 진수한 군함 규모 비교[5].

3.1 2009년 이후 진수한 수상함 비교: 5,000톤 이상

2009년 이후, 중일 양국의 5천톤급 이상 대형함 진수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일본중국
2009년 8월Ise (18DDH)/휴우가급19,000톤
2010년 10월Akizuki/아키즈키급6,800톤长春(Changchun)/Type 052C(란저우급)7,000톤
2010년 11월--井冈山(Jinggang Shan)/유자오급 강습 상륙함20,000톤
2011년 7월--郑州(Zhengzhou)/Type 052C(란저우급)7,000톤
2011년 9월Teruzuki/아키즈키급6,800톤长白山(Changbai Shan)/유자오급 강습 상륙함20,000톤
2011년 12월--济南(Jinan)/Type 052C(란저우급)7,000톤
2012년 6월--西安(Xi'an)/Type 052C(란저우급)7,000톤
2012년 8월Fuyuzuk/아키즈키급6,800톤昆明(Kunming)/Type 052D [6]7,500톤
2012년 9월--랴오닝급 항공모함67,500톤
2012년 10월Suzutsuki/아키즈키급6,800톤
2012년 12월--长沙(Changsha)/Type 052D7,500톤
2013년 7월--合肥(Hefei)/Type 052D7,500톤
2013년 8월DDH-183 Izumo/이즈모급27,000톤
2014년 3월--银川(Yinchuan)/Type 052D7,500톤
2014년 8월--西宁(Xining)/Type 052D7,500톤
2014년 12월--Type 052D7,500톤
2015년 1월--沂蒙山(Yimeng Shan)/유자오급 강습 상륙함20,000톤
2015년 7월--Type 052D7,500톤
만재배수량 총합6 척 73,200 톤 15 척 208,000 톤

3.2 2009년 이후 진수한 수상함 비교: 1,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2009년 이후, 중일 양국의 1천톤급 이상 ~ 5천톤급 미만 중형함 진수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일본중국
2009년 2월없음없음运城/Yuncheng/054A형 호위함(장카이급)[7]4,053 톤
2009년 4월없음없음玉林/Yulin/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2009년 11월없음없음益阳/Yiyang/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2010년 5월없음없음常州/Changzhou/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2010년 8월없음없음烟台/Yantai/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2011년 4월없음없음盐城/Yancheng/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2011년 5월없음없음衡水/Hengshui/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2011년 12월없음없음柳州/Liuzhou/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없음없음临沂/Linyi/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2012년 5월없음없음岳阳/Yueyang/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없음없음岳阳/Yueyang/056형 초계함(장다오급)[8]1,440톤
2012년 6월없음없음惠州/Huizhou/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2년 7월없음없음潍坊/Weifang/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없음없음梅州/Meizhou/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2년 8월없음없음大同/Datong/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없음없음上饶/Shangrao/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없음없음钦州/Qinzhou/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2년 10월없음없음百色/Baise/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2년 11월없음없음|三亚/Sanya/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없음없음营口/Yingkou/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3년 1월없음없음揭阳/Jieyang/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3년 2월없음없음吉安/Ji'an/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3년 4월없음없음扬州/Yangzhou/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2013년 5월없음없음清远/Qingyuan/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3년 6월없음없음泉州/Quanzhou/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3년 7월없음없음泸州/Luzhou/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3년 8월없음없음威海/Weihai/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없음없음抚顺/Fushun/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3년 9월없음없음黄石/Huangshi/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없음없음三门峡/Sanmenxia/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2013년 11월없음없음미정/미정/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없음없음宿迁/Suqian/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없음없음미정/미정/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4년 5월없음없음미정/미정/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4년 6월없음없음미정/미정/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없음없음미정/미정/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2014년 7월없음없음黄冈/Huanggang/054A형 호위함(장카이급)4,053 톤
없음없음미정/미정/056형 초계함(장다오급)1,440톤
만재배수량 총합 0 척 0 톤 38 척 96,528 톤

4 총 전력 비교

4.1 중일 양국의 군함 총합 비교[9]

국가별 군함 단순 총합
순위국가군함 총합(기뢰함 등 포함)4,000톤 이상 전투수상함[10]1,000톤 이상 ~ 4,000톤 미만 전투수상함1,000톤 미만 전투수상함
2위중국52051 61353
17위일본13138 66

4.2 주력 수상함 비교: 구축함, 호위함, 초계함

중일 양국의 1천톤급 이상 주력 수상함 비교 (진수 기준/배수량: 만재기준)
만재배수량일본중국
함급만재배수량수량함급만재배수량수량
10,000톤 이상: 준이지스급 이상이지스아타고급 구축함10,000 톤2 척
6,000톤 이상/10,000톤 미만: 준이지스급 이상이지스급 공고급 구축함9,500 톤4 척준이지스급 쿤밍급 구축함7,500 톤9 척
준이지스급 아키즈키급 구축함6,800 톤4 척준이지스급 란저우급(Type 052C) 구축함7,000 톤6 척
준이지스급 루저우급(Type 051C) 구축함7,100 톤2 척
이지스급, 준이지스급 이상 구분선
6,000톤 이상/10,000톤 미만시라네급 구축함7,500 톤1 척항저우급(소브레멘니급) 구축함7,940 톤4 척
다카나미급 구축함6,300 톤5 척광저우급(Type 052B) 구축함6,500 톤2 척
무라사메급 구축함6,100 톤9 척선전급(Type 051B) 구축함6,100 톤1 척
6,000톤 이상 구분선
4,000톤 이상/6,000톤 미만하타카제급 구축함5,900 톤2 척루후급(Type 052) 구축함5,300 톤2 척
아사기리급 구축함4,900 톤8 척장카이급 II(054A형 호위함) 호위함4,053 톤20 척
하츠유키급 구축함4,000 톤3 척장카이급 I(054형 호위함) 호위함4,300 톤2 척
4,000톤 이상 구분선
1,000톤 이상/4,000톤 미만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2,900 톤6 척루다급(Type 052) 구축함3,670 톤9 척
장웨이급 II(Type 053H3) 호위함2,393 톤10 척
장웨이급 I(Type 053H2G) 호위함2,393 톤4 척
지앙후급 I(Type 053) 호위함1,900 톤8 척
장다오급 I(Type 056) 초계함1,440 톤22 척

4.3 항공모함, 헬기항모, 수송함, 강습상륙함

4.4 잠수함

중일 양국의 잠수함 비교
분류일본중국
함급수중배수량수량함급수중배수량수량
전략 원자력 잠수함---진급 전략원잠1,1000 톤4 척
---샤급 전략원잠7,000 톤1 척
공격 원자력 잠수함---상급 공격원잠7,000 톤5 척
---한급 공격원잠5,500 톤3 척
재래식 잠수함소류급 잠수함4,200 톤5 척킬로급 잠수함3,950 톤12 척
오야시오급 잠수함4,000 톤11 척원급 잠수함3,600 톤13 척
---송급 잠수함2,250 톤13 척
---밍급 잠수함1,830 톤17 척

5 관련 항목

  1. 2012년 9월 26일, 세계일보: 中 양적 우세 압도… 日 작전능력 막강… 韓 연안방어 치중
  2. 일본도 실질적인 항모인 이즈모급을 가지고 있긴 하나 함재기가 없다! 이즈모급에 탑재해야할 F-35B는 해상발진 시험 등을 성공하기는 했지만 아직 거쳐야할 테스트가 한참 남아있는 등 투입 전망마저 불투명하기 때문에 이즈모급의 함재기 탑재 가능성은 2020년대에나 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 업로드한 사진들은 가로사이즈가 300픽셀이다. 사진 업로드 시 참고바람.
  4. 대표적인 예: 페루 해군알미란테 그라우급 순양함.
  5. 지원함 기뢰함 등은 제외함
  6. http://en.wikipedia.org/wiki/Type_052D_destroyer
  7. http://en.wikipedia.org/wiki/Type_054A_frigate
  8. http://en.wikipedia.org/wiki/Type_056_corvette
  9. http://www.globalfirepower.com/navy-ships.asp
  10. 세계 군사력 순위/GFP 기준 해군력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