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몬 막사이사이

(막사이사이에서 넘어옴)
이 항목은 막사이사이로 검색해도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역대 필리핀 대통령
6대7대8대
엘피디오 키리노라몬 막사이사이카를로스 P.가르시아

파일:Attachment/Ramon-Magsaysay-01.jpg

Ramón Magsaysay

1907년 8월 31일 ~ 1957년 3월 17일

1 개요

Ramón del Fierro Magsaysay

필리핀의 영웅.

필리핀의 제7대 대통령이자 사실상 (완전 독립 이후인 제3공화국부터 치면) 제3대 대통령.

(재임 1953년 12월 30일 - 1957년 3월 17일). 청백리로 유명하다.

막사이주가 아니다. 반대말페르디난드 마르코스카더라.

2 생애

1907년 루손섬 리바의 유복한 가톨릭 가정에서 6남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순혈 말레이인 출신으로서는 드문[1] 중류층(아버지가 기술학교 교사)이었다. 하지만 아버지가 1913년 미국인 교장과의 갈등으로 실직한 후로는 어려운 시절을 보내며 고학으로 야간대학을 졸업했다. 1933년에도 버스정비사로 일했으며, 이때 만난 루즈 반존과 결혼했다. 이후 부지런함을 인정받아서 마닐라 운송회사의 총지배인으로도 있었다.

태평양 전쟁 때는 1942년부터 항일 유격대로 활동하기도 했었다.

고향인 삼발레스 주의 군정 장관으로 임명되었다가 1946년 부인의 소개로 정치에 입문해 필리핀 자유당 하원의원, 1950년에는 국방장관이 됐다.

당시 항일 유격대 중 공산주의를 추종했던 '후크발라하프' 그룹(이른바 '후크단')의 토벌 등 우익적인 행보를 이어가며 정부의 정화에 힘썼다. 무엇보다 공산주의 세력의 기반이 될 수 있는 민심을 되찾기 위해 노력했기에 실제로 큰 성공을 거둬냈다. 이때의 별명이 '태평양아이젠하워'. 후크단 지도자 L. 타루크(루이스 타룩)까지 투항시켰을 정도로 유화책에도 놀라운 수완을 보여주었다. 그야말로 당근과 채찍. 기동성과 유연성을 중시한 것도 특징. 하지만 이런 개혁정책으로 견제를 받아 해임되었으며 그 해 선거에 나갔다.

1953년의 대선에서는 국민회의당(Nacionalista Party) 후보로 출마하여, 내가 먹기 전에 국민이 먹어야한다며 자신의 아버지라도 부정을 저지르면 법대로 하겠다는 다케다 신겐 필? 유세로 화제를 모았다. 결국 선거에서 현직 대통령인 엘피디오 키리노를 물리치고 대통령에 당선돼 그 이후로 복지 정책에 노력하였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안보 정책에 협력하였다.[2] 1954년마닐라에서 창설된 동남아시아 조약기구(SEATO)에 가입하였다.

그러나 불과 4년만인 1957년 재선 운동을 위한 지역 순방을 마치고 세부에서 돌아오는 중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하였다.[3] 부통령인 카를로스 P. 가르시아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하지만 가르시아 역시 막사이사이 사후에 일어난 정국 혼란을 수습하지 못 했고 가르시아와 마카파갈 등 그의 뒤를 이은 후임 대통령들 모두가 연임에 실패하고 이후 마르코스 독재 정권이 들어서면서 아시아에서 가장 잘살던 부국이었던 필리핀은 동남아시아의 희망 없는 후진국으로 추락해버린다.

3 평가

그의 집권으로 필리핀은 역사상 가장 최전성기를 맞았고, 그의 죽음으로 필리핀은 몰락했다.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한가?

그의 노력으로 당시 필리핀은 한국까지 원조할 정도로 부자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20여년이 지나자 이번에는 반대로 한국의 원조를 받을 정도로 나라 꼴이 개노답 후진국이 된다. [4]

필리핀에서 국부로 추앙받지만 위에 나온 우익적 행보로 인하여 토지개혁을 요구하던 민중들에 대한 억누르기로 극과 극 반응을 보이고 있다. [5] 물론 현실적 어려움도 있었다. 높은 국민적 지지에도 불구하고 상류층으로 구성된 상, 하원은 그의 정책(특히 토지 개혁)에 협조적이지 않았다.

하지만 막사이사이는 장점이 많은 정치인이었다. 개인적으로 무척 검소했으며 청년시절에는 구두가 닳는 것을 아까워 하여 종이로 신발깔창을 만들어 신고 다녔을 정도이다. 가족이나 친척에 대한 비리를 봐주지 않는 청렴한 인물이었다. 정치의 청렴함은 국가의 발전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막사이사이는 사망 당시 향년 49살에 불과했을 뿐더러, 재선이 가능한 상태였다. 필리핀의 정치적 혼란의 시작은 막사이사이의 죽음과 뒤이은 대통령들의 연이은 재선 실패에서 비롯되는 측면도 있다. 물론, 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막사이사이와 같은 청렴한 인물이 정상적으로 집권에 성공하고 그 뒤에도 '국가의 큰 어른'인 전직 대통령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했다면 적어도 국가 청렴도라는 측면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기여가 있었을 것이다. 마르코스도 시작부터 막장은 아니었으니까...

4 기타

막사이사이의 아시아 평화 정책을 기리는 의미로,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막사이사이상이 제정되어 있다. 한때는 "아시아의 노벨상"이라고 불렸을 정도로 아시아 지역에서는 권위있는 상이었다. 대한민국 국민 중 수상자는 장준하, 김활란[6], 김용기, 이태영, 장기려, 엄대섭, 제정구, 정일우, 김임순, 오웅진, 법륜, 윤혜란, 박원순, 김선태 목사[7] 등.

그의 이름을 놓고 한국에서는 "막 사이사이로 가는 사람."이라는 개그가 있다(...).

그의 아들 라몬 막사이사이 2세와 형제 제나로, 삼촌 비센테, 종손 조셉 또한 정치가로 유명하다.
  1. 필리핀 상류층은 대부분 스페인계 혼혈인
  2. 그는 키리노가 부패하고 공산주의를 자랄 토양을 만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를 후보로 삼아주겠다던 자유당의 제의도 거부했고 자유당을 탈당해 선거를 치렀다.) 일본 하토야마 이치로 총리와 국교회복 조약인 네리-타카자키 협약을 맺은 것도 임기 중.
  3. 비행기 사고의 원인이 비행기뇌물을 많이 실어서 이륙중량 초과가 되어서였다는 소문이 있다. 하지만 추락 시점이 이륙 직후가 아니라 6천피트 상공 순항중이었던 점을 볼때 반대파의 흑색선전으로 생각된다.
  4. 이게 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이멜다 마르코스의 유례 없는 병크 때문이었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5. 다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이념적 견해에서 나온 것. 민중을 억압했으면 야당인 그가 당선될 가능성도 별로 없었다. 미국과 함께 위로부터의 토지개혁을 추진한 자체가 성공 여부와는 별도로 평가받을 만한 일.
  6. 이건 이 상의 흑역사. 교육부문의 상을 받았는데, YWCA와 각종 감리교 계열 학교 이사장으로서 받은 것이다.
  7. 시각장애인이자 실로암안과병원장. 항목의 친일행위자와는 전혀 다른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