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가니즈

(망간에서 넘어옴)
망가니즈
Manganese
원자번호25기호Mn
분류전이 원소상태고체
원자량54.938044밀도7.21 g/cm3
녹는점1246 °C끓는점2061 °C
용융열12.91 kJ/mol증발열221 kJ/mol
원자가4이온화에너지717.3, 1509.0, 3248 kJ/mol
전기음성도1.55전자친화도0 kJ/mol
발견T. O. Bergman (1770)
CAS 등록번호7439-96-5
주기표|<:>족→
주기↓
123456789101112131415161718
1HHe
2LiBeBCNOFNe
3NaMgAlSiPSClAr
4KCaScTiVCrMnFeCoNiCuZnGaGeAsSeBrKr
5RbSrYZrNbMoTcRuRhPdAgCdInSnSbTeIXe
6CsBaHfTaWReOsIrPtAuHgTlPbBiPoAtRn
7FrRaRfDbSgBhHsMtDsRgCnNhFlMcLvTsOg
LaCePrNdPmSmEuGdTbDyHoErTmYbLu
AcThPaUNpPuAmCmBkCfEsFmMdNoLr
범례
원소 분류 (배경색)
알칼리 금속알칼리 토금속란타넘족악티늄족전이 금속전이후 금속
준금속비금속할로젠비활성 기체미분류
상온(298K(25°C), 1기압 )원소 상태 (글자색)
고체 액체 기체 미분류
이탤릭체 : 자연계에 없는 인공원소 또는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원소

{{틀:주기율표/설명문서}}파일:Attachment/Mn-usage.jpg
Manganese.jpg

망가니즈는 회백색의 무른 금속원료로, 지각에 약 0.01% 존재한다. 연망간광이라 불리는 망가니즈 광물은 고대 로마에서 유리 탈색에 이용되었고, 중세연금술사들은 산화제로도 사용했다. 1774년, 스웨덴의 과학자 셸레는 연망간광에 미지의 금속이 들어 있을 거라고 시사했다. 그리고 같은 해, 셸레의 친구 간이 순수한 신원소(망간)의 분리에 성공해, 여기에 '망가네시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마그네슘이 발견되자 두 원소의 이름이 헷갈리게 되기 때문에 '망가니즈'로 개명되었다.

생물체 내에서 2가 양이온으로 존재하고, 생물의 물질대사에 반드시 필요한 무기염류이다. 이게 부족하면 눈 밑이 바르르 떨리는 현상을 겪게 된다. 마그네슘때문이라는 의견도 있고, 둘 다 무관하다는 의견도 있다.
광합성을 하는 생물은 광계Ⅱ에서 물을 산화하는 데에 망간을 사용한다. 망간은 여러 산화수(+2~+5)에서 이온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산소와의 결합을 잘하므로, 을 산화하는 데에 유리하다. 그래서 진화 과정에서 선택되었다고 추정된다.

망가니즈 자체는 아주 무르지만 철의 합금원소로 자주 이용된다. 철 내부에서 내식성과 강도를 해치는 원소인 과 결합하여 MnS를 만들므로 황의 해로운 성질을 경감한다. 또한 녹은 강철을 주조하기 전에 산소를 제거하는 용도로 Si 등과 함께 첨가된다. 망간을 1% 포함한 강철은 강도가 늘어나고, 가공성이나 내식성도 향상된다. 그래서 철도의 레일이나 토목기계, 교도소의 철창 등으로 폭넓게 이용된다. 또, 공업에서 이용되는 망가니즈 화합물로는 이산화망간이나 황산망간이 있다. 이산화망간은 건전지 제조에 이용되며, 황산망간은 금속망간의 제조 등에 쓰인다. 알칼라인 전지에는 망간을 사용하며, 그 외 다른 화합물에서 차이가 난다. 기본적으로 충전이 불가능한 AA/AAA사이즈의 1.5v 전지에는 이산화망간이 들어간다.

그 밖에, 태평양 등의 심해저에는 망간과 망간 외 다른 여러 광물이 뭉쳐진 망간 단괴라 불리는 광물이 많이 가라앉아 있으며 그 총량은 100억 톤 이상으로 추정된다. 장래 금속자원이 부족이 확실하므로 옛날부터 주목받고 있는 미래의 자원. 다만 현재는 심해 채굴기술과 경제성의 부족으로 본격적으로 개발되지는 못하고 있다. 2016년 1월 로봇을 이용한 채굴 기술이 국내 기술로 실험 성공했다고 한다. jtbc 뉴스 영상

대한화학회의 방침에 따라 지금은 망간에서 망가니즈로 바뀌었으나(국립국어원에서 정한 표준어는 여전히 망간이다), 이 단어로 구글에서 검색하면 앞의 두 글자 때문에 성인인증을 요구받는다.

망가니즈로 바뀌기 전 표기인 망간은 과망간산칼륨, 망간단괴, 망간전지 등 어감 때문에 망간 망 망간 간을 쓰는 한자어로 착각하기 쉬웠다. 물론 망간을 뜻하는 한자 錳(맹)이 존재하지만 이는 20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