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선에 있는 동명의 역에 대해서는 연산역(호남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부산 도시철도 | |||||
1호선 | |||||
신평 방면 시 청 | ← 0.9 km | 연 산 (123) | → 1.0 km | 노포 방면 교 대 | |
3호선 | |||||
수영 방면 물만골 | ← 1.1 km | 연 산 (305) | → 0.7 km | 대저 방면 거 제 |
연산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Yeonsan |
한자 | 蓮山 |
일본어 | |
중국어 | 莲山 |
역번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123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305 |
300px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크게보기 | |
300px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지하 1101 (연산동) | |
부산 도시철도 | |
운영기관 | " />?width=100 |
1호선 개업일 | 1985년 7월 19일 |
3호선 개업일 | 2005년 11월 28일 |
蓮山驛 / Yeonsan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하 2층(1호선), 지하 3층(3호선)
- 승강장 형태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ㆍ공통)
- 승강장 횡단여부 : 가능(환승통로 이용ㆍ자세한 사항은 본문 서술)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1 | 중 앙 | ◁ | 연 산 | ▷ | 범어사 |
2 | 중 동 | ◁ | 수영·서면 | ▷ | 감 전 |
3 | 수 영 | ◁ | 연 산 | ▷ | 구 포 |
4 | 동 래 | ▷ | 영산대 |
1 개요
서면역에 버금가는 헬게이트.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23번. 부산 도시철도 3호선 305번.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지하 1101(연산동) 소재. 본래는 연산동역이었으나 2010년 2월 25일에 연산역으로 개명되었다.
2 역 정보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환승역이며 이 역이 위치한 연산교차로는 무려 6갈래의 도로로 나뉘어져 있다. 따라서 1호선, 3호선 모두 엄청난 급곡선을 가지고 있는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상대식 승강장으로만 구성된 지하 환승역으로는 부산에서 유일.[1]
환승역이 되기 전부터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는 몇 안되는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역이자 1, 3호선 둘 다 운전취급역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교대역 방향으로 건넘선과 유치선이,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물만골역 방향으로는 건넘선이 있다. 두 노선의 건넘선들은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다가 운행장애가 발생하면 이 역에서 임시 시종착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실제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기 전 1호선 연산역 이북구간에서의 사상사고와 같은 운행장애가 발생했었을 때 이 역에서 임시로 종착하여 신평역으로 돌아가기도 했었으며 2012년 11월 22일 3호선 물만골역 인근에서 추돌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이 역에서 임시로 종착하기도 했었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에 이어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010년 2월 25일 1, 3호선 모두 "연산동"에서 "연산"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지만 역명 변경 뒤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1호선과 달리 3호선은 선로 쪽 역명판과 역 안내도에 여전히 "연산동"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것은 이웃역인 거제역과 물만골역 선로 쪽 역명판에도 잘 나타난다. 참고로 이들 역명판은 승강장에선 볼 수 없고, 오직 전철 안에서 상대쪽 승강장 사이에 놓인 벽면을 자세히 봐야 볼 수 있다. 바뀌면 수정바람. 강서구에 위치한 역들에도 "연산동"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나 굳이 변경하지 않아도 큰 지장이 없기에 그대로 놔두는걸로 보여진다.
출구가 17번까지 있는데 9, 11, 13, 15번 출구가 없어 출구는 총 13개이다. 17번 출구는 3번과 5번 사이에 새로 생긴 출구로, 다른 지역에서는 부번호(예:3-1번 출구)를 쓰는 게 일반적인데 여기선 17번을 받았다(...).
1호선의 노포행과 3호선의 수영, 대저행 막차는 00:07에 끝난다.
2.1 승강장
2.1.1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시청 ↑ | |||
하 | ㅣ | ㅣ | 상 |
↓ 교대 |
상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서면·부산역·남포·신평 방면 |
하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동래·온천장·부산대·노포 방면 |
2.1.2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물만골 ↑ | |||
하 | ㅣ | ㅣ | 상 |
↓ 거제 |
상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물만골·배산·망미·수영 방면 |
하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미남·덕천·구포·대저 방면 |
3 이용객
부산 도시철도 1호선만 있을 시절에도 위치 특성상 이용객이 많았는데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뚫리면서 본격적인 출퇴근러시 역으로 거듭났다. 연산동 특히 토곡 지역은 대표적인 주거지이기도 하며[2], 동시에 연산역 인근에 직장이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 부산 도시철도 전체에서도 부동의 1위인 서면역 다음으로 하루 이용객이 많은 역이며 당연히 3호선의 5대 승차역[3]의 하나이기도 하다.(3호선 기준으로 승하차는 2위, 혼잡도는 1위) 그러므로 이 역은 항시 복잡하다. 특히 3호선 연산역에서 타고 내릴땐 주위의 공기수송 역들을 본 잔상이 남아서 그런지 더더욱 복잡하게 보인다.[4]
4 환승
환승은 상당히 간단해서 에스컬레이터 한 번 타면 끝나는 개념환승에 속한다. 다만 에스컬레이터가 수요에 비해 비좁은 감이 있어 실제 환승시간은 꽤 걸리는 편이다. 구조 자체는 개념환승인데 다른 의미로의 막장환승이라고나 할까. 더군다나 3호선 승강장이 꽤 깊은 곳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에서 맨 앞에 가던 사람이 뒤로 자빠지는 사고가 몇 번 있었다. 2010년 1월 3일에 한 할머니가 균형을 잃으면서 예배를 보러 가던 노인들이 연달아 에스컬레이터에서 넘어져 부상자가 속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건 이후로 부산 도시철도에 있는 모든 에스컬레이터의 주행 속도를 낮추었다.# 속도를 낮추었음에도 불구하고 2013년 7월 8일 승강장에서 대합실로 나가려는 도중 에스컬레이터에서 실족하여 3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일어났다.# 부산교통공사에 따르면 손잡이를 잡지 않은 채 상행 에스컬레이터를 타던 중 발을 헛디디면서 발생했다고 한다.
게다가 1호선 승강장에서 3호선 승강장으로 들어가는 시작점에 약간 경사진 길이 있다.
5 미디어
드라마 대박인생에서 오대박이 전광판에 나오는 보험회사 광고를 본 곳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6번 출입구와 8번 출입구 사이.
과거 KNN 사옥이 연산동에 있었기 때문에 현장추적 싸이렌은 거의 이 역 근처에서 촬영했었다. 지금은 방송국이 해운대구 센텀시티로 이전했고, 구 KNN 사옥에는 재활의학병원이 입주하였다.
6 트리비아
3호선 대합실 쪽에 부산문화재단에서 시민들에게 자유롭게 연주하도록 기증한 피아노가 한 대 있었다. 한동안 실력 고하를 떠나 시민들이 오다가다 자유롭게 피아노를 두드리는 모습이 마치 진짜 문화도시에 온 듯한 착각까지 불러일으킬 만큼 훈훈한 피아노였는데.... 누구의 터치도 없이 그야말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보니 인근 개독 예수쟁이들의 훌륭한 선교포인트가 되고 말았다(...) 다른 사람들이 연주하지 못 하도록 피아노를 여럿이서 둘러싸고 반주에 맞춰 CCM을 합창하며 선교를 해 대는 식이었는데, 문제는 이 역 구조상 1,3호선 환승 대합실이 계단 하나 없이 +자 모양으로 직교하는 형태이다 보니 이 소리가 1,3호선 대합실 전체를 쩌렁쩌렁 울렸고, 결국 설치 1년도 되지 않아 일부 종교단체 때문이라는 저격성 공지와 함께 피아노가 철거되고 말았다. 하여튼 개독들이 문제야 참…
7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8,434명 | 25,278명 | 23,390명 | 22,105명 | 17,851명 | 16,807명 | 18,987명 | 20,215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1,355명 | 21,638명 | 20,961명 | 21,122명 | 21,387명 | 21,223명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5,398명 | 6,347명 | 7,786명 | 8,088명 | 8,403명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8,858명 | 9,260명 | 9,269명 | 9,685명 | 9,965명 | 10,089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