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부천시 버스 목록
![]() | |||||||
일반좌석 | 700† | ||||||
일반시내 | 3† | 5‡ | 5-3‡ | 5-4‡ | 5-5‡ | 6‡ | 6-2‡ |
7-1‡ | 8‡ | 10† | 11‡ | 12-1‡ | 15‡ | 16‡ | |
19‡ | 20‡ | 23† | 23-1‡ | 23-2‡ | 23-5‡ | 25‡ | |
27‡ | 50‡ | 50-1‡ | 52‡ | 53‡ | 55‡ | 55-1‡ | |
56‡ | 56-1‡ | 57‡ | 57-1‡ | 58‡ | 58-1‡ | 59‡ | |
59-1‡ | 60‡ | 60-1‡ | 66‡ | 70† | 70-2† | 70-3† | |
71† | 75† | 77‡ | 83† | 88† | 88-1† | 95 | |
96‡ | 96-1‡ | 98‡ | 98-1‡ | ||||
마을 | 012 | 013 | 013-1 | 013-2 | 013-3 | 015 | 017 |
017-1 | 021 | 021-1 | 51 | 51-1 | 51-2 | ||
† : 거리비례제 노선 | ‡ : 기본요금제 노선 |
1 노선 정보
부천시 일반시내버스 52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온수남부역) | 종점 | 경기도 부천시 상동(웅진플레이도시)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4:53 |
막차 | 00:26 | 막차 | 00:00 | ||
평일배차 | 7~9분 | 주말배차 | 9분 | ||
운수사명 | 부일교통 | 인가대수 | 16대 | ||
노선 | 온수남부역 - 유한대학교 - 역곡고가 - 역곡북부역 -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입구(성심고가아래) - 멀뫼사거리(소사역) - 부천성모병원, 소명여자고등학교 - 대성병원 - 원미보건소 - 원미고등학교 - 신영증권 - 신중동역, 원미경찰서, 롯데백화점 - 부천시청 - 상동역 - 상일중 → 상동우체국 → 상동중, 상일고 → 웅진플레이도시 → 상일중 → 이후 역순 |
2 개요
부일교통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부일교통이 2005년 9월부터 운행하기 시작한 012-1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며, 이 노선이 생겼을 당시에는 중부경찰서(지금의 원미경찰서)에서 회차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운행 구간 중 대성병원 ~ 원미경찰서 구간은 5-3번과 거의 겹쳤고, 당시 역곡 지역에서 중동 쪽으로 가려면 역곡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부천역으로 가서 버스를 이용하는게 더 빨랐기 때문에 이용객이 상당히 적었다.
다만, 이 노선의 큰 특징이 복개천(지금의 부흥로 부천소방서 ~ 소명삼거리 구간)을 지나가는 것인데, 이 지역은 옛날부터 사람들이 모여 살았던 원미동과 심곡2동 중간에 위치하는데 이 도로로 그 때까지만 해도 버스가 다니지 않았다.[1] 더구나 이 지역에서는 주로 그나마 가까운 원미고등학교로 통학했는데, 이 지역으로 버스가 다니지 않았기 때문에 그냥 걸어다니거나(...) 아니면 원미동에서 3번이나 5-5번을 타고 부천역까지 가서 다시 5-3번으로 갈아타야했기 때문에 상당히 불편했다. 더구나 이 도로 상에 부천시의 종합병원 중 하나인 성가병원(지금의 부천성모병원)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 매우 불편했었다. 그러나 이 노선이 생김으로 인해 그나마 통학 수요, 병원 방문 수요가 있어서 아주 시망수준 까지는 아니었다.
2006년 쯤 부천시에서 대대적인 마을버스 승격 및 전환으로 인해 시내버스로 승격되어 52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으며 노선도 부천시청 회차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승격 당시에도 이용객은 그리 많지 않았다.
2008년 노선을 상동지역까지 연장하면서 이용객이 크게 증가하였다. 위에서 서술한 큰 특징으로 인한 승객의 증가도 있었고, 상동 지역까지 연장함으로서 부천 동부 지역에서 중동 및 상동신도시 중심지를 모두 거치게 되었기 때문. 또한 상동 지역이나 중동신도시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역으로 바로 이어줬기 때문에 이 노선을 이용해 온수역까지 출퇴근하는 승객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었다. 또한 배차간격이 10분으로 칼같이 지켰기 때문에[2] 이에 대한 신뢰도 높아졌다.
4 특징
2012년 서울 지하철 7호선이 부평구청까지 연장 운행함에 따라 52번에도 큰 위기가 닥쳐왔다. 왜냐하면 이 버스의 주력 구간이 신중동역 ~ 상동역 구간이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웅진플레이도시의 활성화와 온수역 착발 지하철이 계속 운행되고 있어 이 버스에 대한 수요는 지금도 꽤 된다.
이 버스는 상동 구간 (상일중학교 ~ 웅진플레이 도시 루프 구간)이 한바퀴 도는 구조라서 순환운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운행하지 않는다. 웅진플레이도시까지 도착하면 운행을 종료하고 다른 차량으로 새로 출발한다. 따라서 이 버스를 타고 한바퀴 돌아 반대방향으로 갈 수 없기 때문에 이용에 주의해야 한다.
부일교통 소속 버스 중에 차급에 제일 좋은 편인데, 좌석형 시트 버스에 최근 신차로 저상버스까지 출고했다.[3]
4.1 기타 사건사고
2014년 7월 1일 오후 8시 57분 경에 출발대기 중이었던 이 버스가 폭발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목격자에 따르면 버스 뒷부분부터 화재가 발생해 이로 인해 폭발로 이어진것. 진화과정에서 2차 폭발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다행히도 이 버스는 출발대기 중이었기 때문에 승객은 없었고, 기사도 당시에 버스에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인명피해는 없었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소사역, 역곡역, 온수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상동역, 부천시청역, 신중동역, 온수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