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버스 3

부천시 시내버스
일반좌석700
일반시내355-35-45-566-2
7-18101112-11516
19202323-123-223-525
275050-152535555-1
5656-15757-15858-159
59-16060-1667070-270-3
717577838888-195
9696-19898-1
마을012013013-1013-2013-3015017
017-1021021-15151-151-2
† : 거리비례제 노선‡ : 기본요금제 노선

[[파일:/data38/2009/4/12/18/%BB%E7%C1%F8_072_xhdrndghk.jpg]]
2009년 초반 모습[1]

750px
현재 모습 출처

1 노선 정보

부천시 일반시내버스 3번
기점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소사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동(김포국제공항)
종점행첫차04:30기점행첫차05:10
막차23:50막차00:10
평일배차13~15분주말배차20분
운수사명소신여객인가대수15대
노선소사공영차고지 - 소사삼거리 - 부천남부역 - 중동역 - 부천북부역 - 소명여고 - 당아래 - 부천종합운동장역 - 오정경찰서 - 원종종합시장 - 오정농협 - 오정초교 - 성진그린타운 - 오쇠동삼거리 - 화물청사 → 방화중 → 롯데몰 → 김포국제공항(국제선) → 한국공항공사 → 김포국제공항(국내선) → 화물청사 → 이후 역순

2 개요

소신여객의 살아있는 역사.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부천시 버스정보시스템에서 복원한 내용(#)에 따르면 이 노선은 무려 1958년 9월에 신설되었다. 이 때는 부천시가 부천군이던 시절이었다. 그런데 왜 1979년인지는 추가바람.
  • 1990년대 후반 및 2000년대 초반에는 운행 도중에 춘의동차고지에서 주유를 하고 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안전상 승객을 모두 하차시켜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그러지 않고 그냥 주유하는 등 말이 많아서 더이상 운행 도중에는 주유하지 않게 되었다.
  • 부천시에서 2000년에 버스정보시스템 도입과 버스 위치추적을 시행하기 전에는 여월동에서 원미동으로 갈 때 부천종합운동장사거리를 거치지 않고 당아래옛길[2]을 통해 바로 원미동으로 진입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 이유는 당시 여월동 지역이 허허벌판이었기 때문에 이 곳에 있는 버스정류장에 승객이 없었기 때문. 그러나 이후 버스정보시스템의 도입으로 각 버스 위치가 추적되면서부터는 이런 식의 운행이 사라졌다.
  • 김포공항 구간은 원래 방화동이 종점이었으며, 김포공항으로 들어가지 않았다. 당시엔 현 71번처럼 '오쇠삼거리 - 외발산사거리 - 공항동천주교회 → 방화중학교 → 개화산역 → 방화1동주민센터 → 공항시장 → 김포공항입구 교차로 → 공항동주민센터 → 공항동천주교회 → 이후 역순' 식으로 회차했다. 김포공항으로 들어가게 된 것은 소신여객이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면서 중간에 가스충전소를 들려야 했는데 서울시에서 거절해서 그렇게되었다카더라. 자세한 사유 아시는 분은 추가바람
  • 이후 큰 변경이 없다가 굴곡이 많다는 2009년에 3번에서 3-1번을 분리신설하였다. 문제의 굴곡 구간은 '소사삼거리 - 부천남부역 - 중동역 - 부천북부역' 구간으로, 소사역 지하차도를 뻔히 냅두고 이렇게 빙 돌아가는게 영 탐탁치 않았던 모양. 이 때문에 해당 굴곡 구간을 3-1번으로 분할하고, 기존 3번 노선은 유지하되 소사역 아래 지하차도를 이용해 바로 원미동으로 이어지게끔 조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두 노선은 사라질 위기에 처할 정도로 승객이 확 줄어들었다. 부천남부역 및 중동[3], 심곡동 쪽에서 이 버스를 이용하던 사람들은 이 노선이 없어져 김포공항 방면으로 바로 갈 수 있는 노선을 잃게 되었고, 이 때 상당한 수요가 50번 버스 등 다른 대체 노선으로 넘어가게 된다. 게다가 분할한 굴곡 구간인 3-1번은 인가 대수가 상당히 적었기 때문에 괴랄한 배차간격으로 인해 맨날 공기수송하는 입장이었고[4], 3번은 본래 경유하던 부천역을 더이상 진입하지 않게 되어 승객이 큰폭으로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존 이 노선을 이용하던 승객들의 반발로 인해 소사역 지하차도를 넘어간 후 부천역 소신여객 본사까지 들어갔다가 나와서 다시 소명여고(원미동) 방향으로 진입하는 괴상한 형태로 운행을 하기까지 이르렀다.
  • 결국 3-1번이 2013년에 폐선되었고, 3번은 김포공항 구간을 제외하면 원래 노선대로 돌아왔다.

4 특징

  • 현재 부천시에서 운행하고 있는 버스 노선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 소사동 및 부천역에서 원미동으로 바로 이어주기 때문에 단거리/장거리 수요가 많다.
  • 1990년대에는 좌석버스 버전인 300번 버스도 존재했으며, 이 노선의 김포공항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550번, 550-1번이라는 별개의 노선까지 소선여객에서 신설할 정도였다. 하지만 IMF가 터지면서 대대적인 노선 개편이 이루어져 300번 버스는 폐선했으며, 550번과 550-1번 노선은 매각되어 50번의 전신이 되었다.
  • 원종동 구간에서 유일하게 오정초교를 경유한다. 이 구간은 노선 신설 당시부터 있던 도로(구 399번 지방도)를 이용한 구간으로, 현재 소사로 중 오정농협사거리~원종IC 6차선 구간은 1990년대 초중반에 신설 개통된 도로이다. 이 도로가 없었을 당시에는 3번뿐만 아니라 70번, 300번, 550번[5] 등도 오정초교 구간으로 다녔다. 오정초교 정류장에 세워져 있는 구형 버스노선 안내판을 보면 3번을 제외하고 과거 다녔던 나머지 노선들이 전부 스티커로 땜질된 것을 볼 수 있다(...).
  • 마마무의 '고향이'라는 노래 가사 및 뮤직비디오에 등장했다. "떠나요 부천역에서 3번 버스를 타고~"[6]
  • 소사동차고지 방면[7] 한정으로 부천북부역 앞에서는 소신여객터미널 건너면 정류장에서 서는 걸로 인가가 났지만, 소사동 방면도 소신여객터미널에서 정차한다.부디 낚이지 말길 그래서 터미널 3번 폼에서 타면 김포공항 방향[8], 5번 폼에서 타면 소사동 방향이다.[9]
  • 예비차 빼고 다 저상버스이다. 당연히 대우저상이지 BS110CN으로 추정된다.BS110CN 맞는데 팬더 12대 크롬 3대(?)[10] 다만 경원-소신 간 계열관계가 유지된 만큼, 저상 에어로시티가 투입될 가능성도 있으니, 더 지켜보자.

5 연계 철도역

  1. 이동 현재 이 차량은 대차되었다.
  2. 이동 여월휴먼시아4단지에서 구 여월정수장 쪽에서 당아래사거리로 우측 방향으로 난 샛길이다. 본래 소사로 도로가 개설되기 전부터 존재한 옛길이다. 지금은 원미동 방향 편도로만 이용할 수 있는 일방통행 도로다.
  3. 이동 중동신도시가 아니라 중동주공아파트(지금의 중동팰리스카운티) 일대를 말한다.
  4. 이동 이 굴곡 구간은 75번과 겹치는 구간인데, 75번 버스는 과거부터 광명, 가산디지털단지 쪽 승객 수요가 많아 굳이 자주 오지 않는 3-1번을 타지 않아도 되었기 때문이다.
  5. 이동 550번의 후신인 50번도 비교적 최근까지 오정초교를 경유하였으나, 3번이 대체 가능하다는 이유로 결국 오정초교 미경유로 직선화되었다.
  6. 이동 덤으로, 3번 버스가 지나는 원미동도 나온다.
  7. 이동 부천북부역→시민회관→중동역→자유시장/부천남부역→소사삼거리→소시체육센터→소사동차고지
  8. 이동 터미널에서 우회전한다.
  9. 이동 터미널에서 좌회전한다.
  10. 이동 이 노선에 있던 크롬저상은 한 12대? 중 2~3대 빼고 다 16이나 7-1로 갔다.
  11. 이동 소명지하차도입구 정류장 하차 후 경인로 서울방면으로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