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부천시 버스 목록
부천시 시내버스 | |||||||
일반좌석 | 700† | ||||||
일반시내 | 3† | 5‡ | 5-3‡ | 5-4‡ | 5-5‡ | 6‡ | 6-2‡ |
7-1‡ | 8‡ | 10† | 11‡ | 12-1‡ | 15‡ | 16‡ | |
19‡ | 20‡ | 23† | 23-1‡ | 23-2‡ | 23-5‡ | 25‡ | |
27‡ | 50‡ | 50-1‡ | 52‡ | 53‡ | 55‡ | 55-1‡ | |
56‡ | 56-1‡ | 57‡ | 57-1‡ | 58‡ | 58-1‡ | 59‡ | |
59-1‡ | 60‡ | 60-1‡ | 66‡ | 70† | 70-2† | 70-3† | |
71† | 75† | 77‡ | 83† | 88† | 88-1† | 95 | |
96‡ | 96-1‡ | 98‡ | 98-1‡ | ||||
마을 | 012 | 013 | 013-1 | 013-2 | 013-3 | 015 | 017 |
017-1 | 021 | 021-1 | 51 | 51-1 | 51-2 | ||
† : 거리비례제 노선 | ‡ : 기본요금제 노선 |
1 노선 정보
부천시 일반시내버스 75번 | |||||
기점 | 경기도 부천시 고강본동(부천공영차고지) | 종점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광명역) | ||
종점행 | 첫차 | 04:0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2:15 | 막차 | 23:45 | ||
평일배차 | 8~11분 | 주말배차 | 13~17분 | ||
운수사명 | 소신여객 | 인가대수 | 27대 | ||
노선 | 부천공영차고지 - 고강동 - 부천종합운동장 - 원미어울마당 - 부천역(북부) - 중동역 - 소림사 - 부천역(남부) - 괴안동 - 역곡역 - 유한대학교 - 개봉역 - 남부순환로 - 가산디지털단지역 - 독산역 - 하안사거리 - 광명시보건소 - 광명시여성회관 - 광명역 - 이하 역순 |
2 개요
본격 부천시, 광명시 관광버스. 구로구, 금천구는 덤이다.
3 역사
1980년대에 춘의동~가리봉동 노선으로 시작했다.
2004년 4월 1일에 광명역 개통에 맞추어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가는 노선을 독산역과 소하동 경유 광명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바꾸고, 동시에 23-3번과 통합되어 기점도 춘의동에서 작동으로 연장하여 원종동, 고강동도 경유하게 되었다.
고강공영차고지가 완공되면서 2011년 11월 26일에 '서림아파트 - 부강아파트 - 코스모주유소 - 신작동사거리 - 작동종점' 구간이 '서림아파트 - 부강아파트 - 고강주유소 - 고강동 - 수주초교 - 고강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다.
2013년 5월 8일부터 6월 1일까지 가산디지털단지 일부 구간을 우회하였다. 관련 트윗 관련 공지사항
4 특징
느낌이 왔겠지만 노선 길이가 매우 후덜덜하다. 기점인 고강동과 종점인 광명역까지의 직선거리만 해도 상당한데, 심곡본동과 소사본동, 괴안동 구간은 경인로 직통이 아니라 동네 한바퀴를 거의 휘젓고 다녀서 택배근성을 가진 인천버스 수준의 굴곡노선으로 운행되기 때문에 실제 운행거리는 더욱 길어진다.[1]
이런 사정으로 버스노선의 대략 끝과 끝이 2시간 정도 걸린다. 예를 들어 고강동~소하3단지를 가려면, 버스타고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을 가서 5개 정거장 후인 7호선 철산역에서 내려 버스를 타면 1시간 10분~1시간 15분 내외가 걸린다. 그냥 75번타고 가면 1시간 45분쯤 걸린다. 버스타고 지하철 환승하고 다시 버스 환승하는 게 훨씬 빠르다는 말.
이런 탓에 전 구간 완주 수요는 사실상 없고, 수요가 부천역, 가산디지털단지역을 기준으로 세 구간으로 쪼개지게 된다. 즉, 세 개의 버스 노선을 하나로 합쳐놨다고 생각하면 좋다. 원미구 지역에서 이용할 경우 중동역을 크게 돌아 나가는 선형상 이걸 타고 서울특별시, 광명시 방향으로 가는 승객은 사실상 없다. 반면 소사구쪽에서는 남부순환로의 정체가 심하지 않을 경우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 소요 시간이 30분이 채 안 되기 때문에 1호선, 7호선으로 환승하여 가는 것보다 더 빠를 때가 많다. 가산디지털단지역 이후 구간의 선형도 대단히 좋은 편이라 부천 시가지 지역에서 광명역으로 갈 때 택할 수 있는 하나의 선택지. 광명 쪽에서는 독산역을 가려는 하안, 소하동 주민들이 애용하는 노선.[2] 또한 광명주민 입장에서는 광명에서 부천 주요시가지까지 가는 사실상 유일한 노선이기도 하다.[3]
은근히 70-2번이나 88번처럼 2~3대가 몰려다니는 일이 꽤 흔하다. 그리고 심심찮게 과속을 하기도 한다. 골목길이라도 예외없다.
한편 일반적인 경기 버스들이 서울시 구간만 놓고 보면 서울 버스에 비해 별 메리트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 버스는 서울 버스의 역할도 어느 정도 해주고 있다.[4] 우선 주택가인 오류동, 온수동 쪽과 직장이 밀집된 가산디지털단지를 환승없이 바로 이어주는 유일한 대중교통 노선이다. 또한 디지털 3단지를 남북으로 단번에 관통하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에 가산디지털단지역과 독산역 사이에 위치하는 많은 빌딩(대표적으로 LG전자 R&D 캠퍼스나 구로세관 등)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마을 버스 역할도 해준다. 휴일에는 이 구간에서 버스 기사들이 레이스를 벌이지만
겨울철 폭설이 내릴 경우, 역곡 남부역-소사역과 부천남부역-신한일전기정류장까지의 노선을 점프한다. 무려 경인로를 88번과 83번과 함께 같이 달린다! 이유는 부안초교,동원주택 정류장 / 부천남중학교 근처의 경사가 매우 심하기 때문. 폭설이 내릴때 저 구간을 다니는 노선의 버스들은 전부 우회한다고 봐도 된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중동역, 부천역[5], 역곡역, 온수역, 오류동역, 개봉역, 가산디지털단지역, 독산역, 광명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온수역, 가산디지털단지역
- 일반 철도역 : 광명역(KTX)
- ↑ 왕복거리가 70.8km이고 소신여객 내 최장거리 노선이다.
- ↑ 하안동 지역을 운행하는 대부분의 광명/서울 버스들은 하안동 구간을 ㄹ자 모양으로 이리저리 휘젓고 다니면서 시간을 허비하는데 비해, 75번만큼은 우체국 사거리에서만 한번 꺾고 독산역과 광명역 사이를 ㄱ자로 바로 운행하기 때문에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 ↑ 부천 마을버스 021번이 있지만 이건 광명 서쪽 끝동네인 옥길동에서 구로구 항동을 거쳐 역곡역과 범박동만 가는거라 부천 시가지까지는 들어가지 않는다.
역곡역에는 부천 시가지 다니는 버스가 많으니 역곡역에서 버스를 갈아타도 된다.그리고 결정적으로 배차가 막장이다 - ↑ 80년대 노선이 개설되었을 당시 소신여객의 다른 아웃부천노선인 71, 72, 72-1, 73번이 서울 노선버스정류장이 아닌 시외버스정류장에 정차했던데 반해, 75번과 화영운수 소속이었던 3번(현재의 삼영 3번과 다른 매화동-옥길동-천왕동-오류동-개봉동-화영운수차고간을 운행하던 노선)은 일반정류장에 정차했었다.
- ↑ 남부, 북부 둘 다 경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