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한인

(사할린 고려인에서 넘어옴)

1 개요

한국어사할린 한인, 사할린 고려인
러시아어Сахалинские корейцы
영어Sakhalin Koreans

과거 일본령 사할린 섬 남부일제에 의해 노무자로 징발당해 끌려간 한국인과 그 후손들을 말한다. 사할린 한국인, 사할린 고려인[1]이라고도 한다.

2 역사

2.1 발단

19세기러시아 연해주로 건너간 조선인 중 일부가 러시아 영토인 사할린 섬 북부로 넘어간 경우가 있었다. 또한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전리품으로 사할린 섬 남부 절반을 차지하고 여기에 화태청(가라후토 청)을 세우자 일본 거주 조선인 중 일부가 사할린으로 건너간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인원은 극소수였다. 이후 1930년대 말부터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일제의 군국주의가 본격적으로 한반도를 휩쓸기 시작하면서 얘기가 시작된다.

일제는 당시 관동군에 자국민인 일본인은 물론, 조선인까지 징집해 닥치는 대로 끌어넣자 이번엔 노동력 부족이 극심해진다. 사할린 지역의 노동력이 부족해지자 일본 정부가 직접 한국인을 대거 사할린 섬으로 강제 징발하면서 본격적인 사할린 한인의 역사가 시작된다. 일본은 이들을 사할린의 탄광, 군수공장 등에서 혹사시켰다.

이러한 한인 노무자 강제 징발은 193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전쟁이 격화되면서 물자와 인력이 부족해지자 징발 형태가 3단계 진화한다.

  • 일반적인 모집(1939년 9월 ~ 1942년 2월)
  • 관에 의한 조직적 알선(1942년 2월 ~ 1944년 9월)
  • 강제징용. 소위 조선인 사냥(1944년 9월 ~ 광복까지)

한편 사할린에서 물자 운반이 힘들자 조선인 노무자 1만명을 다시 일본 본토로 또 끌고 가서 혹사시키는 이중징용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이산가족이 생겼는데, 특히 1944년 8월 ~ 9월에 걸쳐 이중징용된 한인 3,200명의 생사는 아직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

2.2 소련사할린 탈환

1945년 8월 9일, 소련군8월 폭풍 작전이 시작되고, 일본은 엄청난 기세로 남하하는 소련군에게 일방적으로 당하며 만주에서 물러나게 된다. 이런 현시창 상태의 관동군이니 사할린의 미래는 불보듯 뻔한 것이었다. 결국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한 일본은 사할린 남부를 다시 소련에 반환함으로서 일본의 사할린 통치가 종료되고 사할린은 완전히 소련의 영토가 된다. 1945년 9월 2일 시점에서 당시 가라후토, 사할린 남부의 인구는 391,000명이었는데, 이중 일본인이 358,500명, 한인이 23,500명, 아이누, 니브히, 윌타 등 원주민이 대략 1,000명이었다.

1946년, 소련과 미국이 이들 일본인들을 다시 일본으로 추방하기로 합의한다.[2] 이에 따라 사할린의 일본인들은 본국으로 송환되는데, 정작 조선인은 조선이 일본에서 독립했으니 일본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일본 정부가 이들을 방치한다. 부려먹을 대로 부려먹고 책임은 안지는 방치 플레이 쩌네 광복 이후의 혼란으로 대한민국은 이들을 송환할 여력이 없었을 뿐더러, 미군 신탁통치 하의 대한민국은 송환 대상을 광복 이후 일본 국민만으로 한정하는데 합의해 버린다. 그리고 냉전이 시작되면서 공산권과 교류가 수십년간 거의 끊기다시피 했기 때문에 이후에도 송환 협상은 없었다.

2.3 소련 통치 하의 삶

냉전으로 인해 대한민국과 소련은 적대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사할린 한인들은 무관심 속에서 무국적자로 어려운 삶을 살게 된다. 공산권 안에서 북한이 이들을 회유하기도 했지만, 고려인들과 달리 이들은 경상도, 전라도남부 출신이라 대한민국에 연고가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 북한 송환을 거부하였다. 결과적으로 옳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는 소련 국적을 취득하기도 했지만, 대한민국으로 귀환을 바라던 1세대 대부분은 계속 무국적자로 남아 어려운 생활을 이어갔다. 소련 치하 사할린 한인의 인구는 30,000명에 달했는데, 이는 당시 섬 인구의 5%에 해당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사할린한인역사기념사업회 홈페이지를 참조하자.

3 사할린 한인의 정체성

고려인과는 다르다 고려인과는! 일반적으로 구소련권으로 이주한 한인 동포를 일컫는 명칭으로 고려인, 또는 고려사람이 사용되는데, 이들 자신은 스스로를 고려인과 다르다고 말한다. 일제에 의해 강제로 끌려간 한반도 남부 출신 사할린 한인들과 달리, 대륙의 한인들은 러시아 제국극동 지역을 식민화하기 전부터도 한반도에서 넘어가 그곳에 살았거나, 1860년대 이후 아예 러시아 제국에 자발적으로 이주한데다가 출신도 주로 한반도 북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할린 한인의 후손들도 고려인들과 마찬가지로 러시아어가 모어이고, 한국어는 많이 서툴다.

4 귀향

1988년 이후 대한민국과 소련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사할린 한인의 고향 방문이 추진된다. 1990년대 말에는 러시아와 한국, 일본이 사할린 한인 1세대(광복 이전 출생자)의 한국 송환 사업을 시작한다. 2000년에 대규모 사할린 한인 송환이 시작된 이후, 현재 한국에 3,500명이 고향으로 돌아왔다. 상술했다시피 이들은 비자발적으로 끌려갔고 남한 지역에 고향을 둔 경우가 많았기에 귀환을 원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대한민국으로의 송환 사업은 한국과 일본 양국 적십자사의 재정을 운용한다.

5 거주 지역

러시아 사할린 주에 3만여 명이 살고 있으며, 이 중 50%는 유즈노사할린스크에 산다. 러시아 외에 대한민국에 3,500여 명이 귀환했다[3] 한편, 북한을 택한 사람도 있어서 북한에도 1,000여 명이 살고 있다고 한다.[4]

6 사할린 한인 학살

사할린 한인들에 대한 일본의 학살은 미즈호 마을에서 일본인들이 한인 27명을 학살한 사건 외에는 그동안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었는데, 2008년에 러시아 연방보안국 간부가 조선인 학살을 바탕으로 쓴 소설을 출간하면서 일본의 사할린 한인 학살이 추가로 알려졌다.# 2012년에는 일본이 사할린 한인들을 대량학살했을 것이라는 소련 정부 보고서 초안이 공개되었다#

7 관련 항목

  1. 하지만 이들 자신은 스스로를 고려인이라 규정하길 거부한다. 이유는 하단 참조.
  2. 당시 일본은 무조건 항복 이후로 독자적으로 국제무대에서 사실상 국방과 외교를 운용할 수 없었다. 오로지 승전국들의 처분에 따를 뿐...
  3. 주로 안양시에 많이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양을 돌아다니다 가끔 러시아어를 들을 수 있는 것도 이들 때문. 물론 안양시 뿐만 아니라 안산시에도 많이 정착했다. 주로 한대앞역 앞 고향마을에서 거주한다.
  4. 북한 사회에서는 연고지가 이남인 사람들을 박해하기 때문에 이들의 상황은 북한 내에서도 별로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