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계역



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 또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개통했지만 이 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인 역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나무위키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공정이 중단되면 틀:공사중단으로 바꿔 주시고, 공정이 완료되면 틀을 제거해 주십시오.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 방면
당고개

1.2 km
상 계
(410)

1.0 km
오이도 방면
노 원
서울 경전철 동북선
왕십리 방면
은행사거리
상 계
(미개통)
시종착
상계역

다국어 표기
영어Sanggye
한자上溪
중국어上溪
일본어サンゲ
역번
서울 지하철 4호선410
300px
서울 지하철 4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 182
(舊 상계5동 156-203)
서울 지하철
운영기관" />?width=100
4호선 개업일1985년 4월 20일

上溪驛 / Sanggye Station

1 개요

500px
상계역에서 회차하는 GEC쵸퍼의 모습.

500px
상계역 역명판.

서울 지하철 4호선 410번.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 182(舊 상계5동 156-203번지) 소재.

2 역 정보

500px
상계역 역사

서울 지하철 4호선 1차구간인 한성대입구역 ~ 상계역 구간이 개통된 1985년 4월 20일부터 당고개역까지 연장개통된 1993년 4월 21일까지는 시종착역 역할을 맡았다.

승강장은 지상3층에 있으며, 둥그스름한 역 외벽을 새로 고쳤다. 원래 애벌레 같은 둥글고 긴 외벽에 수직 외벽을 덧대였다. 위성사진 등으로 보면 여전히 예전 외벽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승강장끝 부분을 가보면 원형 지붕인 시절의 구조물이 여전히 있으므로 관심있으면 가보자. 상계역에서 30미터도 안떨어진 대호 아파트라는 곳이 새로 생길때, 상계역과 아파트를 육교로 이어버리는 대담한 짓을 했더니 상계벽산아파트가 샘이나서 원래 상계역 육교에 연장해서 자기 아파트에 연결시켜놨다.

2013년 3월 말 당현천 생태화 공사가 완전히 끝나고 개통되었다. 상계역 자체가 당현천 바로 위에 나란히 지어진 고로, 당현천길 시발점 에서부터 삼창아파트 까지는 고가 아래를 지나간다.

게다가 당고개역 방향과 노원역 방향 양쪽에 엄청난 드리프트가 있다! 곡선 반경은 무려 200m 이하여서 탈선 방지용 선로가 붙어 있을 정도이다.

서울시에서는 경전철 동북선을 본래 종착역을 은행사거리로 두다가,상계역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확정했다.이로써 진접,별내쪽 주민들은 서울 진입이 더욱 편리해진 상황.

2.1 승강장

당고개
노원
서울 지하철 4호선당고개 방면
서울 지하철 4호선노원·이촌·사당·평촌·오이도 방면

3 역 주변 정보

인근의 인구는 많지만 이역을 중심으로 1km 반경으로 상권이 분산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노원역이 있고 동쪽에 은행사거리, 북쪽에 당고개역 상권이 있다. 역 한정거장 거리. 때문에 상계역 주변의 상권은 작으나, 노원역에 비하면 작지만 어느정도 상권이 형성되어 있긴 하다. 전형적인 동네 상권 분위기지만 웬만한 가게는 다 있다. 역 바로 옆에 서점도 있고, 역 동쪽에 먹자골목이 형성돼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 롯데리아가 유일하게 상계역 바로 앞에 입점하였으나 폐점. 2012년경에 상계역 5분 거리에 롯데리아가 다시 생겼다.

상계 주변에 있는 학교로는 재현고가 유명하다. 한 해에 서울대 8명을 합격 시키면서 강북 일반고의 위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상계동 비둘기들의 주 거주지역으로 유명하다. 역 특성상 굴다리 지형이 형성되어 굴다리 틈새들 사이로 엄청난 양의 비둘기 거주지가 형성되어 있다. 실제로 상계역 굴다리 밑으로 가보면 엄청난 양의 비둘기똥이 존재한다. 역 굴다리 밑을 지나는 보도블럭이나 도로가 하얗게 될 정도. 굴다리 밑에 자전거라도 세워놨다면 답도 없다. 상계역 인근 토박이 주민들 중엔 상계역 굴다리를 지나다가 비둘기똥 안맞아본 사람이 없을 정도.

그리고, 상계역 이니까 상계동에 볼 일 있으면 여기로 가면 되겠지... 라고 생각하면 곤란해지니 주의하자.,[1] 사실 상계역은 상계동의 동북쪽 외곽에 위치한 역이라 중심가와는 상당히 떨어져 있다. 상계역과 당고개역의 경우 산 밑에 있는 역이라 서울, 노원구, 상계동 시가지의 거의 끄트머리에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게다가 상계동은 상계 10동까지 있는 초거대 동이라서 중심가와의 거리가 썩 가깝지도 않다. 특히, 시골에 사시는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이 본인의 치료나 친지 문병등으로 상계백병원에 오는 경우, 서울역에서 내려서 그냥 4호선 타고 상계역 가면 되겠지... 하고 오시다가 쩔쩔매시는 경우도 제법 흔하다. 더구나 상계백병원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 하필 중계역이라 기껏 설명해 드려도 당황하시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상계역에서 백병원까지 1139번을 타고 가면 15분이 걸린다. 상계동의 교통중심은 환승지옥 노원역이고, 상계역의 경우 가야 하는 곳이 확실히 상계역 주변이 아닌 이상 갈 일이 별로 없는 역이다.

  • 수락산 - 당고개 방면으로 바라봤을때 왼쪽에 보이는 산이다. 지역 주민들은 잘 찾아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락산 진입이 어려우므로 7호선 수락산역에서 하차해서 진입하는게 이롭다.
  • 불암산 - 당고개 방면으로 바라봤을때 오른쪽에 보이는 산이다, 재현중·고등학교 가는방면으로 가면 등산로가 보인다. 원체 이 학교가 산 중턱에 있는 학교인지라. 근데 당고개역에서 내려서 접근하는 분들도 많다.
  • 재현중·고등학교 - 시가지가 아닌 산 중턱에 자리잡기 때문에 고저차가 상당하고, 특히 중학교의 경우에는 등산을 한다고 보면 된다. 인근 학교보다 엄청난 크기의 운동장을 자랑한다. 중·고등학교 운동장이 3개씩이나 된다고. 학교 운동장 1개씩과 나머지 하나는 놀랍게도 국제 규격 인조잔디구장. 중학교 운동장 하나는 운동장이라고 하기에 너무 작지 않나 싶다.
  • 상계제일중학교 - 2000년까지 상계여자중학교였다.
  • 미래산업고등학교 - 2002년까지 상명공업고등학교였다.
  • 계상초등학교
  • 중계초등학교
  • 삿갓봉 근린공원
  • 상계중앙시장 - 상계역에서 내려 노원역 방향으로 약 330미터를 걸으면 된다.
  • 당현천
  • 은행사거리 학원가 - 서울 버스 1140, 1142, 1224번으로 조금 가야 한다. 걸어서 가려면 15분 정도 소요.
  • 상계역 자전거 대여소 - 하루 1000원, 1년 1만원 당현천길로 바로 접근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3.1 상계동의 판자촌

상계동 일대는 1980년대 대규모 철거가 이루어진 곳이다. 1988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소위 '환경정화'를 위해 이 지역의 빈민가를 쓸어버린 것이다. 그리고 이 일대에 대규모의 아파트촌이 들어서서 오늘날과 같은 상계동의 모습을 갖추었다. 상계동은 특히 철거 후에도 개발 진행이 지지부진했던 다른 빈민가와는 달리 말 그대로 싹 밀어버리고 아파트촌을 건설한 덕분에 과거 달동네의 역사를 기억하는 이들이 많지 않다. 아직 약간 남긴 했는데 중계본동 흥안운수 차고지 근처의 백사(104)마을, 당고개역 동쪽 지역에 달동네가 남아 있긴 하다. 특히 백사마을은 1967년부터 서울시 철거민들이 몰려와서 형성된 지역으로, 서울 최후의 달동네로 많이 소개된 곳이기도 하다. 당고개 지역도 최소 1970년대부터 형성된 유서 깊은 지역이다.

이 시기 빈민가에서 이루어진 무리한 철거 집행은 당장 도시 미관을 개선하는데는 도움이 되었지만 하층민들에게 반감을 샀고, 그것이 그대로 폭발하여 1993년 전국철거민연합이라는 괴물을 탄생시키고 말았다.

파일:Attachment/an excerpt from the film sanggyedong olympic.jpg

사실, 1960~1970년대 달동네(또는 판자촌)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청계천이나 신림 난곡지역의 철거 이슈에 비해 상계동 달동네 철거는 살기 너무 안 좋은 곳으로 악명이 높다. 이곳은 철거가 남의 일이 아니었던 1960~1970년대의 상황에 비해 1980년대 중후반쯤 되면 사회 전반적으로 경제성장을 이루었다는 자신감이 팽배했던 덕분에 판자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줄었기 때문. 1970년대의 대규모 달동네 철거 이후 해당 지역에서 쫒겨난 거주자들이 유입되어 형성된 소규모 달동네들은 이런 사회적 무관심과 분할되어 작아진 규모 때문에 빈번히 강제 철거를 당했고, 그러면서도 사회적 관심을 제대로 받지도 못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특히 난곡과 상계동이 그렇다.

김동원 감독은 이 시기 철거민들의 모습을 그대로 담은 30분 가량의 다큐멘터리 영화 <상계동 올림픽>을 찍었는데, 이 작품은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사에 남을 작품으로 기억되고 있다.

4 타 교통수단 환승

출구승차위치다음정류장운행노선
1번출구상계역(11-515)[2]상계3동 파출소서울 버스 노원01
영신약국서울 버스 노원11
상계역(11-391)불암대림아파트서울 버스 1138, 서울 버스 1139, 서울 버스 1224
2번출구벽산아파트103동(11-243)상신교회서울 버스 1137, 서울 버스 1143, 서울 버스 노원05
상계역(11-233)상계중앙시장입구서울 버스 1137
상계동주유소서울 버스 1143
3번출구상계벽산아파트(11-240)상계중앙시장입구서울 버스 1138
상계동주유소서울 버스 1139
상계역(11-392)서울 버스 1224[3]
4번출구상계역(11-393)상계동주유소서울 버스 1140
상계중앙시장입구서울 버스 1142
상계역(11-391)서울 버스 1224[4]
상계역(11-392)중계주공3단지서울 버스 1140, 서울 버스 1142, 서울 버스 1224
  • 역 동쪽 길에 택시 대열이 있다.
  • 당현천 복개공사로 인해 환승 주차장은 없다.

5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4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30,138명29,034명28,409명27,281명26,458명25,502명24,927명24,309명23,900명23,804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23,767명23,751명23,481명23,513명23,347명22,887명
  1. 심지어 1,4번출구로 나오면 중계4동이다.
  2. 줄 서는 곳이 분리되어 있다.
  3. 당고개역 방향에서 내려오다가 상계역 사거리에서 좌회전해서 은행사거리 방향으로 간다. 은행사거리 방향으로 가는 경우 이 쪽 출구가 가깝다. 하지만 상계역(11-392) 정류장에서는 3가지 노선이 은행사거리로 간다.
  4. 상계역(11-391) 정류장보다 이쪽이 상계역에 진입하는데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