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선 | |||||
용산 방면 용 산 | ← 1.9 ㎞ | 이 촌 | → 1.7 ㎞ | 백마고지 방면 서빙고 | |
용산삼각선 | |||||
노량진 방면 노량진 | ← 3.4 ㎞ | 이 촌 | 시종점 | ||
수도권 전철 | |||||
4호선 | |||||
당고개 방면 신용산 | ← 1.3 ㎞ | 이 촌 국립중앙박물관 (430) | → 2.7 ㎞ | 오이도 방면 동 작 | |
경의·중앙선 | |||||
문산 방면 용 산 | ← 1.9 ㎞ | 이 촌 (K111) | → 1.7 ㎞ | 용문 방면 서빙고 | |
경의·중앙선 (용산-용문 급행) | |||||
문산 방면 용 산 | ← 1.9 ㎞ | 이 촌 | → 5.2 ㎞ | 용문 방면 옥 수 |
二村(國立中央博物館)驛 / Ichon(National Museum of Korea) Station
이촌(국립중앙박물관)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Ichon (National Museum of Korea) |
한자 | 二村(國立中央博物館) |
중국어 | 二村 |
일본어 | イチョン |
역번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K111 |
서울 지하철 4호선 | 430 |
300px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서울 지하철 4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이촌역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71길 42 (舊 이촌동 301-80) |
서울 지하철 4호선 이촌(국립중앙박물관)역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지하 83 (舊 용산동5가 17-112) |
서울 지하철 | |
운영기관 | 서울메트로 |
4호선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
수도권 전철 | |
운영기관 | 코레일 |
중앙선 개업일 | 1978년 12월 9일 |
통근급행 개업일 | 2009년 12월 23일 |
경의·중앙선 개업일 | 2014년 12월 27일 |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서울본부 |
경원선 개업일 | 1911년 10월 15일 |
역등급 | 무배치간이역 |
1 개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111번.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71길 42(舊 이촌동 301-80번지) 소재.
서울 지하철 4호선 430번.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지하 83(舊 용산동5가 17-112번지) 소재.
2 역 정보
420px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이촌역사
경원선의 역이자 용산삼각선의 분기역이며 경의·중앙선과 4호선 환승역으로 두 노선의 역이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환승동선도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지상 1층에 있고 4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는지라 지상-지하 환승역 치고는 상당히 짧다. 개념환승까진 아니지만 그렇다고 막장환승인 것도 아닌 곳. 또한 이 역과 용산역 사이에는 절연구간이 존재.
병기역명은 4호선 한정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이다. 따라서 주말이 되면 이 곳을 방문하는 수요가 많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4호선 승강장은 행정구역상 이촌동이 아닌 용산동에 있다. 옛 미군기지 내 헬기장 부지를 주한미군으로부터 양도받아 기존 경복궁역 인근에 있던 국립중앙박물관을 이 역 인근으로 이전하였다. 이 역 북쪽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을 제외하고는 군사시설지역으로 몰려 있다. 참고로 국립중앙박물관 옆에는 역시 미군기지를 반환하여 조성한 용산가족공원도 있다.
신분당선이 올 예정이었으나 용산국제업무지구가 망하면서 같이 망했다. 하지만 용산선이 개통되어 서쪽으로 커버할 수 있는 범위가 길어졌고 이 역의 가치는 크게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4호선은 다음역 동작역과의 사이의 거리는 무려 2.7km로 코레일 관리 구간을 제외한 지하철 1~9호선 전 역 구간 중 가장 길고 아름다운 거리를 자랑하는데 이는 서빙고로를 쭉 따라가다가 급드리프트 후 지상으로 올라와 동작대교에 진입하기 때문. 형제격인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압구정역은 곧바로 지상으로 올라와 동호대교를 건너서 옥수역에 들어온다. 동작대교 자체가 반포대교를 제외하면 인근의 교각들 사이에서 상당히 긴 편이기도 하다.
거기에다가 90도에 가까운 드리프트도 있다. 이는 반대방향인 신용산역과의 사이에도 마찬가지. 그러나 상당히 크게 돌아가기 때문에 쾌속으로 지나가는데 소음과 진동이 생각만큼 심하진 않다. 문제는 지상의 경원선. 135˚에 가까운 드리프트에 위에 언급한 절연구간 때문에 소음도 엄청난데다 속도도 거의 기어가는 수준이다.
서울시내에 보기드문 건널목이 용산역과 서빙고역 사이에 자그마치 4개나 있다. 용산역 방면에 있는 이촌역에 붙어있는 건널목은 돈지방 건널목이고 용산역에 가까운 건널목은 백빈 건널목, 용산삼각선에 있는 건널목은 삼각백빈 건널목, 서빙고역 방면에 있는 건널목은 서빙고북부 건널목이다.
3 역 주변 정보
동부이촌동으로 통칭되는 역 남쪽의 아파트 밀집지역은 종로구의 평창동, 성북구의 성북동, 용산구의 한남동 등과 더불어 강북의 대표적인 부촌으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고.
4호선 출구[1]
- 1번 - 용산파크타워·시티파크 방면[2]
- 2번 - 국립중앙박물관 방면
- 3번 - 서빙고로 서빙고 방면
- 3-1번 - 동부이촌동 동쪽(재팬타운), 용강중·신용산초·동부이촌종합상가(공무원상가) 방면
경의중앙선 출구[3]
- 4번 - 동부이촌동 서쪽, 한강시민공원 이촌지구
- 5번 - 용산세무서, 용산공업고, 서빙고로 용산 방면
4 이용방법
과거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직결하기 전에는 용산역 방향 승강장에서 그 극악한 배차간격을 참고 참아오며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십중팔구 용산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타고 부천시, 인천광역시,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로 가려거나 동인천, 천안급행으로 갈아타려는 사람들이다. 애초에 목적지가 안양시 이남이면 희대의 개념환승역인 금정역에서 갈아타는게 낫고 서울역이나 그 이후라면 배차간격이 더 짧은 4호선으로 환승하는게 훨씬낫고 남영역 인근과 아이파크몰과 이마트가 입점해있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일반열차와 호남고속철도의 시종착역인 용산역을 이용하려면 각각 숙대입구역, 신용산역을 이용하는 편이 더 편하다 신용산역과 용산역은 150m 밖에 안 떨어져 있으므로 도보로 충분하다. 용산역의 중앙선 도착 승강장과 급행 출발 승강장이 계단을 건너지 않아도 되는 평면환승인데다가 시발역이라 편히 앉아갈 수 있는지라 편하게 인천, 부천 방면으로 가려는 사람들이 이렇게 이용하는 편.[4]
다만 이촌동에서 용산역으로 바로 가는 노선은 의외로 불편하기 때문에[5] 시간표만 잘 보고 탄다면 느린 속도를 감안해도 용산역으로 가는 제일 빠르고 편한 방법이다. 중앙선이 하도 시간표를 안지켜서 문제지만.
하지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어 문산까지 가는걸로 바뀐 지금은 다 옛날 얘기다. 현재는 서쪽으로 가려는 사람도 많기 때문에 용산방향 승강장 이용객도 제법 된다.
역 근처의 국립중앙박물관에 바로 갈 수 있는 지하보도가 계속 연기되다가 마침내 2012년 12월 28일에 완공되었다. 하지만 4호선쪽에 있기때문에 경의중앙선 이용고객은 4호선 승강장을 건너야 한다. 고속터미널역과 종로5가역과 비슷.
여담으로 과거에는 무임승차로 악명높기도 했다. 로드뷰에서 보다시피 아파트를 끼고 있는 도로 앞의 야트막한 담장 하나만 넘으면 바로 플랫폼으로 진입할 수 있었기 때문. 물론 지금은 코레일에서 담장을 증축한 듯해서 더 이상 불가능할 듯. 그렇게 해봐야 결국 할 놈들은 계속하지 않는가? 노량진역의 바로타처럼 개찰구를 만들면 어느정도 해결되겠지만 코레일측에선 딱히 생각은 없는 듯하다.
5 승강장
5.1 지상 1층
↑ 용산 | |||||||
1 | ㅣ | ㅣ | 2 | ||||
서빙고 ↓ |
1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용산·공덕·대곡·문산 방면 |
2 | 왕십리·덕소·양평·용문 방면 |
5.2 지하 2층
신용산 ↑ | |||||||
하 | ㅣ | ㅣ | 상 | ||||
↓ 동작 |
상 | 수도권 전철 4호선 | 삼각지·충무로·미아·당고개 방면 |
하 | 동작·금정·안산·오이도 방면 |
6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4호선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4,682명 | 4,633명 | 4,766명 | 4,788명 | 4,572명 | 6,281명 | 8,660명 | 7,504명 | 8,386명 | 9,758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0,163명 | 10,130명 | 9,736명 | 9,649명 | 9,915명 | 9,506명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5,254명 | 6,719명 | 6,897명 | 7,336명 | 3,684명 | 4,119명 | 4,907명 | 4,427명 | 4,146명 | 4,124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4,068명 | 4,627명 | 4,723명 | 2,460명 | 4,435명 | 4,775명 |
- ↑ 3번과 3-1번 사이에 경원선이 놓여있어 지상으로 건널 수 없다.
- ↑ 5번출구 도로 건너편
- ↑ 4번과 5번 사이에 경원선이 놓여있어 돈지방 건널목을 건너야 한다.
- ↑ 이 때문에 사당역에서 2호선타고 신도림역 환승이나 이수역에서 7호선 타고 온수역 환승이 시간이 덜 걸림에도 불구하고 일부러 4호선 타고 이촌역 오는 사람이 있다.
- ↑ 이촌동내에서 유일하게 한강대로 북쪽방향으로 달리는 서울 버스 100은 사실상 서울 지하철 4호선을 따라가는 노선이라 신용산역에 설 뿐이고 용산역에 바로 꽂아주는 버스들은 경원선 철길 건너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신용산역 역시 용산역에서 아주 가깝다고 할 수 있는 거리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