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사업

서울驛北部驛勢圈開發事業

파일:SrTVUYU.png
구획도

파일:20130718KORAIL.jpg
조감도
우리 역세권을 봐, 어떻게 생각해..? 크고.. 아름답습니다...
서울시청, 서울역 신역사에 이은 거대 유리궁전 추가요

코레일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사업 홈페이지

1 개요

코레일에서 추진하는 서울역 역세권개발사업. 원래 계획대로라면 2015년까지는 완공되었어야 하지만 망했어요.

2 배경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서울역 북부지역은 용산구 지역에 해당하는 서울역 남부의 민자역사 개발 이후에도 빈 공지로 남아서 남북부 간 불균형이 있었다. 이에 코레일에서는 용산국제업무지구가 무산된 이후 서울역 북부에 역세권개발사업을 단행하여 영업수지 개선을 도모하기로 하였다.

3 추진과정

2008년 낙후된 서울역 북부지역을 개발해 35층 규모의 국제 컨벤션 센터로 탈바꿈하자는 서울역북부 역세권개발사업 기본계획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1조 3천억원이라는 투자액에 비해 사업성이 낮다는 이유로 많은 기업체에서 사업 참여를 꺼렸고 계속된 난항 끝에 한화에서 관심을 보이는 듯 했지만 토지 소유자인 코레일과의 협상에서 계속된 의견 차이를 보였다. 코레일 측이 개발사업을 하는 겸 대체 고가도로 건설을 요구했는데, 한화 측이 이를 두고 대체 고가도로 건설을 포함할 경우, 사업비로 약 300억원이 늘어나 사업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한 것이다. 결국 한화는 사업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2014년에는 코레일산업통상자원부가 서울역북부 역세권개발사업에 대해 합의하면서 중소규모 도심 전시장호텔MICE산업지구를 하기로 하였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 전시산업발전기본계획에 서울역북부 역세권개발사업이 포함되었다.

2015년 서울역 고가 공원화 사업으로 인한 반발이 심해지자 서울시는 제자리걸음을 거듭하고 있는 서울역북부 역세권개발사업을 서두르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공공시설인 MICE시설 비율은 낮추고, 오피스텔과 호텔 비율에 혜택을 줘서 사업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전시장 규모를 3분의 1로 줄이고 호텔과 쇼핑센터 등 상업문화시설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한다. #

2016년 2월 1일에 열린 서울역 7017 프로젝트 설계안 발표 브리핑에서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코레일 측이 전시장 규모 축소를 요구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에 서울시는 전시장 규모를 축소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고 북부역세권 개발사업과 더불어 서울역 광장 및 롯데마트 서울역점과의 연계, 교통문제 등을 모두 포함한 마스터 플랜을 가지고 협의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2016년 3월, 서울시는 2016년 하반기 중으로 민간사업자 모집을 재실시한다고 밝혔다. 공원화된 기존 서울역 고가도로 옆으로 왕복 4차선 고가를 신설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서울시는 이밖에도 경의선 지상구간 지하화 등 서울역 일대를 종합적으로 개발하는 '역세권 개발 종합 패키지'를 2016년 말 발표한다고 하였다.

2016년 7월, 코레일이 서울역 일대 재개발에 대한 용역을 발주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동안 여러 이유를 들며 서울시와 마찰을 빗어왔지만, 서울역 7017 프로젝트가 이미 착공돼 반대할 명분이 사라졌고 코레일의 부채 상태가 점점 악화됨에 따라 극적으로 화해하게 된 것이다. 코레일이 추진하는 계획을 살펴보면 일전에 얘기가 나왔던대로 전시장 규모를 3분의 1로 줄이고 특급호텔과 쇼핑센터 등을 대폭 확대해 서울역 북부를 복합쇼핑타운으로 개발하게 된다. 다만 코레일서울시 모두 보행자 중심 도시재생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서울역 고가를 대체할 고가 건설은 어렵게 되었다. 2017년 초에 민간 사업자를 모집하고 2017년 중으로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 ##

2016년 8월, 코레일이 이 사업을 서울역 북부에 국한하지 않고 서울역 북부, 롯데마트 서울역점, 코레일 서울사옥, 서울역, 서울역 남부 등 개발 범위를 서울역 전체로 확대하여 통합 개발하는 것을 검토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사업방식도 재조정한다고 한다. 한편 서울시는 개발 범위를 단순히 서울역에만 국한하지 않고 남대문시장~용산구~한강으로 이어지는 관광 네트워크를 만들겠다는 심산이다. #

4 교통

4.1 철도교통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KTX 등 일반철도가 집중되는 서울역이 있어서 교통은 매우 편리하다. 또한 추후 신안산선GTX A선도 추진되고 있어 철도망이 더욱 촘촘해질 예정이다.

4.2 버스교통

서울역서부 버스 정류장과 더불어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통해 수많은 버스가 연계된다.

4.3 도로교통

파일:SQzz7af.jpg
파일:5wDU17G.jpg

역세권개발사업으로 건설되는 전시장을 관통해 퇴계로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고가차로가 신설될 예정이었다. 서울역북부 역세권개발사업이 원안대로 진행됐다면 기존 고가도로 철거 후, 새 고가도로가 개통될 예정이었지만, 계획이 틀어지면서 서울역 7017 프로젝트로 인해 서울역 고가는 공원화되어 남게 되었다.

위 이미지처럼 대체 고가를 건설하는 방안까지 검토되었지만, 서울시와 코레일이 반대 입장을 보이며 대체 고가 건설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밖에도 한강대로, 세종대로, 통일로(의주로), 청파로, 만리재로 등으로 갈 수 있다. 사업 중에 염천교재건축 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