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수역



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 또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개통했지만 이 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인 역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나무위키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공정이 중단되면 틀:공사중단으로 바꿔 주시고, 공정이 완료되면 틀을 제거해 주십시오.

경부선
서울 방면
금천구청

2.3 km
석 수
1.9 km
부산 방면
관 악
신안산선
여의도 방면
시흥사거리

1.9 km
석 수
(미개통)

2.9 km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송산 방면
광 명
수도권 전철
1호선
광운대, 청량리 방면
금천구청

2.3 km
석 수
(P145)

1.9 km
서동탄, 신창 방면
관 악
석수역

다국어 표기
영어Seoksu
한자石水
중국어石水
일본어ソッス
역번
수도권 전철 1호선P145
300px
수도권 전철 1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석수역사 크게보기
주소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431
(舊 석수동 737)
수도권 전철
운영기관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1호선 개업일1982년 8월 2일
일반 철도
운영기관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경부선 개업일1982년 8월 2일
관리역 등급무배치간이역(을종/안양역 관리)

石水驛 / Seoksu Station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P145번.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431(舊 석수1동 737번지) 소재. 서울전용 정기권 을 사용할 수 없는 경부선의 최북단 역이다. 승차는 불가능하고, 하차시에는 1회 추가 차감.
1번 출구가 동쪽에 있는 것은 전철역 출구번호 부여 규칙 때문이다. 영등포역도 흔히 아는 북쪽 큰 출구가 1번이 아닌 것과 같은 이유.

2 역 정보

1974년 경부선의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 때는 없었다가 1982년에 경부선 영등포~수원 2복선화에 맞춰 신설된 역이다. 경부선 영등포~수원 2복선화는 1981년에 완료되었는데 왜 1982년에 개통되었느냐 하면 승강장은 2복선화를 겸해 다 만들었는데 예산 부족으로 역사 완공이 1982년으로 연기되는 바람에.[1](삼막역은 공사 당시의 가칭.) 그래서 이 역은 2복선화 이후에 만들어진 역임에도 승강장이 마치 1974년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 때 개설된 역처럼 승강장이 경부1선(일반열차용 선로)과 경부2선(수도권 전철용 선로) 사이에 있다.

500px

특이하게 버스전용차로 정류장과 인도 그리고 전철역을 잇는 육교가 있다. 보통 전철역이 도로 아래나 위에 위치해 있어 자연스럽게 지하도의 역할을 하는 반면 석수역은 길 옆에 있기 때문에 길 건너에서 지하철을 이용하는데 약간 불편한 점이 있었는데, 버스전용차로 정류장과 전철역을 연결하는 육교가 생겨 훨씬 나아진 상태. 아쉬운건 휠체어는 버스전용차로 정류장갈때 횡단보도 이용 해야한다는 점..

수도권 전철 전 구간을 통합, 경기도 안양시 최북단에 있는 역이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당선된 최대호 안양시장이 이 역에서 명학역 구간을 지하화 시키겠다고 나오는 상황이라 귀추가 주목된다. 그런데 2012년에 이 부분은 제대로 확대되었는데, 용산구청장까지 가세하면서 구간이 서울역에서 당정역으로 변했다. 그러나 지하화를 부르짖는 사람들이 지하화의 문제점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는데다가, 당연하겠지만 국토교통부, 코레일,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지하화에 매우 부정적이다. 게다가 최대호는 2014년 지방선거에서 낙선했고 후임 단체장은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는 등 별다른 진전은 없는 상태.

3기 지하철 계획에서 10호선의 시발역으로 계획되었었는데 IMF로 인해 계획이 백지화되자 안습한 처지에 놓일뻔 하다가 결국 향후에 개통될 신안산선의 환승역 및 정차역으로 결정되었다. 신안산선 석수역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980일원에 위치할 예정이며, 지하5층의 역사로 지어지며, 2홈 2선식의 상대식 역사로 건설될 예정이다.

아는 사람들만 아는 사실이지만, 본래 이 역은 수도권 남부본부 산하 역이었다. 즉, 서울특별시를 벗어나면 가장 처음 만나는 역이 이곳으로 서울특별시의 최남단 역이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한강 이남 경기도 최북단역은 아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까치울역이 경기남부 최북단역으로, 소사대곡선이 개통되면 원종역으로 넘어간다. 다만, 소사대곡선이 언제 개통될지 몰라서 그렇지.

경수대로 지하의 신안산선역은 서울특별시 지역이기 때문에 개통이 되면 정기권 사용 문제에서 조정이 있을 수 있다. 아니면 그냥 서울 지하철 8호선 - 분당선 모란역처럼 따로따로 가거나. 이 역과 마찬가지로 서울 시내에 위치한 신분당선강남역 ~ 청계산입구역 구간은 요금이 아예 달라 서울전용 정기권의 이용이 불가능한데, 신안산선이 같은 방식으로 운영될 경우 아무런 문제 없이 현행대로 유지될 가능성도 있다.

여담이지만 1993년 당시 이 곳에다 경부고속선 역사를 짓는다는 계획이 있었다고 한다. 당시 계획에는 가칭 남서울역을 석수역 또는 석수동 일대에다 짓는다는 이야기가 있었을 정도. 하지만 석수역 인근에 공장 부지나 아파트 단지가 있어서 여기에 경부고속선 역사를 지으면 이주 문제나 보상금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무산되고, 석수역에서 2.5km 떨어져 있는 광명시 일직동에 경부고속선의 역사를 짓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이게 실제로 이뤄졌으면 완전히 상전벽해였을 것이다.[2][3][4][5]

사실 석수역 부지를 포함한 인근의 안양시 석수동 일부 지역은 원래 광명시 소하동의 월경지였으나 1987년 행정구역 경계조정으로 안양시 석수동으로 편입되었다. (노렸나?)

2016년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나온 더민주당의 이종걸 후보는 석수역의 입구를 4개로 늘린다는 공약을 내세웠고 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이종걸 후보는 19대 국회의원 임기때 석수역 주변 중앙통로 개선을 실제로 실시한 바 있다. 이번에도 공약을 지킬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3 역 주변 정보

출구는 2개 뿐이다. 1번 출구에서 내리면 중앙철재상가가 있으며, 2번출 구에서 내리면 연현마을(연현섬)이라는 작은 마을이 있다. 연현마을의 아파트는 높아봤자 12층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아파트들이 많이 있으며 예전부터 공장이 많이 모여있던 마을이다. (석수역이 처음 생겼을 때 옆에 있었던 한신아파트(지금의 두산위브)를 '석수전철아파트'라고 부르기도 했다. 현재 연현초등학교에 가까운 아파트에서는 석수역이나 관악역이나 양쪽 다 이용하기가 애매한데, 만약에 연현마을이 지금과 같이 아파트가 많았다면 현 석수역과 연현초등학교 사이에 역이 위치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최근에는 몇몇 저층 아파트들이 재건축되어 새로 지어지고 있다고. 그에 따라 근방에 스타벅스가 오픈하는 등 점점 상권이 발달하고 있다.

또한 관악역과 마찬가지로 시흥대로 건너편 쪽으로 삼성산 등산로가 시작되는 지점이 있기 때문에 주말에도 등산 이용객이 꽤 많은 편.

1번 출구로 나와서 관악역 방향으로 6~7분 정도 걷다보면 스타벅스 드라이브스루 매장이 있다. (가는길에 전부 공장이기 때문에 절대로 그런게 없을 것 같지만 있다)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3동과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의 경계에 있기 때문에 서울특별시 소속 몇몇 버스(ex: 500번, 507번)들이 이 역을 종점으로 하고 있다. 역 북쪽에 서울교통네트웍의 시흥동 영업소가 있기 때문에 종착은 기아대교 입구에서 하고 시흥동영업소에 들어갔다가, 차량을 돌려 석수역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안내판에 석수역 출발/기아대교 종착이라고 명기해 놓고 있다. 그런데 이쪽으로 들어오는 차량들은 시흥동영업소가 좁아서 그런지, 소하동CNG충전소에다가 주차해 놓는 경우도 있다.

4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다. 내선 승강장은 쇠사슬을 걸어 막아둔다.

금천구청
2  1
관악
1수도권 전철 1호선병점·서동탄·천안·신창 방면
2수도권 전철 1호선구로·서울·청량리·광운대 방면

5 일평균 승차량

수도권 전철 1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6,106명7,750명8,810명10,027명7,441명7,352명7,154명7,116명7,171명7,449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9,003명10,975명11,605명11,634명11,788명11,828명
  1. 「서울~수원 철도 복복선 난공사 3년 마무리 한창」, 1980-06-09, 동아일보
  2. 「안양에도 시발역」, 1993-06-15, 동아일보
  3. 「고속철도 불·독 압축」, 1993-06-15, 경향신문
  4. 「고속철도 차량 프랑스-독일 압축」, 1993-06-15, 한겨레
  5. 「고속전철 완공 3년 연기」, 1993-06-15,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