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만화 / 목록 | 일본 애니메이션 / 목록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숫자 · 라틴 문자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숫자 · 라틴 문자 |
200px | |
애니멘터리 결단 | |
장르 | 다큐멘터리, 역사 |
감독 | 쿠리 잇페이 |
제작 | 요시다 타츠오 |
제작사 | 타츠노코 프로덕션 |
방영 | 니혼 TV |
방송 기간 | 1971.4.3 ~ 1971.9.25 |
방영 횟수 | 26화 완결 |
1 개요
팬사이트인 자네는 애니멘터리 결단을 알고 있는가. 이 애니메이션의 자세한 정보와역사적 사실(일본인의 입장에서) 대사 까지도 실려있다. 색안경을 끼고 적절히 필터링 하고 보자.
유튜브에서도 볼 수 있다. 오프닝과 엔딩만 짤렸다.
인생에서 가장 귀중한 순간, 그것은 결단의 때 이다.태평양 전쟁은 우리에게 평화의 중요함을 알려주었지만,
또한 인생을 살아가는데에 필요한 교훈을 수없이 남기고 있다.
(시작할 때 나오는 문장)[1]
그 교훈의 대가가 일본 패망이라는게 함정, 미국한테 대들지 말라는게 교훈 하지만 2016년 현재 그 교훈을 망각해 가는것 같다.
2 설명
타츠노코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역사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그래서 애니멘터리라 부른다. 진주만 기습부터 시작해서 일본의 항복과 패망까지 태평양 전쟁에 있었던 역사적 사건들을 서술한다. 아직까지는 많이 남아 있었던(1971) 전쟁 경험자와 일본내 자료, 외국 자료를 망라 하였지만 기본적으로는 일본의 입장에서 태평양 전쟁을 보여주고 있다.
카미카제 특공대, 옥쇄, 할복자살, 반자이 어택등 어이없는 점들을 미화하여 극우 애니메이션 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일본인 입장에서는 꿈도 희망도 없는 미드웨이 해전을 중간도 아니고 2화에서 보여주는[2] 기행을 보이기도 하는등 남방작전이 주가되는 작품 초반 제외 하고는 일본군의 졸전기록을 담담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극우 프로파간다 애니메이션이라고 보기도 미묘하고, 그렇다고 일본의 좌익으로도 보기도 힘든 기묘한 애니메이션 어째서인지 격파되어 찢겨진 일장기가 그려진 일본군 항공기 주익이 꽤나 많이 나온다. 바다에 버려진 욱일기도 많이 나오는편. 또한, 일본군 전투기가 격추당하는 장면을 굉장히 신경써서 묘사하는걸 보면 이사람들이 진짜 뭘하고 싶었나 궁금할 정도.
등장인물은 주로 일본 육군과 일본 해군 이지만 후반에는 미군도 자주 나온다. 영국군도 초반 남방작전에서 자주 등장하는데 이후 말레이 해전에서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리펄스가 떡실신 당하고 더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누가보면 영국 이딴나라가 강대국이야? 라고 의문이 들 정도로 약하게 묘사되어있다. 미군이 일본인이 항상 이야기 하는대로 귀축, 악마처럼 묘사되어 있을거 같지만 그럭저럭 인간적으로 나오는 것 같다. 부하를 생각하는 스프루언스 제독이나 정보전에 능한 장교 등. 여러모로 일본군 장교보다 능력이 있는 것으로 묘사.
이 사진에 나오는 사람은 14화 "가토 하야부사 전투기 부대" 에 나오는 지상에서 주기중인 제로센을 공격하는 영국군 공격기 후방 기총수로 저 공격기는 가토 하야부사 전투대 대장인 가토에게 격추 당하지만 가토도 저 기총수에게 격추당한다. 가끔은 이런 귀축같은 모습도 등장한다.
태평양 전쟁에 대해서 알고 있으면 그다지 추천할 만한 작품은 아니지만, 연합국과 한국의 입장이 아닌 일본의 입장에서는 이 전쟁을 어떤식으로 보는가, 태평양 전쟁에 대해서 우리와 일본인의 이해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애니메이션이 말하자고 하는 바는 초강대국인 미국과 싸운다는 뻘스러운 결단을 내린 자국 조상을 반면교사로 삼아 인생을 살아 나아 가면서 저런 정신 나간짓을 하지 말고 결단이 필요할 때에는 확실하고 정확한 정보와 치밀한 전략을 가지고 판단하여 결단을 내려서 후회없는 인생을 살아 나아가자는 것.
3 맞는묘사와 맞지않는 묘사
3.1 맞는 묘사
- 주력 전투기 제로센은 라이터답게 피탄 당하면 바로 불이 난다. 작품 전체적 으로 이렇다 또한 함상 폭격기인 아이치 "발" D3A 도 마찬가지로 잘 떨어지는편, 전반적으로 일본 애니메이션인 것에 비해 일본 해군기 격추장면이 더 많다. 사실 연합군 기도 좀 맞으면 불난다.
- 레이테 만 해전에서 전함 무사시의 46cm 주포 사격으로 인한 충격으로 대공 사격을 도저히 할 수 가 없어 대공포반원이 주포 사격을 중지해 달라는 요구를 한다. 그의 절규가 참 처절하다.
- VT신관의 강력한 공격력과 정확도를 보여준다. 이 애니메이션에선 매직 퓨즈라고 부른다.[3]
- 미 해군 전투기나 급강하 폭격기 뇌격기를 통털어 구라망 으로 부른다.
3.2 맞지 않는 묘사
- 참호에 숨은 일본 육군 병사가 M4 셔먼 HVSS 장착형 (M4A3E8 "이지에잇")으로 추정되는 전차를 수류탄으로 으로 격파 하였다. (!!??) 23화 19분 경에서 등장.
- P-38 라이트닝의 사격에 끔살당한 야마모토 이소로쿠가 좌석에서 담담하게 정자세로 사망하였다. 외상 당한 흔적도 안보이고 그냥 입에서 피만 흘린 것 으로 묘사 하였다.[4]
4 등장 병기
- 연합군
- 일본 해군
- 일본 육군
왜 일본 육군과 해군을 나누었냐 하면, 이 두 군대는 다른나라 군대이기 때문이다
5 그 외
- 자칭 작전의 신 이자 삼간사우 이고 대한민국 독립에 지대한 공을 새우신 츠지 마사노부가 등장한다. 안경을 쓰긴 하였지만 사진과도 영 다르게 포동포동해서 놓치기 쉬운편. 4화 12분 경에서 나오는 동그란 안경을 쓴 장교가 바로 그분이다.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독립에 지대한 공을 새우신 무타구치 렌야가 5화 싱가포르 공략에서 등장한다.
- 치하의 취급이 거의 무적이다. 그도 그럴게 일본 육군이 활약하는 초반에는 연합군이 일방적으로 당하는 입장이라 그렇고, 후반에는 주로 일본 해군이 주역이라 육군이 잘 등장하지 않는다. 미국 해병대 VS 일본 육군은 최후반부 이오지마 전투에서나 등장하지만, 전차 씨가 말랐는지 등장하지 않는다.
- 미국 해병대와 일본 육군이 지상에서 싸우는건 그리 많이 나오지 않는다. 그 유명한 과달카날 전투도 짤렸다. 그나마도 미군이 진 타사파롱가 해전이 전부. 끝에서 보급선을 격침시키지 않아 그대로 미 해병대에 전달되어 나중에 일본 육군의 패배 원인이 되었다는 정도로만 언급. 최악의 조공, 졸전으로 유명한 임팔 작전 같은 것도 나오지 않는다.
- 일본제국을 멸망시키는데 일조를 한 단어 체면이 상당히 많이 등장한다.
- 다른 부대나 다른 군에 대한 질투도 여과없이 보여준다. 가령 육군이 남방작전때 대단한 전공을 세웠는데, 우리 해군은 왜 이따구냐는 식. 10화 해군 낙하산 부대가 그 절정으로 같은 해군(해군 육전대, 해군 공수부대)끼리 대접이 다르고 안하무인한 태도를 보인다고 다른 부대 대원이나 종군기자(!)에게 난동이나 구타를 한다.
- 일본 전투기가 격추당할 때 연출이 비교적으로 퀄리티가 좋다. 연합군기는 연출이 그저 그런 편.
- 이오지마 전투에서 쿠리바야시 타다미치 중장이 제발 반자이 어택 좀 그만 하자고 제안한다. 또한, 돌격 명령을 내리고 스스로 검을 뽑고 돌격하고 장렬히 산화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 본작부터 철완 아톰(1980), 게임센터 아라시, 마경전설 아프로번치 뺀 88년~89년초까지 닛테레(니혼 TV) 제작명이 크레딧되어 있지않댜
6 스태프
- 원작, 감수 - 코지마 노보루
- 구성 - 토리우미 진조
- 총감독 - 쿠리 잇페이, 히라타 미노세이
- 각본 - 토리우미 진조, 마츠우라 타케오, 쿠로카와 후미오, 요시다 요시아키, 나가타 토시오 외
- 연출 - 쿠로카와 후미오, 쿠리 잇페이, 니시마키 히데오, 토리우미 히사유키
- 음악 - 코시베 노부유키
- 음량효과 - 이시다 사운드
- 캐릭터 디자인 - 요시다 타츠오, 요리미츠 타카시, 우가키 아키라
- 메카닉 디자인 - 이케다 미츠구지, 아키요시 후미오, 아리모토 히데미츠, 키우치 이치로
- 미술설정 - 나카무라 미츠키, 코바야시 시치로, 아라이 토라오, 이오카 마사히로, 와타나베 타케시
- 작화감독 - 미야모토 사다오, 요시다 타츠오, 쿠리 잇페이
- 원동화 - 스다 마사미, 코가와 토모노리, 무라타 시로, 타나카 에이이치, 시치노헤 요스케 외
- 배경 - 이마무라 타츠오, 코바야시 시치로, 나카무라 미츠키, 와타나베 타카시, 사카모토 노부히토 외
- 컬러 설정 - 무카이 미노루, 오카지마 쿠니토시
- 특수효과 - 아사누마 키요라
- 임상 - 시바타 마사루
- 촬영 - 호소노 타다시, 히라야마 아키오, 나카노 마사노리, 이마이 나나미, 미네 이사무
- 편집 - 시노하라 타다시, 타니구치 하지메
- 제작비조 - 사토 미츠오
- 진행 - 카토 히로시, 아라키 요시카츠, 사토 미츠오, 사하라 사부로, 카마타 마사하루, 요네츠 카즈히코
- 녹음 디렉터 - 미즈모토 칸
- 녹음 - 요미코 스튜디오, 옴니버스 프로
- 현상 - 동양현상소
- 프로듀서 - 요시다 켄지, 마에사토 모토요시
- 제작 - 요시다 타츠오, 타츠노코 프로
7 각화 안내
26화인 가와카미 감독의 결단은 DVD에서 삭제되어 더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유튜브의 영상들은 DVD나 TV 재방송분을 녹화한 것이라 71년 당시 방영한 것을 녹화한 테이프가 아닌이상 볼 수 없다.
방영 순서 | 각화 제목 | 비중있는 인물 | 실제 순서 |
1화 | 진주만 공습 | 야마모토 이소로쿠, 나구모 주이치 | 1화 진주만 공습 |
2화 | 미드웨이 해전 (전편) | 나구모 주이치, 레이몬드 스프루언스 | 4화 말레이시아 돌입 작전 |
3화 | 미드웨이 해전 (후편) | 야마구치 다몬. 야마모토 이소로쿠 | 6화 홍콩 공략 |
4화 | 말레이시아 돌입 작전 | 7화이 말레 해전 | |
5화 | 싱가포르 공략 | 14화 가토 하야부사 전투기 부대 | |
6화 | 홍콩 공략 | 10화 해군 낙하산 부대 | |
7화 | 말레이 해전 | 11화 바탄 코레히도르 공략 | |
8화 | 산호해 해전 | 이노우에 시게요시, 프랭크 플레처 | 5화 싱가포르 공략 |
9화 | 자바 섬 공략 | 9화 자바 섬 공략 | |
10화 | 해군 낙하산 부대 | 무라이, 타테노(...) | 8화 산호 해 해전 |
11화 | 바탄 코레히도르 공략 | 2화 미드웨이 해 해전 (전편) | |
12화 | 잠수함 I-168 | 3화 미드웨이 해 해전 (후편) | |
13화 | 제 1차 솔로몬 해전 | 잠수함 I-168 | |
14화 | 가토 Ki-43 하야부사 전투대 | 13화 제 1차 솔로몬 해전 | |
15화 | 라바울 항공대 | 19화 룽가곶 야전 | |
16화 | 키스카 섬 철수 | 기무라 마사토미 | 18화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죽음 |
17화 | 특공대 탄생 | 16화 키스카 섬 철수 | |
18화 |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죽음 | 야마모토 이소로쿠,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15화 라바울 항공대 |
19화 | 룽가곶 야전 | 20화 마리아나 해전 | |
20화 | 마리아나 해전 | 17화 특공대 탄생 | |
21화 | 레이테 만 해전 (전편) | 오자와 지사부로 | 21화 레이테 만 해전 (전편) |
22화 | 레이테 만 해전 (후편) | 오자와 지사부로, 클리프턴 스프레이그 | 22화 레이테 만 해전 (후편) |
23화 | 이오지마 전투 | 23화 이오지마 전투 | |
24화 | 연합함대의 최후 | 이토 세이이치, 레이몬드 스프루언스 | 24화 연합함대의 최후 |
25화 | 최후의 결단 | 시모무라 히로시 | 25화 최후의 결단 |
26화 | 가와카미 감독의 결단 | 26화 가와카미 감독의 결단 |
- 이동 ↑ 이 문장을 나레이션이 말한 뒤 애니메이션이 시작된다. 나레이션은 우라노 히카루.
- 이동 ↑ 거기다 전후편으로 되어있다.(전후편으로 되어있는 또다른 편은 바로 레이테 만 해전.
이것도 일본 입장에선 꿈도 희망도 없다) 그러니까 일본군이 미군에게 처참하게 깨지는 것을 3화까지 보여준다는 것. - 이동 ↑ 전투기가 발사하는 로켓탄에도 VT 신관이 내장되어 있는것으로 나오는데, 이 점은 고증에 맞는건지 아닌지 추가바람
- 이동 ↑ 사실 시체가 구더기가 들끓을 정도로 부패가 심한 상태로 발견된지라(열대지방이었으니..)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구더기 들끓는 시체를 그대로 보여줄 수는 없는 노릇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