釜山都市鐵道 梁山線 / Busan Metro Yangsan Line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1 개통하지 않은 구간이 있거나 미개통 노선입니다.}}} *노선명 : @노선명@ *공사구간 : @공사구간@ 구간 *진행상황 : @공사진행상황@ *개통 : @노선개통예정일@ [br]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공사가 중단될 경우 틀:공사 중단을 함께 넣어주시고, 공사가 무산되거나 계획이 취소될 시 틀:계획취소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의 경전철 노선 | ||||
AGT | 철제 차륜 | 부산김해경전철 | 용인경전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고무 차륜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의정부 경전철 | ||
모노레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
자기부상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부산 도시철도 양산선 | |
영업거리 | 12.51㎞ |
궤간 | 1700㎜ 콘크리트[1] |
역수 | 7 |
전기 | 직류 750V 제3궤조 |
신호 | ATC/ATO |
배선 | 단선 |
표정속도 | 28.8㎞/h |
차량기지 | 동면차량사업소 |
지상구간 | 노포~북정[2] |
착공예정 | 2016년 11월 |
개통목표 | 2021년 1월 |
1 개요
부산교통공사에서 건설하고 운영하게 될 예정인 세번째 경전철 노선.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노포역과 경상남도 양산시 북정동을 연결하는 부산 도시철도 계획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연계한다.[3]
한때 이 노선을 부산 도시철도 6호선으로 명명하라는 말이 있었으나 노선명에 대해서는 애매한 점이 많아 나중에 노선이 건설된 후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선 양산선이나 양산경전철이 유력해보인다. 비슷한 시기에 건설 개통이 이루어지는 어느 노선과 다르게[4] 노포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은 죄다 양산시에 위치하여 있고 단선이라 6호선까지 붙이기가 애매하지만, 건설과 운영이 부산교통공사이고 1호선의 연장선상인 노선이자 1호선, 2호선을 잇는 점을 무시하지 못한다. 사실 노선에 숫자명 붙히기가 애매한 것이 전 구간이 단선인게 가장 큰 비중일 것 같지만 넘어가자.
그리고 이 노선이 먼저 개통되면 사상하단선이 6호선이 될 가능성이 있다.
2 노선
먼저 지어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선 구간이 양산시 남서부의 양산신도시 지역을 통과했다면 이 노선은 주로 중앙동, 삼성동 등 양산시 구시가지 지역을 잇는 노선이다. 앞서 개통한 부산김해경전철처럼 양산 내 도시철도적인 성격과 양산↔부산 간 광역철도적인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다. 노포역과 양산 시가지 사이 동면 지역은 지금은 저개발지역이지만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행하는 미니신도시 사업과 병행할 계획이다.## 과거 계획에는 노포역과 사송역 사이에 가칭 여락역 혹은 스포원역[5]이 역 후보로 있었고[6], 신기역과 북정역 사이에는 북부역 계획이 2호선 연장안 시절부터 존재했으나 결국 지금의 7개역 계획으로 확정되었다.
역이 7개밖에 없어서 상당히 짧아보이지만 노선의 길이는 12.5km로, 부산 반대편에서 비슷한 시기에 추진되고 있는 비슷한 규격의 경전철노선인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의 6.9km보다는 두 배 가까이 길고, 먼저 개통한 12.7km인 부산 도시철도 4호선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역 갯수는 이 양산선과 4호선이 7개소와 14개소로 두 배나 차이나지만(...)[7] 다만 위에서 언급된 두 노선의 경우 추가적으로 추진중인 가덕도 연장, 기장군 연장이 완료된 이후에는 양산선보다는 훨씬 긴 노선이 될 예정이다.그러나 아래에서 설명하듯 양산선도 나름대로 초장거리 연장계획이 있다
이미 부산 도시철도의 범주를 넘어선 계획이지만, 북정역 이북으로 상북면과 하북면(통도사)를 거쳐 울산광역시의 울산역, 울산과기원, 굴화까지 경전철을 연장하자는 구상도 오래 전부터 존재했다.기사[8] 그런데 이러면 비수도권 도시철도 중에서 가장 긴 부산 도시철도 2호선보다 더 길어지게 된다.(...) 여차하면 울산광역시 경전철 1호선과 직결운행도 검토할 기세
3 연혁
- 노포역에서 시작하여 양산시 동면 사송~남부동(양산시청)~종합운동장~신기동~북정동으로 연결된다.
- 2003년 부산시 도시철도기본계획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 2009년 2월 양산시의 예비타당성조사 용역 결과 B/C=1.013이 나왔고, 그 해 12월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 2010년 부산광역시 2030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안)에 포함되었다.
- 2011년 4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다.#
- 2012년 8월 이 노선안이 결정되었다.#
- 2013년 1월 22일 양산시는 부산교통공사에서 부산도시철도 양산선 기본계획안을 제출받아 이를 수정·확정해 정부 승인을 받기 위해 경남도에 제출했다. 관련기사
- 2014년 2월 17일 경남도가 양산선 건설 공사비 중 양산시가 부담하는 공사비의 25% 지원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공사비의 25%는 396억 원 정도로, 양산선 건설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2014년 7월 이 노선의 기본 설계안이 기획재정부에 제출되었다.
- 2014년 9월 16일, 이 노선의 사업비가 5558억 원으로 책정되었다. 예정대로라면 2014년 11월에 기본 계획 승인 및 고시가 이뤄지고 12월부터는 설계가 실시된다.# 이후 2016년 공사에 들어가 2021년 2호선 종합운동장역과 함께 개통된다.
- 2014년 11월 25일, 총 공사비가 지난 9월에 확정된 데 이어 실시설계비 97억 5천만 원과 사업관리비 5억 5천만 원이 확정되었다. 턴키 입찰 방식으로 진행 할 경우 이르면 2015년 하반기 ~ 2016년 상반기 중에 본격적인 공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 2015년 3월 10일 국토교통부에서 이 노선의 기본 계획을 확정고시하였다.# 2015년 4월부터 1년 6개월간 설계 과정을 거친 뒤 2016년 11월에 착공하여 2020년 6월 준공된다. 이후 6개월간 시운전을 거쳐 2021년 1월 개통될 예정이다. 부산일보 8월 3일 기사.
- 2017년 정부 예산안에서 양산선 건설지원 을 위해 양산 도시철도라는 항목으로 156억이 배정되었다.
4 논란
양산시청의, 양산시청에 의한, 양산시청을 위한 노선
4.1 양산시 웅상지구 문제
이미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양산신도시 방향으로 건설된 마당에 차라리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노포역에서 웅상 방향으로 연장하거나 웅상경전철을 추진하는 게 더 타당하다는 비판이 있다. 더구나 양산시는 장기계획으로 북정에서 추가로 울산까지 경전철로 잇는 계획을 갖고 있는데, 부산 노포동에서 울산을 갈 때는 7번 국도 경로를 따라 웅상을 경유(신정선)하는 것이 최단거리이며, 노포동에서 양산 시가지와 울산역을 거쳐서 울산 시가지로 가는 것은 디귿자 형태로 상당히 돌아가는 경로이기 때문에 부산~울산간 광역이동시에는 경쟁력이 부족해진다. 그리고 이렇게 시청이 있는 양산 시가지에만 인프라를 집중시켜 웅상홀대론을 다시금 불러일으킬 수도 있는 상황이다.[9]
4.2 막장환승과 단선문제
양산역에서 바로 환승이 될 예정이었다. 이후, 예비타당성 조사 당시에 제시한 노선에서 일부 수정하여양산역과 양산시청역을 환승연결하는 것으로 계획을 바꾸게 되지만 320m의 환승거리 논란으로 양산시는 기존의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양산종합운동장 방향으로 500m 가량 연장하여 해당 역에서 환승연결 하는 계획안을 반영하였다.
또한 단선으로 경전철이 건설되면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양산시의회 이상정 의원은 "단선은 선례가 없을 뿐 아니라 도저히 성공할 수 없다"며 계획 변경을 촉구하고 있다. 그는 "경전철 단선으로는 배차 간격을 9분 이내로 줄이는 것이 불가능한데도 부산교통공사가 6분30초로 하도록 무리하게 시뮬레이션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부산 지하철은 평균 배차간격이 2분30초이고 반송선은 4분인데, 양산선 배차간격이 9분이 될 경우 출·퇴근시간에 누가 경전철을 타겠느냐"고 반문했다.관련기사
2014년 11월 25일 실시설계비가 확정되는 기사에 12.51㎞를 단선으로 짓는다는 내용이 나와 사실상 확정이 된 것으로 보인다.#
5 역 목록
-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 역명은 모두 가칭이다. 청록색셀은 지상구간
역번 | ㎞ | 역명 | 승강장 | 환승노선 | 소재지 | ||
형태 | 횡단 | ||||||
101 | 0.0 | 노 포 | 老 圃 | ● 1호선 | 부산 금정구 | ||
102 | 2.865 | 사 송 | 沙 松 | 경남 양산시 | |||
103 | 4.507 | 내 송 | 內 松 | ||||
104 | 8.282 | 양산시청 | 梁山市廳 | ||||
105 | 9.3 | 양산종합운동장 | 梁山綜合運動場 | ● 2호선 | |||
106 | 10.68 | 신 기 | 新 基 | ||||
107 | 12.475 | 북 정 | 北 亭 |
- ↑ 도시철도건설규칙(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해진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간이다.
- ↑ 12.51km 중 10.11km 구간, 2.4km는 지하구간
- ↑ 개통시 1호선과 2호선을 자유롭게 넘어갈 수 있을 것 같다.(이 사실을 듣고 북정동과 노포동 주민들은 엄청 좋아하겠지...)
- ↑ 사상하단선은 애초에 IMF 이전에 5호선으로 계획됐던 노선의 일부이고, 이미 부산교통공사는 경전철에 숫자호선을 부여한 전력이 있다.
- ↑ 인근에 두구동 시가지와 워터파크, 부산경륜장 등이 있다.
- ↑ 만약 여락리나 스포원파크를 실제로 경유했다면 노선은 상당히 돌아서 가는 선형이 되었을 것이다.
- ↑ 이 경우 양산선의 역간거리가 상당히 먼 편인 것은 맞지만 4호선의 평균 역간거리도 다른 도시철도와 비교해 짧은 편이기는 하다.
- ↑ 해당 기사는 양산선 구간을 1호선 연장이 아닌 별도 경전철 노선으로 북정까지 잇는다는 결정이 있기 전에 쓰여진 내용이며, 2015년 시점에서 재논의된다면 두 경전철이 북정역에서 종착하는 구도상 양산선의 연장 형태로 추진될 가능성도 높다.
- ↑ 실제로 양산시 인구의 1/3을 차지하는 웅상지역은 양산시 타 지역과 지리적으로 단절되어있고 이질감을 갖고 있다. 주민의 절반 이상이 부산광역시 편입에 동의할 정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