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무원

驛務員

1 개요

철도역에서 근무하는 사람. 역직원이라고도 한다. 역무원 중 가장 높은 사람을 역장#s-1이라고 하며, 역마다 보조로 철도 사회복무요원을 두기도 한다.

2 역사

매표소에서 표를 팔거나 사회복무요원과 함께 푸시맨 역할을 맡기도 했지만, 경영효율화 정책(인원 감축) 및 선후불 교통카드의 도입에 따라 배치되는 인원이 크게 줄었다. 지금은 가끔 커트맨으로 나서거나(이것도 자원봉사자에게 맡기는 듯) 개표구의 안내소에서 볼 수 있으며, 대개는 역 사무실에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3 입사방법

3.1 공채

역무원들이 위치해 있는 역의 대부분의 운영사들이 공공기관의 형식을 가지고 있다. 물론, 공항철도와 같이 민간업체도 그렇다.
그러므로 일단 우선 입사를 위해서는 공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코레일/전산망 항목에도 언급했다시피, 요즘은 역무전산화의 영향으로 역무를 신규 채용으로 하는 경우는 드물며,[1] 대부분 기관 내에서 자체적으로 인사 발령으로 인해서 충원이 되고 있다.

3.2 코레일 인턴

다른 방법으로는 코레일에서 1년단위로 선발하고 있는 코레일 인턴 제도를 이용해볼 수 있다. 코레일 인턴은 만 25세 ~ 30세 내에 지원할 수 있는 제도이다. 여기까지는 일반 인턴 방법으로 서술되어있지만, 코레일의 경우 인턴을 정규직 80% 전환을 인센티브로 걸고 하는 인턴이기 때문에 비교적 경쟁률이 높은편이다.

3.3 역무 파견업체 취업

일부 수도권 전철역이나 기차역 매표소는 각 운영기관의 본사가 아닌 코레일 네트웍스같은 자회사나 다른 역무 파견업체가 운영하며 수시로 계약직 형태로 모집하고 있다. 채용 기준이 높지 않기 때문에 바로 역무원으로서 일할 수는 있으나 비정규직에 임금수준은 매우 낮다.

4 근무 방식

일반적인 회사원과 같은 일근(월~금) 또는 3교대 근무(주간-주간-야간-야간-비번-휴무)를 한다. 관리역의 경우 사무와 역무로 나누어 일을 하기도 한다.
운영사마다 다른데 서울지하철은 4조 2교대, 9호선은 비숙박 3조2교대 또는 비숙박 교번근무(21일주기)로 돌아간다..

코레일 네트웍스에서 관리하는 역의 경우에는 주간/야간 2교대로 진행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09:00 ~ 18:00 / 18:00 ~ 익일 09:00 타임으로 나뉘어진다. 야간 근무조의 경우에는 12:30 막차부터 04:00 사이에는 별다른 지침이 없는 경우에는 취침이 허용되는 경우도 볼 수있다.

5 업무

역에 관련된 모든 일을 한다고 보면 된다.

  • 고객 안내(맞이방·게이트·전화 안내)
  • 역구내 화재 및 사상사고 발생시 초동대응
  • 교통카드 충전·발매기 정비
  • 무임승차 단속
  • 역 수입 회계
  • 역내 시설 점검
  • 유실물 관리
  • 역 개방·폐쇄
  • 외부 단체와 협업
  • 역내 노숙자·이동상인 단속
  • 취객 진압
  • 환경미화[2] : 그러나 눈이 오는 경우에는 역무원이 직접 치워야 하는 경우가 있다. 혹은 지방의 어느역은 제초도 직접한다고 카더라. 그래서 일부 역마다 제설기예초기가 보급되어 있기도 하다.
  • 운전취급 : 여기서 운전취급이라 하는 것은 역내 상황을 무전을 이용, 철도기관사에게 통보함으로써 안전하게 승강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다. 도시 철도 같은 경우에는 막차, 일부 상황에 따른 경우를 제외하곤 거의 볼 수 없는 풍경이나, 일반 여객철도의 역이나 일부 출퇴근하는 간이역의 경우에는 이런식의 운전취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 민원 처리 : 코레일 고객센터에 들어오는 민원류는 모두 역무원들에 의해 작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사에서 읽는 글은 정보공개 부문만 한정한다. 나머지의 대부분의 민원류는 모두 역무원들이 작성한다. 특히, 민원들을 보면 보통 민원보다 가관인게 많은편, 단순히 열차가 덥다던지 화장실에 휴지가 없는 등의 단순한 민원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00열차 언제투입하나요? 00편성 소속이 어디고 그 편성의 000기관사님 요즘 어떠신가요?라는 민폐갑을 뛰어넘는 철싸대 수준의 민원도 올라온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고객센터에 문의해도 이런건 처리가 안된다는 것이니, 이런건 올리지도 말자.

6 장단점

6.1 장점

  • 월급이 높고[3], 비교적 안정적이다.[4]
  • 사원증으로 표를 대신해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다.[5] : 이 것은 사원증에 교통카드를 심어둔 것으로, 일반 결제되는 되는 부분을 개조한 것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도시철도 한정이지, 여객철도의 경우에는 사원증을 보여주면 이용할 수가 있다.
  • 역무자동화 도입으로 그나마 일이 많이 줄어들었다. : 과거 통표 처럼 역무원이 일일이 신호를 제어하는 것과, 승차권 항목에서 애드몬슨, MS권 당시에는 모두 수동으로 발권해서 매표소에서 판매를 해야하는 부분에 비해 많이 개선이 되었다. 물론 그만큼 업무량이 줄어 역무 인원도 줄어드는 데에 한 몫을 하고 있고 게다가 무엇보다 기기 고장도 생각의외로 많다는 것 때문에 줄어든 인력에 비해 업무량이 다소 늘어난 점이 없지는 않는다.

6.2 단점

7 직급

  • 역장#s-1: 역에서 가장 높은 직책이다. 그러나 일부 간이역은 역장이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
  • 부역장/역무팀장: 역장이 없을 때 이를 대신하는 직책이다. 관리역에는 부역장 외에 역무팀장이 존재한다.
  • 과장 - 차장 - 대리 - 인턴[6]

8 기타

  • 유명인을 1일 명예역장으로 섭외하기도 한다.
  • 동물이 명예역장을 맡는 곳도 있다. 당연히도 업무를 보는 일은 전무하고, 상징적, 홍보 차원에서 임명하는 것이다. 키시역(와카야마현), 역곡역 등에서 볼 수 있다.
  • 철도 사회복무요원의 입장에서 는 직장 상사나 마찬가지인 존재이다. 케바케이긴 하나, 자기는 쉬면서 일만 부려먹는 역무원이 있는가 하면, 일도 같이 해주고 밥도 사주는 역무원도 존재한다. 심지어 역에 따라선 사회복무요원에게 아무 일도 안 시키고 놀게 두는 역무원도 있다. 만약 사회복무요원으로 이런 역무원을 만났다면, 잘 대해주는 것에 감사하며 제발 좀 대들지 말자.
  • 간이역 중에 역무원조차 파견되지 않은 역을 무배치간이역이라고 한다[7].

9 작품 속의 역무원

  1. 심지어 서울 지하철 9호선은 그나마 역무도 CU에게 위탁할 정도.
  2. 연례 이벤트 식으로 역사 주변이나 철도 내 청소를 하기도 하나, 기본적으로는 따로 환경미화원을 둔다.
  3. 사실 공기업 중에선 하위권이지만
  4. 물론 기관, 회사 정사원 취업기준, 코레일 네트웍스 계약직으로 들어가면 업무 강도에 비해 별로 높지 않다.
  5. 회사마다 다르다. 민영철도회사의 경우 자사선만 이용할 수 있거나 심하면 근무역만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나마도 퇴근할때 놓고간다(S선의 N사).
  6. 코레일 기준
  7. 역무원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코레일 소속 역무원이 없더라도 코레일네트웍스 등 하청업체 소속 역무원이 있을 수 있기 때문
  8. 작중 역장으로 등장한다.
  9. 주인공이 역장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