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버스 111

상위문서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울산광역시 시내버스/목록

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
101102103104106107108111112114121122123124126
127131132133134203205206214216225226233235236
246256257266304307308313315317318323327328328-1
337338357401402405406407408411412413415417421
422426427431432433442453462472482504507527537
701702705708712713714715718724728732733744802
807817824827837847
† : 농어촌 노선, 환승대기시간 60분

1 주요 경유지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111번
기점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꽃바위공영차고지)종점울산광역시 동구 동부동(벽산유토피아)
종점행첫차06:50기점행첫차07:35
막차19:00막차19:40
평일배차출퇴근 100분주말배차100분
운수사명울산광역시공동운수협의회 회원사인가대수8대
노선꽃바위공영차고지 ↔ 일산새마을금고 ↔ 문현관 ↔ 방어동주민센터 ↔ 일산해수욕장 ↔ 동울산우체국 ↔ 현대중공업ㆍ울산대학병원 ↔ 남목2동 ↔ 현대청운고 ↔ 한국프렌지 ↔ 남목농협 ↔ 벽산유토피아

2 개요

울산광역시의 시내마을버스 노선.

배차간격이 준수한 다른 꽃바위노선들 때문에 방어진순환도로상으로 이동할 시에는 운이 정말 좋아야 잡아탈 수 있는 노선이다. 보통 이노선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남목사람들인데 순환도로상의 남목1동정류소의 위치가 남목외곽에 위치해있어 남목파출소 이북쪽이나 옥류복개천[1]연선에 살고 있는 주민들에게는 여간 불편한게 아니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덜 걷고싶거나, 나이드신분이나, 남목시장일대에서 장사를 하시는 분이 시간대를 잘파악하고 있다가 골라타는 수요가 많지는 않지만 있어 폐지되지 않고 근근이 운행되고 있다.[2][3]

형제 노선으로 기종점이 같은 131번이 있고, 옛부터 따지고 보면 121번도 이에 해당된다.

3 역사

초기에는 화암~남목1동(남목삼거리 회차) 구간만을 운행했었으나 남목안쪽의 교통편의를 위해 벽산유토피아까지 연장되었다. 그러고 한 동안은 남목삼거리로 진출입해 남목1동을 경유하였지만 철저히 남목안쪽 틈새수요를 노렸는지 2000년초쯤에 남목농협~남목파출소~한국프랜지 구간으로 변경되어서 영락없는 남목마을버스역할을 도맡아하게 된다.

4 기타

  • 2003년 8월 개편 전 번호는 7번.
  • 수요도 수요거니와 왕복 2차선의 복잡한 남목시장일대를 왔다갔다하기 때문에 중형차가 투입되지만, 가끔은 대형예비차가 비집고 들어 올 때도 있다.
  • 방어진특화노선답게 문현관과 방어진주민센터를 모두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문현로~문재로~꽃바위로 이런 식으로 운행.
  • 중공업부근에서 주전이나 정자로 이동할 때 남목프랜지 정류장에서 411번이나 121번으로 환승하면 도로 건널일없이 바로 그자리에서 환승이 가능하긴하다. 다만 배차간격이 시망이라서 보통은 남목1동에서 환승을 해야 하는 불편한 진실.
  • 타노선이 방어진종점을 사용할 때 이노선 혼자만 화암까지 운행했었다. 따지고 보면 꽃바위 제1호 노선인 셈.
  • 본 항목을 마지막으로 방어진 노선 전부 작성이 완료되었다.
  1. 남목초등학교에서 벽산유토피아를 잇는 도로
  2. 물론 동구특성상 중공업출퇴근수요로 인해 남목을 빠져나올때쯤이면 만석깔고 입석도 세우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3. 이런 이유로 성남동이나 학성공원에서 일부러 411번을 골라타는 손님이 있을 정도. 게다가 411번은 남목 북쪽의 끄트머리에 있는 남목3동사무소를 경유하기에 이 주변사람들에게는 인기가 많은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