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울산광역시 시내버스/목록
촬영일자 : 2012년 10월 20일
촬영장소 : 울산 중구 태화동
1 기본정보
울산 시내버스 133번 | |||||
기점 |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꽃바위공영차고지) | 종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연리(UNIST) | ||
상행 | 첫차 | 05:25 | 하행 | 첫차 | 05:25 |
막차 | 22:25 | 막차 | 22:30 | ||
배차간격 | 17~36분 | 인가대수 | 10대 | ||
운영 업체 | 유진버스 | 개편 전 번호 | 131번 → 1124번 → 133번(현재) | ||
노선 | 꽃바위 - 현대중공업 - 아산로 - 태화강역 - KBS - 장춘로(강변로) - 태화동 - 굴화 - 구영리 - 울산과학기술원 | ||||
특이 사항 | 아산로를 경유하는 유일한 입석 노선 |
꽃바위 ↔ 현대중공업 ↔ 남목1동 ↔ 아산로 ↔ 태화강역 ↔ 목화예식장 ↔ KBS방송국 ↔ 장춘로(성남동)[1]↔ 태화동 ↔ 삼호교 ↔ 굴화 ↔ 구영리(우미린2차) ↔ 선바위교 ↔ 범서읍사무소 ↔ 울산과학기술원
2 개요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울산광역시의 5개 구ㆍ군을 모두 운행하는[2] 노선 중 하나이다.[3] 총 길이는 39.50km이며 총 소요시간은 1시간 반 정도이다.[4]
대부분 염포로를 경유하는 꽃바위 노선과는 달리 아산로를 경유하는 노선이다.
3 역사
지금 133번의 시초는 좌석 버스였던 131번이다. 물론, 지금의 131번과는 무관하다.
1기 : 방어진↔동구청↔남목↔현대자동차↔학성공원↔성남동↔동강병원↔삼호교↔삼호동↔울산대학교↔문수경기장↔율리차고지
2기 : 방어진↔동구청↔남목↔현대자동차↔학성공원↔중앙시장(왕복)↔KBS방송국↔공업탑↔법원↔율리차고지 / 이 경로로 운행하고 나서 1124번으로 바뀜
1기 노선 당시 유일하게 태화강역과 공업탑을 모두 거치지 않는 좌석 버스였다. 그 외의 모든 좌석 노선은 그 둘을 빼먹지 않았다. 또 특이한 점은 삼호동을 경유하기도 했다. 이후 2기 노선으로 바뀌어 삼산로 구간을 운행하게 되면서 다시 공업탑을 들리게 되었다. 하지만 이 노선 변경으로 수요가 점점 감소했으며, 감차도 진행되어 3대로만 운행했던 적도 있었다. 결국 2007년 8월 13일 개편으로 종점이 율리차고지에서 선바위로 바뀌고, 운행 경로도 현재 133번 처럼 동구청을 들리지 않고 중공업을 경유하도록 바뀌었다. 이로써 태화강역은 경유하지만 공업탑은 경유하지 않는, 또 번영로, 옥교동, 태화동, 굴화, 구영리 구간을 운행하던 유일한 좌석 버스이기도 했다.
그런데 동구~터미널구간 이외에는 수요가 정말 적었던 관계로 시외고속버스터미널을 지나면 선바위까지 공차로 다니는 기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기에[5] 입석 노선으로 대체되었고, 이 과정에서 좌석버스 7대가 전부 시내버스로 개조되었다. 원래는 구조 전환 시작일이 2008년 6월이었으나, 현대자동차의 구조장치변경승인 지연 및 대상차량의 순차적 구조변경으로 인해 9월로 늦추어졌다. 울산에서 다시 좌석개조차량이 나온 사례이며 이후 1114번, 1715번의 폐지와 구 1128번의 형태전환으로 인해 다른 노선에서도 이런 경향을 보이게 된다. 또한 개조/형태전환 기간때는 1124번과 133번의 최초노선 중복무료환승이 적용되지 않았다. 입석 전환 이후, 동구~남구간 승객 뿐만 아니라 좌석 시절에는 공차수송 수준이었던 남구~범서구간에도 승객이 눈에 띄게 늘었다. 지금은 가히 폭발적
2016년 상반기 울산시내버스 운송수입금 분석 자료에 의하면, 운송수입금이 1위인 401번 다음으로 수익이 많이 나는 노선으로 기록되었다. 이쯤 되면 의심의 여지가 없는 유진버스의 밥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4 이용 패턴
아산로를 질주하는 유일한 입석 노선이다.(물론, 좌석 버스 1401번과 급행 버스 5001번도 아산로를 들린다.) 그로 인해 동구에서 터미널/태화강역까지 수요가 가장 많으며, 이 후에는 다소 한적해지지만 태화루에서부터는 구영리쪽으로 향하는 수요로 어느정도 사람들이 오르내린다. 특히 태화 5일장이 서는날(매 5일과 끝자리 0일)에는 터미널~태화루 사이에 한적한 구간마저도 보따리 싸서 장에 가시는 어르신들이 이용하신다. 또 학성여중, 중앙고, 제일중, 문수고 등을 거쳐가기 때문에 통학 수요도 담당한다.[6] 즉, 구간수요가 계속 이어지는 것.
과기원에서 출발하는 경우에는 구영리에서 남목이나 그 너머로 가는 경우는 선형이 좋은 울산 버스 123번을 좀 더 선호하지만, 이 지역에서 항상 어느정도 수요가 확보되는 삼호교~성남동을 경유하고, 차가 조금만 많아져도 막혀대는 신복로터리, 태화로터리 등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남구쪽의 주 수요처인 삼산동~태화강역의 급행급 노선 역할을 하고있다. 추가적으로 삼호교~성남동 사이에서는 다른노선과 달리 학성공원으로 우회하지않고 번영교를 통해 곧바로 삼산으로 운행하므로 역시나 삼산 방면으로의 선호도가 높다. 그리고 삼산동~태화강역 구간에서는 자동차를 들리지 않고 아산로를 달리는 덕택에 동구쪽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많아서 북새통을 이룬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과기원에서 남구까지는 구간수요로 적당하게 사람들이 오르내리고 남구에서부터는 많은 사람들을 실어나르는 중단거리 수요가 연속되는 장거리 노선이다. 이제는 급행으로 전환하면 돈 잘 벌리지 않을까 그러다 도로 1124번 시절이 되요!
5 기타
- 꽃바위공영차고지→선바위 방향으로 운행할 때에는 1124번과 동일하게 장춘로를 이용한다. 반면 선바위→꽃바위공영차고지 방향으로 운행할 때, 1124번과는 달리 구시가지(학성로)를 경유하지 않고 강변도로를 경유한다.
- 선바위로 종점이 바뀌었을 때, 구영리 구간 운행시 울주경찰서, 일신아파트, 점촌교를 거쳐서 선바위로 운행하였다. 이는 후에 과기원으로 종점이 옮겨질 때 우미린2차, 선바위교를 거치게 되었다.
- 1124번이 133번으로 형간전환된 이후 공업탑을 경유하지 않는 좌석노선은 사라졌으나 2008년 12월 29일에 1128번이 신설되면서 다시 공업탑을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 생겼지만 1128번 역시 108번으로 변경되면서 공업탑을 경유하지 않는 좌석노선은 완전히 사라졌다.
- 다운동 방면 노선 이외에 범서읍이 기종점인 노선중 유일하게 종점이 선바위였다. 천상리를 경유하지 않다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설립되어 종점이 선바위에서 UNIST로 변경되었고 이로서 728번만이 범서읍이 기종점인 노선 중 유일하게 천상리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 되었다.
6 연계 철도역
- ↑ 1124번 시절 꽃바위행은 옥교동을 경유하였으나, 133번으로 바뀌면서 강변로를 경유하게 되고, 결국 옥교동을 경유하는 유일한 좌석 노선이 사라지게 되었다.
- ↑ 동구 꽃바위~중공업~남목, 북구 염포~아산로, 남구 태화강역~터미널~번영교, 중구 중앙동~우정동~태화동, 울주군 굴화~범서~과기원
- ↑ 다른 노선으로는 104번, 106번, 114번, 123번, 411번, 431번이 있다.
- ↑ 사실 807번도 만만찮게 운행 거리가 긴 편인데(44.70km), 특히나 한때 배내골 지원운행 했을때는 울산 내에서 가장 길었다. 328번의 신설과 807번의 지원운행 폐지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지만.
- ↑ 실제로 태화동에서 탑승했을 때 고속버스터미널까지 승객이 아무도 타지 않은 적이 있었다.
- ↑ 게다가 삼산동/달동 구간에서 옥교동과 태화장이 서는 우정동으로 바로 이어주는 틈새시장 노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