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울산광역시 시내버스/목록
1 주요 경유지
울산시내버스 257번 | |
운영 업체 | 울산시내버스공동운수협의회 회원사 |
기점 | 울산 북구 창평동(농소공영차고지) |
종점 | 울산 남구 삼산동(태화강역) |
첫막차시각 | 05:40~22:25(창평동), 05:40~22:25(태화강역) |
배차간격 | 20~60분 |
인가대수 | 5대 |
개편전 번호 | 신설노선 |
특이 사항 | 2011년 11월 1일 신설 |
농소차고지 - 호계 - 신천 - 쌍용아진그린타운 - 달천아이파크1차[1] 천곡입구 - 가대 - 성안청구 - 금호아파트 - 혁신도시 - 중구청 - 학성교 - 태화강역
2 개요
2011년 가을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이다. 총 길이 26.60km로, 농소차고지 개장을 맞아 기존 452번[2]이 운영하던 농소~주연 구간과, 기존 808번(현 827번)이 운영하던 성안~중구청~학성공원 구간을 붙여 학성교-태화강역까지 연장한 노선이다.
여담으로 울산시의 노선번호 규칙에 따르면 본 노선은 287, 더 엄격히 따지자면 207 또는 712가 되어야 할 것이다. 아마 1127번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승객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주연동을 운행했던 452번의 가운데 5번을 그대로 따온 듯하다.[3]
덧붙여, 현재 울산광역시 교통관리센터 홈페이지나 네이버/다음지도 모두 선형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고 있는데, 성안농협을 지나 성안청구 정류장을 지나 우회전하여 임시개통된 도로를 타고 내려와 주연길로 빠진 뒤, 안시레길[4]을 거져 농서로로 진입한다.[5]
3 이용 패턴
북구 지역 주민들보다는 성안동 주민들이 더 많이 이용한다.
4 기타
- 이 노선의 신설로 인해 가대종점과 성안청구아파트 사이에 "시례마을", "내약마을"[6], "솔밭가든" 정류장이 새로 생겼다.
- 달천에서 성안동 사이구간은 왕복 2차로에다가 시골길이어서 간단하게 바람쐬고 싶을때 이용하면 좋은노선이다. 성안동 or 달천 이후로는 주거지나 도심지경유라서 환승도 편리하다.
- 2013년 11월 2일 개편으로 달천아이파크 1차를 경유하지 않고 천곡입구쪽으로 운행한다.
- 2014년 11월 1일에 '금호 - 백양사 - 경찰청 - 중구청' 구간이 '금호 - 동원1차.에일린3차 - 한국석유공사 - 산업인력공단 - 중구청'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4년 12월 27일 개편부터 신천을 경유하지 않는다. 관련 공지사항
5 기타 사건사고
6 연계 철도역
- ↑ 2013년 11월 2일 개편으로 인해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 ↑ 주요 루트는 율리 - 공업탑 - 시청 - 성남동 - 학성공원 - 병영동 - 호계 - 신천 - 상안중학교 - 주연. 본 노선 신설과 동시에 폐선.
- ↑ 그런데 첫자리와 끝자리가 울산 버스 표기 양식에 부합하기에 다소 애매하다.(2권역 - 농소, 연암) (7권역 - 삼산동)
- ↑ 콘크리트 포장+왕복 1차선 도로이다.
- ↑ 농소차고지 ↔ … ↔주연마을 ↔ 시례마을 ↔ 내약마을 ↔ 솔밭가든 ↔ 성안청구아파트 ↔ ... 순으로 운행.
- ↑ 원래 명칭은 “우리동”이었으나, 주민들의
징징요청으로 인해 2012년 5월에 개명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