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장성

1 개요

한국사에서 두 차례 등장하는 다른 위치의 장성.

이 이름들은 모두 현대에 와서 "천리"가 되었다는 기록에 따라 임의로 붙여진 이름이나, 사실상 공식 이름이 되었다.[1]

근데 지도만 봐도 알겠지만 정작 길이를 따저보면 고구려 천리장성은 천리를 훨씬 뛰어넘고 고려가 그나마 천리장성에 어울리는 길이다.

2 고구려의 천리장성(요동 방어선)

%EC%B2%9C%EB%A6%AC%EC%9E%A5%EC%84%B1%20%EC%B6%95%EC%A1%B0_s.jpg

王動衆築長城 東北自扶餘城 東南至海千有餘里(왕동중축장성 동북자부여성 동남지해천유여리)

왕이 백성을 동원하여 긴 성을 쌓았다. 그 성의 동북쪽은 부여성에서 시작하여 동남쪽으로 바다까지 1천여 리가 되었다.
삼국사기 영류왕 14년(631년) 기사.

당나라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고구려가 631년(영류왕 14년)에 축조를 시작한 성이다.
삼국사기에서는 요동만주벌판의 부여성에서 동남쪽으로 바다까지 1천여 리에 걸처 지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주요 학계에서는 비사성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참고. 이 성을 축조하는 데는 무려 16년이 걸려 647년에 완공.

2.1 구조 논란

고구려의 천리장성은 곳곳에 있는 토성들을 연결하면서 쌓은 토축성으로 너비가 약 6m이며 높이는 2~3미터의 고르지 않은 성벽이다. 하지만 돈대누각 같은 방어시설이 없는 단조로운 구성때문에 영구적인 방어보단 임시방편으로 적을 잠시동안이라도 저지할 목적으로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고구려의 천리장성을 중국만리장성이나 고려의 천리장성처럼 연결된 구조물로 볼 이유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고구려의 천리장성을 연결된 성으로 보기에는 왜냐하면 실체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만리장성과 고려의 천리장성은 지금까지 유적이 잘 남아 있다. 하지만 고구려의 천리장성은 그렇지 못하다. 남아 있는 것이라고는 부여성으로 추정되는 농안에서 요하 하구의 영구를 따라 서 있는 노변강 유적이 전부이다. 이 유적은 1940년대 조사에서는 높이 5미터나 됐었지만 지금은 상태가 양호한 구간은 약 1킬로미터, 기단부 너비는 6미터, 상층 너비는 3미터, 높이는 약 1미터에 불과한 상황이다.

노변강 유적이 천리장성의 전부라면, 노변강 유적을 제외하곤 흔적조차 남지 못한 토성을 쌓느라 고구려가 16년 동안 뻘짓을 할 이유가 있었느냐 하는 것이다. 생각해보자. 기록에는 남자들이 천리장성을 쌓는 데 죄다 동원되서 여성이 농사를 할 정도였다고 하는데 과연 고구려의 천리장성이 쉽게 허물어질 흙벽에 불과했느냐 하는 것이다. 고구려의 축성술이 그렇게 허접했었나? 1500년이 지난 지금도 그 위용을 자랑하고 있는 것이 고구려의 성이다. 그런데 과연 고구려가 쉽게 무너질 구조물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을까? 즉 고구려의 천리장성은 흙 장벽이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의 침입에 맞서 축조한 천리장성이, 뜻밖에 고구려-당과의 전쟁에서는 기록에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의문이 고구려 천리장성의 성격에 대한 오해를 더욱 부추겼다. 기록이 없기에, 고구려 천리장성이 적의 진격을 막기 위한 임시 방편이었다는 식의 오해가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천리장성의 완공 연도는 647년이다. 알다시피 제 1차 고당전쟁은 645년에 끝났다. 전쟁 때 천리장성이 무용지물이었다면, 전쟁이 끝난 뒤로도 성을 축조했을 이유가 없다. 고구려 사람들이 미친 놈들이 아니라면 말이다.

그렇다면 뭐란 말인가? 편견을 깨보자. '長城'을 무조건 만리장성과 같은 형태로 이해해야만 하는가?

고구려 전문가 김용만은 그의 저서 "새로 쓰는 연개소문傳"에서 천리장성을 장벽이 아닌 '요새 네트워크'로 볼 것을 제안한다.

우선 고구려-수나라와의 전쟁은 614년에 종결되었다. 수나라는 618년에 멸망하고 당나라가 건국되었다. 이세민은 626년에 즉위했다. 고구려는 천리장성을 631년부터 쌓기 시작했다. 고구려 정부는 당나라가 건국되고, 이세민이 야욕을 보이자[2] 위협을 느끼고, 수나라와의 전쟁에서 드러난 방어망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천리장성을 쌓은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고구려-수나라와의 전쟁과 고구려-당나라와의 전쟁 양상을 보면 사뭇 다르다. 수양제가 113만 대군을 끌고 온 제 2차 전쟁 때, 수나라 군대는 요하요동 반도를 가로지르는 천산산맥을 넘어 오골성과 압록강을 지나 평양 인근까지 침공하기도 하였다. 반면 제 1차 고당전쟁의 경우, 당나라는 천산산맥조차 넘지 못했다. 당나라는 돌파구를 찾으려 계속 신성, 건안성, 안시성 등을 두들겼지만 실패했다. 두 전쟁 사이엔 천리장성 축조가 있다. 두 나라가 같은 지역에서 싸웠으면서 다른 전쟁을 보였다는 것은, 고수 전쟁 후 축조된 천리장성이 역할을 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재차 강조하지만, 만약 이때 천리장성이 아무 짝에도 쓸모 없었다면, 전쟁이 끝난 647년까지 천리장성을 축조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장성의 방어 능력을 진지하게 생각해보자. 만리장성이 과연 적 침입 방어에 얼마나 효과적이었을까? 진시황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3]만리장성은 훗날 여러 왕조를 거치며 개축되고 또 개축되었다가 명나라 때 와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그런데 만리장성이 북방 민족의 침입을 막은 경우는 얼마나 있을까? 거란족, 여진족, 몽골족, 우리 귀에 익숙한 이민족이 중원을 침략할 때 만리장성은 아무 역할도 하지 못했다. 물론 만주족산해관을 넘는 데 곤욕을 치른 예가 있긴 하다. 하지만 이때는 화약 무기가 발달한 때다. 만주족홍이포의 위력 때문에 산해관 넘기가 힘들었던 것이지 장성 자체의 방어력이 좋아서 그런 것은 아니다. 고려의 천리장성은 또 어떤가? 요나라와의 3차 전을 마무리하고 요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지었다곤 하지만.. 이후 몽골의 침입 때 역시 가볍게 패스되고 말았다. 즉 장성은 결코 적 침입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반면 개별적인 성들이 서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경우라면 사정은 달라진다. 한 성이 공격 받을 때, 다른 성에서 지원을 할 수 있으며, 성과 성이 적의 보급로를 끊을 수 있다. 또 어느 한 성이 무너지더라도 또 다른 성이 있으므로 방어선이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반면 방벽과 같은 구조는 한 곳만 무너지면 그냥 뚫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것은 스타 크래프트를 생각해도 쉽게 답이 나온다. 적을 막기 위해 파일런이나 서플라이 디팟 등을 가지고 일렬로 쭉 늘여놓는 것이 효과적일까, 불규칙적 혹은 유닛이 다닐 길목에 성큰이나 포토 캐논을 배치하는 게 효과적일까. 당연히 후자가 더 효과적이다. 실제로 645년 4월, 당나라 군대가 고구려 개모성을 공격할 때 개모성 주변에 있는 가시성에서 지원군을 보내 당나라 군대를 공격한 경우가 있다. 백암성이 공격 당할 때도 오골성에서 1만의 지원군을 보내기도 하였다.

이렇듯 고구려-당나라와의 전쟁에서 고구려 성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하면서 적의 침입에 맞섰다. 그런데 문제는 고구려에 이런 성이 한 두 개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고구려 멸망 후 당나라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고구려의 성은 총 176개이다.[4] 이 중 80%는 요동 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무슨 말이냐? 그야말로 한정된 지역에 가능한 한 많은 숫자의 성이 요동 지역에 자리하고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즉 고구려만리장성과 같은 장벽 방어망보다 요새 네트워크 방어망을 선호했다는 이야기이다.

이와 같은 점을 볼 때, 고구려의 천리장성은 편견처럼 만리장성과 같은 연결된 구조물이 아니라 요새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고구려가 천리에 이르는 구간에 길게 성을 쌓았다는 것은 기존에 있던 성들을 증축, 보수하거나 새로운 성들을 쌓았다는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고구려의 천리장성은 1) 무용지물이 아니었으며 2) 임시로 대충 만든 것도 아니었으며 3) 만리장성과 같은 장벽 구조가 아니었다.

그렇다면 노변강 유적은 무엇인가? 분명 천리장성의 시발지가 부여성이라고 하였으므로, 요동부여성 사이의 평원에도 천리장성이 축조되었을 것이다. 노변강 유적은 만리장성과 같은 장벽 구조라 할 수 있는데, 평원이라는 지역적 특수성과 고구려가 지배 하에 두고 있던 이민족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방벽으로, 이 지역에는 형태를 달리하여 장벽 구조로 성을 쌓았을 가능성이 있다. 혹은 제 3차 고당 전쟁 때 부여성이 함락되면서 주변 40개 성도 같이 함락되었다고 하는데 이때의 성들이 천리장성의 범주에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다만 이런 설명은 고구려에서 그러한 종류의 '요새 네트워크'를 장성이라고 불렀다는 증거가 없다는 약점이 있다. '장성'을 성벽이 이어진 긴 성으로 보는 것은 편견이 아니라 그게 장성이라는 단어의 의미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만리장성이 침략을 막는데 쓸모가 없었다고 주장하면서 고구려인들이 미친 놈들이 아니라면 이런 성을 축조할 이유가 없다고 말하는 것은 듣기에만 그럴듯할 뿐 사실 앞뒤가 맞지 않다. 그렇다면 중국인들은 대대손손 미쳤기 때문에 전국시대부터 명대에 이르기까지 쓸모도 없는 장성을 쌓느라 고생했다는 말밖에 되지 않는다. 만리장성 항목에도 나오듯이, 장성은 대군의 공격을 직접적으로 막기에는 적합하지 않더라도 적군의 움직임을 제한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천리장성은 다른 이유로도 유명하다. 바로 연개소문의 쿠데타의 배경이 되기 때문이다. 연개소문은 641년 천리장성 축조의 총 지휘를 맡았다가 642년 10월 영류왕과 온건파 대신들을 싹 쓸어버리는 쿠데타를 일으켰던 것이다.

3 고려의 천리장성

만적침략, 유소축천(蠻狄侵略 柳韶築千, 북방 오랑캐의 침략에, 유소(柳韶)가 천리를 쌓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천리장성을 쌓다 - 마흔네 번째 이야기_북방 오랑캐의 침략을 막기 위해

(평안도 의주목의) 옛 장성을 세간에서는 속칭 만리장성이라고도 한다.[5]

신증동국여지승람, 세종실록지리지

파일:Attachment/천리장성/chunrijangsung.gif
고려장성(高麗長城)이라고도 한다.

고려의 천리장성은 (거란),(여진)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되었으며 현재도 그 흔적이 남아 북한국보로 지정되어있다. 고구려의 장성이 요동반도에서 만주 중부까지 이어져있다면 고려의 장성은 압록강 하류 어귀(강동6주)에서 평안남도 북단을 가로질러 함경남도의 동해 바닷가(정평 해안의 도련포)까지 이어져 있었다.

본래 고려 초때부터 북방민족의 침입에 대비하려 했으나 이러저러이유 실행하지 못했다가 3차에 걸친 여요전쟁이 끝난 후인 1033년(덕종 2)에 평장사 유소(柳韶)로 하여금 성을 쌓게 하였다. 유소는 옛 석성(石城)을 수리하고 위원진,정융진을 두어 국방을 강화하였고 유소는 이러한 석성들을 바탕으로 축성 계획을 세웠고, 국경 각 지에 산재해 있던 성들을 연결하고 새로 축조하거나 보수하여 11년이 지난 1044년(정종[6] 10년)에 완성하였다. 다만 사실상 덕종 때의 1년에 대부분을 쌓은 것으로 본다고 한다. 거란은 항의했으나, 고려의 무마로 넘어갔다.

석재를 사용하였고, 기초에는 흙을 단단히 쌓아 성축을 높였으며 평지에는 양면축조방법[7], 절벽에는 절벽 그 자체를 성벽으로 삼는 방법을 사용했다. 그리고 경비초소를 두는 등 최전방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시킨 것으로 보인다.

성벽의 높이와 폭이 4~7m(높이와 폭이 각각 25자) 정도로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성이다. 대몽항쟁때는 어이없게 무너졌으나, 의주 등지에서 일부 성곽은 아직도 남아있다.

만리장성과 비교하다보니 만리장성과 북방이민족과의 관계를 천리장성과 여진족에 대입하여 설명한 경우도 있었다. 즉 이민족을 막기위해 장성을 쌓은게 아니라 장성을 쌓아서 이민족이 본격적으로 문명세계와 분리되면서 결집했다는 이야기. 60년뒤 윤관여진정벌이 일어난걸 생각하면 흥미로운 가설이다.

동북공정으로 중국에서 헛소리 할때 소재가 되기도 한다. 중국 여러 역사학자가 천리장성은 만리장성 일부분이라며 주장을 하는데 이를 바탕으로 현 고려의 천리장성까지 중국 땅이었다는 개드립을 치기도 한다.
  1. 만리장성 역시 "장성"이라고만 불렀으나 후에 만리장성이란 수식어가 붙었고, 중국인들은 아직도 장성이라고 부른다.
  2. 이세민은 아버지 당 고조 이연과 달리 팽창 의욕이 강했다.
  3. 다만 이때의 만리장성도 전국시대 각국이 지어놓은 장성들을 연결한것이다.
  4. 그러나 이는 멸망 직후 당나라가 장악하고 있던 지역에 있던 성의 갯수일 가능성이 크다. 현재까지 발굴된 고구려의 성만 해도 300개에 조금 미치지 못하는 정도이다.
  5. 이것이 환빠들에게 넘어가서 그만 대륙고려설, 대륙조선설의 떡밥거리가 되었다. orz
  6. 고려 3대 왕이 아닌 후대의 왕
  7. 일반적으로 성벽은 공사에 들어가는 자원을 줄이기 위해 외벽에만 석재를 사용하거나, 외벽만 높게 짓는다. 그렇지만 성문처럼 적의 공격이 집중되는 곳이나 평지처럼 지형에서 오는 혜택을 기대하기 어려운 곳에서는 중간에 흙이나 돌을 넣고 안팎에서 돌을 쌓아 내외벽을 모두 갖추는 축성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를 양면축조법(또는 협축식 축조법)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