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숙왕

" />?width=50
고려의 역대 국왕
26대 충선왕 왕장27대 충숙왕 왕만28대 충혜왕 왕정
묘호없음
시호충숙의효대왕
(忠肅懿孝大王)
능묘의릉(毅陵)
왕(王)
도(燾)/만(卍)
의효(宜孝)
몽골식 이름아라트나시리
(阿剌訥忒失里)
배우자복국장공주(濮國長公主), 조국장공주(曹國長公主)
경화공주(慶華公主), 공원왕후(恭元王后)[1]
아버지충선왕
어머니의비(懿妃) 야속진(也速眞)
생몰년도음력1294년 7월 7일 ~ 1339년 3월 24일
양력1294년 7월 30일 ~ 1339년 5월 3일 (46세)
재위기간음력1313년 3월 갑인일 ~ 1330년 7월 갑자일(17년)[2]
양력
재위기간
(복위후)
음력1332년 2월 갑자일 ~ 1339년 3월 계미일(8년)
양력

고려의 제27대 왕. 충선왕의 아들이자 개혁군주인 공민왕의 아버지 되는 사람. 원래 이름은 도(燾)였으나 즉위 후 만()으로 개명. 자는 의효(宜孝)로 충선왕의 차남. 그의 어머니는 충선왕의 2번째 부인인 의비[3].

1 첫 번째 재위시절

1299년 강릉군에 봉해졌다. 그의 친형인 세자 왕감이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해 충선왕에 의해 살해당한 뒤에 충선왕의 후계자가 되었으며, 1313년 원나라심양왕 자리를 지키던 아버지의 양위를 받아 즉위했다.

하지만 이 책임감 없고 이상한 아버지 충선왕은 평생 아들의 발목을 잡게 되는 결정을 남겼다. 안 그래도 충선왕이 상왕으로 건재해서 충숙왕의 왕권이 약한 상황에서, 상왕인 충선왕이 1316년 자신의 원나라 작위인 심양왕 자리를 이복형 강양공의 차남인 연안군 왕고에게 물려준 것이다. 물론 온전한 자의가 아닌 정치적으로 압력을 받은 탓에 조카에게 물려준 듯 하나, 이는 충숙왕에게 위협이 되고 나아가 고려 조정을 어수선하게 만드는 근본적 원인이 되었다. 또한 명목상의 만주를 포괄하는 거대한 영토 역시 사라졌다.

왕고는 고려 왕 자리에 욕심을 품고 지속적으로 사촌인 충숙왕을 모함했는데 결국 왕이 주색에 빠져 정치를 소홀히 한다는 이유로 원나라에 소환되었다가 풀려나기를 반복했다.[4] 심지어 왕고는 1321년 원 영종의 명령으로 충숙왕이 압송 되자 2년간 고려 국왕을 자칭하기 까지 했다.

2 아들에게 양위하다.

이런 현실 속에서 왕이 잘 해보겠다는 의욕을 상실하는 것은 당연한 것일지도. 결국 싫증이 난 왕은 "왕 노릇 못해 먹겠다"며 자신을 위협하던 심양왕 고에게 양위할 뜻을 내비쳤으나, 중신들의 반대로 무산되기도 했다.[5] 심양왕 왕고는 지속해서 충숙왕을 모함했으며 심지어는 원나라 황제에게 아예 그냥 고려를 성(省)으로 만들고 원나라가 직접 통치하죠이라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이를 입성책동이라고 하며, 이는 원 내부의 반대 의견[6]이제현의 노력 등으로 무산되었다.[7] 그런데도 왕고와의 알력이 끊이지 않자 1330년 아들 정에게 양위하고 원나라로 갔다. 그 아들이 바로 한국사 막장 군주 중 탑을 달리는 충혜왕이다.

3 복위 후

충혜왕의 막장 짓을 보다 못한 원나라는 결국 2년 만에 충혜왕을 폐위시키고 다시 충숙왕을 복위시켰으나, 정치에 뜻을 잃을대로 잃은 왕은 신하도 만나지 않고 사냥과 음주가무로 소일하다가 8년만에 1339년 3월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46세. 시호는 충숙의효대왕(忠肅懿孝大王)으로 원의 시호를 쓰지 않는 경우에는 '의효왕'이나 '의왕(懿王)'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참고로 의종과는 한자가 다르다. 그나마 이사람에게 다행한 일은 충정왕이 폐위후에 차남인 공민왕이 즉위했다.

4 평가

아버지 충선왕의 이해 못할 병크로 뭘 해 보고 싶어도 해 보지 못하고 의욕 없이 왕위에 있었으며 원나라에 자주 끌려다니며[8] 귀찮은 재위기간을 보낸 임금.

하지만 업적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1318년의 업적이 특히 많다. 원나라에 보내는 무리한 세공을 삭감하는 데 어느 정도 효과를 보기도 했으며 당시 백성들의 큰 고통이었던 공녀나 환관들을 원으로 보내는 것을 줄여 달라고 청원하기도 했다.

제주도의 사용(使用, 또는 士用)·김성(金成)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검교평리(檢校評理) 송영(宋英)을 보내어 안무(按撫)하게 하였다.

같은해 폐단이 많았던 사심관(事審官)을 폐지하였으며, 제폐사목소(除弊事目所)를 설치하였다가 찰리변위도감(察理辨違都監)으로 고쳐 권문세가가 점령한 땅을 색출하여 그것을 원래의 주인에게 돌려주게 하였다. 또, 채무에 있어서 고리대금업을 막아, 그 이자가 원금에 상당할 때에는 그를 정지시키는 등 단속에 힘을 기울였다. 그리고 안향을 문묘에 배향하였으며, 화자거 집전민추고도감(火者據 執田民推考都監)을 설치하였다. 최소한 아예 고려왕이라는 책임감이 부족해 아예 대도에서 원격 통치를 하며 자신의 학문 사업과 원 제국의 정치싸움에만 몰두하던 충선왕보다는 충숙왕의 치세는 그나마 나았다. 또 여러 혼란이 많았지만 재위기간이 25년으로 원나라에 끌려간 기간을 빼면 20년, 충혜왕에게 물려준 기간을 더하면 22~27년으로 길다는 것도 특기할 만은 하다. 물론 결과적으로는 아버지보다 단명했지만 말이다.

왕 개인적으로는 글씨와 문장에 두루 능했으며 성품은 침착, 총명하고 결단력이 있었다고 고려사는 전하지만 그 평가에 걸맞는 활약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애초에 원나라 간섭기의 모든 군주들이 그렇듯 뭘 해 보고 싶어도 할 수 없던 것이 현실이었지만. 신진사대부를 발탁시킨 충선왕과 충목왕 사이에서 충숙왕은 재위가 길었음에도 이런 친위 세력을 기르려던 흔적을 보이지 못한다. 거기에 아들 충혜왕의 막장 짓 때문에 아들을 자주 혼냈다고 전하는데, 아들에 대한 스트레스도 그의 단명을 앞당겼을지도.

5 기타

주목받지 않는 사실이지만 고려 후기 개혁 군주인 공민왕의 아버지이다.

20160929001559_0.jpg

2016년 바티칸 비밀문서고에서 1333년에 당시 가톨릭 교황 요한 22세가 충숙왕에게 보낸 서한의 필사본이 발견되었다. 이 서한이 충숙왕에게 도착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왕께서 그 곳(고려)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잘 대해주신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무척 기뻤습니다."라는 구절이 있기에 당시 고려에 소수이든 다수이든간에 그리스도교인들이 있었다는게 확인되었다.

또한 영상에서 라틴어 번역자가 "결론적으로 말하면... '고려 왕 당신은 하느님의 좋은 종(Good Servent)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보낸 신자들을 환대해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라고 편지 내용을 요약해주는데, 만약 '우리가 보낸'이라는게 번역자가 임의로 붙인 내용이 아니라면, 당시 동아시아에 존재하던 네스토리우스파 신자가 아니라 가톨릭 신자가 고려 땅을 밟은 셈이 된다.[9] 다만 임의로 붙인 내용이라면, 고려 왕실은 몽골 황실과 연결되어 있었고 몽골에서는 네스토리우스파가 황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므로 아마도 고려에 거주하던 네스토리우스파 신자들을 가리키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물론 가톨릭이 아니라 네스토리우스파라고 하더라도, 그건 그것 나름대로 의미가 있지만.

다만 해당 기사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무슨 서유럽과 고려 간에 교류가 있어서 고려의 금속활자가 서유럽의 금속활자에 영향을 줬다는 것은 현재로서는 신빙성이 낮으며 서유럽의 금속활자는 동양의 금속활자와는 다른 독자적인 체제를 통해 만들어 졌기에 근거가 없는 주장이다. 해당 문건은 고려 시대 당시 한반도 내 그리스도교인이 존재하고 있다는 증거로만 봐야 한다.해당기사 오류 지적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코에이원조비사에서 시나리오 3 '원조의 성립'에서 고려 국왕으로 등장하는데, 이 시나리오의 시작 년도는 1271년[10]으로 태어나기 전에 고려의 국왕이 되어 있다. 덩달아 아들인 충혜왕과 공민왕도 등장하며 수하 무장으로 최영이성계가 있다. 뭐야 이거. 능력치가 그저 그렇다 보니 많은 유저들이 충숙왕을 죽이고 아들인 공민왕을 후계자로 해서 플레이하기도 했다고. 현실에서도 안습이었는데 게임에서까지 안습.
  • MBC HD창사 특집 드라마 <직지>에서 등장한다. 배우는 이정길
  1. 충혜왕공민왕의 어머니 명덕태후가 이 사람이다. 참고로 충선왕의 제 4비인 순화원비 홍씨(順和院妃 洪氏)는 공원왕후의 친언니이다.
  2. 1321년부터 1323년까지 2년간 대도에 압송되어 고려 국왕인(도장)을 빼앗겼다.
  3. 몽골인인데, 원나라 황족 출신은 아닌 듯하다. 어쨌든 몽골인이라서 그 전에 있던 충선왕의 부인들의 자리를 밀어내고 2번째 부인이 되었다고 한다.
  4. 왕고의 모략 때문 뿐만 아니라 충숙왕의 아내인 복국장공주가 갑자기 죽은 일이 있었는데, 이게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피흘릴 정도로 두들겨 패 죽였다는 혐의를 받고 원나라에서 문제삼은 적도 있었다. 그런데 사실 복국장공주는 고려에 올 때부터 몸이 이미 좋지 않은 상태였으며, 애당초 두 부부의 사이는 좋지 않아서 허구한 날 부부싸움을 벌였다고 한다.
  5. 이 이전에도 심양왕 고의 형제들에게 작위를 주는 등 제법 유화적인 자세로 나갔다.
  6. 굳이 그럭저럭 안정된 정국에 괜히 불씨를 던질 필요가 있냐는 의견.
  7. 여담으로 이 때 고려가 원의 직할령 시도를 방어하는 데 내세운 것 중 하나가 바로 쿠빌라이 칸의 명령인 세조구제. 실제로 원나라가 몇 차례나 고려를 완전 합병하려 할 때마다 이 세조구제는 가장 확실한 방어막이 되어 주었다.
  8. 충렬왕충선왕은 제 발로 원에 자주 들락거렸으나 충숙왕이 원에 갈 때에는 강제 호출된 경우가 많았다.
  9. 당시 원나라 수도 대도에는 가톨릭 성직자들이 파견되어 있었으므로 고려에 가톨릭 신자가 가는게 부자연스러운 일은 아니다.
  10. 역사적으로 이 때 고려 국왕은 원종. 일본 원판에서는 국왕이 원종이지만 한국에 수입되면서 비스코에서 몽고와 관련된 인물들로 고려 측을 싹 갈아버려서 충숙왕이 대신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