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유행전염병

(판데믹에서 넘어옴)

폭스툰에서 연재하는 웹툰에 대해서는 PANDEMIC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Pandemic
汎流行傳染病

1 개요

국경을 넘는 광범위한 지역으로 퍼지는 전염병. 인플루엔자 AAIDS, 결핵 등이 이런 질병으로 분류된다.

2 역사 기록상의 예시

  • 아테네 역병(Plague of Athens) (영어위키에서는 Pandemic 문서에 이 병도 포함한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중이던 BC 430년에 사람이 과다하게 모여있던 아테네를 쑥밭으로 만들어버렸다. 2006년에 아테네 대학에서 그 당시의 집단무덤을 발굴한 결과 장티푸스인 것 같다고 연구결과가 나왔다.
  • 안토니누스 역병(Antonine Plague)
서기 165~180. 천연두 혹은 홍역으로 추정되는 병이며, 소아시아(중동)에 원정 갔다가 복귀한 병사들을 통해 이탈리아 반도에 퍼졌다. 4~500만명 정도가 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51~266년에 2차로 창궐한 키프로스 역병(the Plague of Cyprian) 때문에 로마 시에서 하루에 5,000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서기 541~750. 이집트에서 시작해서, 봄에 콘스탄티노플까지 전염되었다. 최악일 때는 콘스탄티노플에서 1일에 5,000명씩 사망해서 도시 인구가 40%까지 떨어졌다. 그 근방의 사람들의 절반이 이 병 때문에 죽었다고 한다. 이 병으로 인해 동로마 제국이 확장하려고 하던 것이 정지되어 버렸으며, 이 역병만 없었다면 동로마 제국이 다시 이탈리아 반도를 장악했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덤으로 브리튼 섬의 로마화된 브리톤인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혀 브리톤인들이 남부 브리튼 섬에서 앵글로색슨 족에 의해 궤멸되고 웨일즈 지역으로 밀려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페스트 계열로 추정된다.
14세기에 7천 500만명 정도가 죽었고, 그 뒤에도 19세기까지 산발적인 유행을 보였다. 아시아에서 출발했다고 추정되며, 유럽에는 1348년에 크림 반도에서 전투를 피해서 도망온 이탈리아 무역선으로부터 번진 것이 시작이라고 추정된다. 6년만에 2000~3000만을 죽여서 유럽 인구의 3분의 1정도가 죽었다. 당시 중국과 몽골에서도 크게 유행해서, 중국 남송지역의 인구감소 원인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하며, 칸국의 칸까지도 흑사병에 걸려 사망하는 등, 유라시아 대륙에서 수많은 사망자들을 낸 질병이다.
  • 런던 대 역병(Great Plague of London. 1665–66)
영국에서 발생한 마지막 대규모 페스트 유행 사례. 당시 런던 인구의 20%인 10만명이 죽었다.
  • 3차 대역병 (Third Pandemic)
19세기 아시아 콜레라, 혹은 페스트로 여겨지고 있다. 인더스 강 유역의 풍토병이었으나, 1817년 벵골 지방에서 퍼져나가 인도 무굴 제국은 물론 스리랑카(1818년 12월), 미얀마, 말라카 해협의 반도를 비롯한 인도차이나(1819년), 인도네시아 자바섬 및 남태평양 제도(1820년), 중국 청나라 원난 성, 광동 성을 비롯한 중국 전역(1821년 ~ 1822년), 조선(1821년 7월 하순), 시모노세키를 비롯한 일본 열도와 제주도(1822년)까지 이르렀다. 불과 5년 사이에 전 아시아를 휩쓴 것이다.[1] 가장 치명타를 입힌 곳은 그 당시 인도로, 인도에서만 1000만명이 희생당했다.
한국에서는 고통이 호랑이가 몸을 찢는 것과 같다고 하여 "호열자"(虎列刺)라고 불렀다. 조선의 경우 수도 한성(서울)의 사망자만 13만명에 달했으며, 이후로도 1833~1835년(순조 말~헌종 초), 1859~1860년(철종 말), 1879년~1881년(일본에서 역수입), 1885~1886년, 1890년, 1902년에 계속 콜레라가 발생했다. 이 가운데 1902년 콜레라는 대하소설 토지에서 최 참판댁의 주인들이 사망하면서 주인공 최서희가 친척 조준구에게 집을 빼앗기는 배경이 된다.
1918년에서 1920년까지 맹위를 떨쳤던 독감. 2000년대 초반에서 유행한 조류독감의 바이러스인 H1N1 바이러스에 의해 유행한 독감이고, 사망자의 숫자는 2500만~50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15만여 명 이상 사망했다. 발생원은 1918년 3월 미국 시카고 부근이며, 고병원성으로 발전한 것은 1918년 8월 15일, 아프리카 서해안의 영국 보호령 시에라리온의 수도 프리타운 부근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차대전때 프랑스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병영에서 발생했으나 보도검열로 인해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그러나 중립국인 스페인에서 이 문제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졌기 때문에 스페인 독감으로 불렀다. 곧이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미군들이 귀환하면서 9월에는 미국에까지 확산되었다. 9월 12일 미국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 지 한 달 만에 2만 4000명의 미군이 독감으로 죽고, 총 50만 명의 미국인이 죽었다. 1919년 봄에는 영국에서만 15만 명이 죽고, 2년 동안 당시 전세계 인구 15~20억의 1%를 초과한 2500만~5000만 명이 죽었다.
  • H2N2
1956년 중국에서 발생했으며 1958년까지 전세계적으로 유행하여 약 200만 명의 사망자를 낸 독감. 발원지와 주요 유행 지역 때문에 아시아 독감(Asian flu)이라고도 불린다.
1960년 콩고 분지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전역에 유행했으며 아프리카 이외의 문화권에서도 공포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던 매우 유명한 전염병.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여전히 사망자가 나오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희생자 수는 300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3 판데믹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전염병

2009년 멕시코를 시작으로 전세계적으로 유행했던 독감. 한국에서도 엄청나게 유행했으며 이로 인한 손씻기나 소독 문화가 일시적으로 크게 유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엄청난 전염력에 비해 몹시 낮은 치사율[2] [3]때문인지 세간의 경각심은 생각보다 저조한 편이었다.
남아시아에서 발생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으로 2003년 중국에서 발생해 대기를 통해 전파되는 특성으로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던 병이다. 2003년 7월까지 8,422명의 환자가 발생했었고 그 중 10.9(918명)%가 사망했다. 젊은이들의 사망률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노인 환자들의 50%가 사망했다.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특성으로 홍콩, 베트남화교 사회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나갔다. 하지만 검역 대책이 철저했던 일본에서는 감염자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한국의 감염자도 3명에 불과했다. 2003년 여자축구 월드컵이 개최 이전 된 이유. 2004년이 되어 잦아들었다.
대표적으로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2014년 2월 서아프리카 기니에서 첫 환자가 발생. 지역 내부에서만 감염자가 발생한 후 사그라들던 이전 에볼라 유행과는 달리 국경을 넘어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나이지리아(20명) 등 서아프리카 전역을 휩쓸고, 선교사와 여행자를 통해 미국스페인에도 감염자(각각 4명, 1명)가 발생하면서 제1세계까지 긴장시켰다. 2014년 10월 초 당시 8399명 감염, 4033명 사망으로 50%에 육박하는 사망율을 보였다.
미국과 스페인에서의 전염도 퍼져나갈 추세로 보여 스페인 독감 수준의 판데믹이 예고된다는 비관적인 전망까지 나왔었다. 세계보건기구는 현 추세대로라면 12월에는 매주 1만명의 신규 감염자가 나올 것이라고 예측되었다.# 2015년 초 지점에서 진정되면서 동년 6월 감염자 27,341명, 사망자 11,184명 선에서 진정되었다.

4 영화

2016년 5월에 개봉한 좀비 아포칼립스 영화. 감독 존 슈이츠. 좀비 아포칼립스에서의 1인칭시점의 영화는 참신했지만 그다지 큰 반응은 얻지 못했다.

5 보드 게임

팬데믹 문서 참고.

6 플래시 게임

Pandemic. Dark Realm Studio에서 개발한 플래시 게임 시리즈. Plague Inc.와 비슷하게 전염병을 퍼트려 인류를 절멸시키는 게임이지만 시기적으로는 이쪽이 먼저다. 그러나 Plague Inc.에 비해 시스템도 복잡하고 플레이 시간이 너무 걸리고 그래픽도 떨어져 인기는 그쪽에 비하면 별로 없다. 시작 시 국가 선택조차 마음대로 못 할 정도.

이전의 시리즈는 Plague Inc.와 비슷한 방식으로 크게 변화하는 점은 없었으나, 2010년에 나온 Pandemic: American Swine은 확 달라졌다. 이전 시리즈들이 전세계를 배경으로 하는데 반해 2010년작은 미국만을 배경으로 하며,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질병이 신종플루로 한정되어 있다. 플레이 방식도 질병으로 인류를 절멸시키는 게 아니라 정반대로 질병에 맞서서 인류를 지켜내는 방식이다. 그래픽도 좋아지고 진입장벽도 낮아졌으나, 여전히 높은 난이도가 문제라면 문제.

모든 링크는 Kongregate에 걸려있으며, 시리즈 순서대로이다.

Pandemic
Pandemic: Extinction of Man
Pandemic 2
Pandemic: American Swine

7 관련 문서

  1. 유럽이나 남미는 물론 미국샌프란시스코러시아에서도 퍼진 적이 있다고 한다!
  2. 한국에서 무려 76만 명이나 감염되었지만 사망자는 270명에 불과했다.
  3. 사실 전염병이란 게, 전염성이 엄청나게 높지만 않다면 치사율은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다. 전염되기 전에 숙주가 죽어버리면 퍼지질 못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