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35

----
보잉항공기
민항기
-협동체광동체
쌍발기B717 · B737 · B757B767 · B777 · B787
3발기B727-
4발기B707B747 · B2707
군용기
전투기P-26 · F-15SE
전자전기EA-18G
폭격기B-17 · B-29 · B-47 · B-52
수송기C-135 · VC-137 · VC-25 · C-32 · C-40
조기경보기E-3 · E-6 · E-8 · E-737 · E-767
공중급유기KC-97 · KC-46 · KC-135 · KC-767
대잠초계기P-8
ABLYAL-1 · NHK-135
기타X-32 · E-4 · YC-14
헬리콥터
군용CH-46 · CH-47
보잉의 1954년 이전 주요 모델
B247 · B307 · B377



C-135 Stratolifter (C-135 스트라토리프터)

1 개요

미 공군의 장거리 수송기 계열이다. 총 803대 생산되었다.
1998년 당시의 달러 가치로 가격 환산 시, 3960만 달러이며 이를 2015년 환율로 계산 시[1] 471억 7천만 원이다. 1998년 환율로 계산 시[2] 540억 5천만 원. 천조국 클라스

2 역사

2.1 개발

1954년 보잉에서 최초로 만든 터보제트 실험기인 367-80이 원형이다. 보잉에서는 이 기체를 베이스로 하여 여객용 보잉 707과 군용 C-135를 기획하였고, 미 공군에서 취역을 긍정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내 취역이 확정되어, 1955년부터 생산되기 시작하여 1956년에는 첫 비행을 하였고, 1957년 6월에 처음으로 취역하였다.

당시 보잉의 병맛나는 작명 센스로 인해(...) 이 수송기의 이름은 '스트라토리프터'(Stratolifter)로 정해졌다. 예전에는 포트리스를 밀었다는 건 함정 이를테면 B-29라던가

의의로, 최초의 제트엔진 수송기라는 타이틀이 있다.

2.2 투입과 그리고...

주로 VIP 수송용(VC-135)와 기상관측기(WC-135), 전자전기(EC-135)[3] 공중급유기(KC-135)로 나뉘어 생산되었다.

1965년까지 생산되었고 최종 생산 대수는 803대. 나쁘지 않은 실적이긴 하다.

일선 수송 투입이 검토되었지만, 이 기체는 고익기가 아니고 후방 램프가 없는 등, 2차대전 후기들어 구체화된 현대적인 수송기의 디자인을 갖추지 못했다. 게다가 C-130C-141이 나와서 백지화되었다.

2.3 근황

노후 전투기 보관소에 C-135E이 3대 있다.
OC-135가 러시아 영토에 추락했는데 정보수집이 목적이 아니라 기계오류로 인해 추락한것이다

3 파생형

  • KC-135
    • OC-135 (관측기)
    • NC-135/NKC-135 (다목적 실험기)
    • RC-135 (정찰기)
  • VC-135 (VIP 수송기)
  • WC-135 (기상관측기)
  • EC-135 (전자전기)

신기하게도, 파생형 대부분은 실적이 좋았다. KC-135는 732대(!)가 팔려나갔고, RC-135도 32대라는 정찰기 치고는 준수한 실적을 자랑한다. WC-135 또한 10대 이상의 실적을 내는 등, 기상관측기 치고는 준수한 실적을 자랑한다.

4 제원

전장39.88m
전폭41.00m
전고11.68m
날개폭39.88m²
날개 면적226.0m²
적재 중량98,466 Ib / 44.663t (44,663kg)
최대 이륙 중량322,500 Ib / 124.960t (146,000kg)
최대 속도933km/h
순항 속도853km/h
조종 승무원3명
엔진프랫&휘트니 TF33-P-5 (추력 8,165kg) x4
CFM 인터내셔널 CFM56
최대 연료 항속 거리7,800nm
최대 적재 항속 거리2,250nm (37,300kg)
실용 상승 한도12,200m
  1. 이동 2015년 9월 1일 기준 1176원
  2. 이동 1998년 9월 1일 기준 1365원
  3. 이동 VC/WC/EC-135는 총 45대 취역. 대부분의 생산분량을 KC-135가 다 해먹었다. 몰라 뭐야 이거 무서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