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47 Stratojet
보잉의 항공기 | ||
민항기 | ||
- | 협동체 | 광동체 |
쌍발기 | B717 · B737 · B757 | B767 · B777 · B787 |
3발기 | B727 | - |
4발기 | B707 | B747 · |
군용기 | ||
전투기 | P-26 · F-15SE | |
전자전기 | EA-18G | |
폭격기 | B-17 · B-29 · B-47 · B-52 | |
수송기 | C-135 · VC-137 · VC-25 · C-32 · C-40 | |
조기경보기 | E-3 · E-6 · E-8 · E-737 · E-767 | |
공중급유기 | KC-97 · KC-46 · KC-135 · KC-767 | |
대잠초계기 | P-8 | |
ABL | YAL-1 · NHK-135 | |
기타 | X-32 · E-4 · YC-14 | |
헬리콥터 | ||
군용 | CH-46 · CH-47 | |
보잉의 1954년 이전 주요 모델 | ||
B247 · B307 · B377 |
1 제원
전장 : 32.65m
전폭 : 35.37m
지상고 : 8.54m
엔진 : J-47-GE-23(B형), J-47-GE-25(E형)
최대속력 : 약 마하 0.8 (607 Mph)
항속거리 : 약 4000해리
승무원 : 3명(조종사, 부조종사, 관측원)
방어무장 : 12.7mm 기관총 2문(B형), 20mm 기관포 2문(E형)
무장 : Mk.15 수소폭탄 2발(3.9Mt) 또는 B41(25Mt) 또는 B53(9Mt) 또는 최대 25000파운드의 통상폭탄. Bold Orion 공중발사탄도미사일
2 상세
B-47은 미국 최초의 제트 전략폭격기로[1], B-17과 B-29/B-50를 잇고, 대체하였다. 대형 제트기 최초로 후퇴익을 적용하였으며, 제네럴 일렉트릭 J-47 터보제트 엔진 6기를 주익 하부에 포드 형태로 장착한 디자인은 후계기인 B-52 스트라토포트리스는 물론 보잉 707을 비롯한 제트 여객기들의 디자인이 완성되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당시 미 공군의 제트 중폭격기 도입사업에 참가하여 B-47과 경합했던 노스 아메리칸의 B-45, 컨베이어의 XB-46, 마틴의 XB-48은 B-47의 적절한 혁신성에 밀려 망했어요.[2]
3 특징
파일:DcnTX2m.jpg
마치 전투기를 연상시키는, 조종사와 부조종사의 탠덤식 좌석 배치와 캐노피[3]가 눈에 띄는 특징이다. 전투기를 닮은 외형처럼 비행특성도 이전까지의 폭격기들과 비교하면 나름대로 전투기스러웠다고 한다. 탑승했던 승무원의 회고에 따르면 루프는 물론 360도 롤도 그럭저럭 할 만한 레벨이라 전투기 기분을 내기에는 딱이었다 한다.[4]
승무원은 항법사와 폭격수(정찰기형의 경우 사진기사)를 겸하는 관측요원과, 조종사, 후방 기총사수를 겸하는 3명으로 구성되었다. 이전 세대 폭격기인 B-29의 11명과 비교하면 파격적으로 줄었고, 최신 전자장비의 도입으로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실제의 승무원들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다.[5]
B-36과 동일한 K-4 폭격 조준장치를 장비하여, 동일한 작전능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가느다란 날개와 동체가 주는 인상과는 달리 B-29와 비슷한 크기를 가진 대형기로, B-29의 20000파운드를 능가하는 25000파운드의 폭탄을 탑재할 수 있었다. 이론상 500파운드 기준으로 최대 28발까지의 통상폭탄을 탑재할 수 있었으나, 그보다는 2발의 MK.15 원자폭탄을 탑재하는 핵투발 전력으로서의 능력이 더욱 중시되었다.
방귀 뿡~
초기의 터보제트 제트 엔진치고 가속 좋고 연비 좋은게 별로 없기는 했지만, 실제로 J-47 엔진의 출력 부족은 B-47B는 물론, 그런 문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는 B-47E에 와서도 끊임없이 미 공군을 골치아프게 만든 문제였다. 특히 이륙할 때가 문제였는데, 엔진이 플레임 아웃 되기라도 하면 그대로 망했어요.[6] 도쿄 대공습 때의 B-29들처럼 폭탄을 만재하고 이륙하려다 주저앉은 사례도 있다. 결국 출력의 강화와 물 분사장치의 장착으로 B-47B형까지 쓰이던 내장식 RATO가 폐지된 B-47E에서도 RATO는 계속해서 쓰이게 된다.
또한 조종사의 조작에 따른 엔진과 기체의 반응이 느리다는 것은 착륙 때에도 상당한 어려움을 주었다. 자전거처럼 앞뒤로 배열된 랜딩 기어는 균형을 잡기 쉬워서 나름대로 호평이었지만, 안 그래도 하방 시야가 그다지 좋지 않은데 반응 느린 기체 가지고 어프로치하자니 죽을 맛...결국에는 에어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소형 드래그슈트를 장비하여 이 문제를 어느 정도 보완하긴 했다.[7]이 감속용 낙하산은 나중에 미 해군이 빌려가서 실험용 잠수함 알바코어에서 테스트해보게 된다.
여러 모로 과도기적인 성격을 가졌지만, 그 덕에 제트 폭격기로서는 엄청난 수량이 생산되었고 나름대로 성공했다고 할 수 있는 기종이다.[8]
4 바리에이션
방어무장이 없는 선행양산형 B-47A를 거쳐, 처음으로 양산되어 전략공군사령부에 배치된 B-47B와, 시험적으로 [앨리슨] J-35 엔진을 4기 장착한 YB-47C, 마찬가지로 라이트 YT-49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한 YB-47D, B-47B의 J-47-GE-23에 비해 출력이 강화된 J-47-GE-25 엔진을 장착하고 방어무장을 12.7mm 기관총 2문에서 20mm 기관포 2문으로 강화한 최종양산형 B-47E형까지 모든 계열기[9]를 합쳐 총 2032대가 생산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생산된 폭격기 중에서 단연 으뜸이다. 이게 가능했던 이유는 B-47이 현대의 폭격기에 비해 매우 저렴한 것도 한 몫했다. 당시 가격이 190만 달러였는데, 현재 가치로는 200만 달러쯤 된다. 참고로 B-52는 이보다 2~3배 비싸며, B-1 랜서는 14배, B-2 스피릿으로 가면 40배를 넘는 가격이다.
초기형과 후기형을 구분짓는 외형상의 포인트는, 기수 관측요원석의 창문 개수(XB-47부터 시작해서 B-47A와 B와 E로 가면 갈수록 계속 줄어든다)와, 핵폭발시의 열을 반사하기 위한 백색의 반사 도장(E형 도입 이후 실시되었다.), 동체 후부의 내장된 RATO의 유무(E형에서 폐지) 등이다.[10]
최초의 양산형인 B-47B 계열을 제외하면, XB-47을 포함한 모든 파생형에 사출좌석이 채용되었다. B-47B는 후덜거리는 엔진 출력 문제로 중량을 줄이기 위해 사출좌석을 빼버리는 대신 기수 하부에 있는 탑승용 해치에 비상탈출시 사용하는 바람막이를 장착했다. 1968년 툴레 섬 근방에서 발생한 B-52 추락사고에서도 드러나듯이, 그러한 고전적인 탈출방식은 고고도를 고속으로 비행하는 제트 폭격기에서는 실패할 확률이 높아서 승무원들의 불만을 샀다.[11]
5 여담
그렇게까지는 잘 알려진 폭격기는 아니지만, 상당히 가늘고 우아한 동체 라인 덕분에 숨겨진 팬도 은근히 많은 편이다. 제임스 스튜어트가 출연한 영화 <전략공군사령부>에서는 B-36과 함께 당당한 주역으로 등장하며 질리도록 볼 수 있다.
모형으로는 +몰드인 하세가와 구판 1/72 스케일 B/RB-47E형과, 하비크래프트/아카데미의 1/144 스케일 B-47B/E가 있다(1/72 스케일 버큠폼도 있긴 있다). 원래 하비크래프트에선 B형과 E형과 RB-47E가 각각 따로 출시되었는데, 아카데미에서 판매중인 키트는 B형과 E형을 선택조립할 수 있다. 마킹은 하비크래프트판에서 들어있던 것과 동일. 하세가와나 하비크래프트나 은근히 잘못된 부분이 보이긴 한다는 게 아쉽지만, 어차피 마이너 기종이니...[12]- ↑ 다만 도입 일자는 조금 느리지만, 미국의 제트 폭격기 첫 실전 투입 기종은 B-57이다. B-57은 좀 더 소형의 전술(?) 폭격기로 영국의 제트 폭격기인 캔버라에 몇가지 개선과 엔진을 교체하여 라이센스 생산 한 버전으로. 이후 80년대 중반 까지 정찰기로 잘 써먹고 퇴역 시켰다.
- ↑ B-45 토네이도는 애초부터 캔버라 같은 전술 폭격기에 가까운 성격의 기종이었고, XB-46과 XB-48은 직선익의 고리타분한 디자인을 가졌던데다 성능도 딸렸다. 결국 XB-46과 XB-48은 탈락하였고, B-45만이 소수 도입되어 전술폭격기나 사진 정찰기 등으로 사용되었다. 반면에 경합에는 참가하지 않았지만 스펙상 강력한 경쟁자가 될 가능성이 있었던 노스롭의 YB-49는 시대를 너무 앞서나가 버린 디자인(전익기!) 때문에 망했다. 하지만 전익기 디자인은 이후 B-2 스피릿에 다시 채용되었다.
- ↑ 초기형은 슬라이드식으로, 후기형은 위쪽으로 열리긴 하는데 기체의 지상고가 너무 높아서 통상적인 탑승용으로는 거의 안 쓰고 주로 택싱 중에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썼다. XB-47의 시험비행 도중 갑자기 뜯겨나가는 바람에 테스트 파일럿이 끔살당한 사고가 있었으나 이후 개량된다.
- ↑ 후술하겠지만, 언제까지나 적절한 고도와 적절한 속력에 도달해있었을 때에만'... 만일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그랬을 경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 안 그래도 전투기스러운 조종석 때문에 휴식공간도 없이 좁은 기체에서 장거리 임무까지 수행하기에는 아무래도 무리... 결국 후계기인 XB-52에서는 승무원이 총 6명으로 늘었고, 양산형에서는 탠덤식 좌석 배열 역시 폐지되어 우리가 아는 B-52의 형태가 된다.
- ↑ 조종사가 전투기를 조종하는 기분에 빠지기 쉬운 기종이었고, 프로펠러기에서 제트기로 넘어오던 시절이라 무리한 조작으로 한쪽 날개의 엔진을 몽창 꺼트리고 뒤집혀 추락한 사례가 꽤 있었다.
- ↑ 문제는 공중에서 쓰기 위한 이 드래그슈트를 쓰려다가 지상에서 활주속도를 줄이기 위한 대형 드래그슈트를 펼쳐 버리는 조종사가 은근히 있었다는 점. 일단 그런 실수로 추락한 사례는 없다. 추락한 사례만은...
- ↑ 물론 동급이라 할 수 있는 소련의 Tu-16 배저가 지금도 중국에서 당당히 현역으로 쓰이고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중국은 Tu-16을 대체하기 위해 Tu-22M 백파이어를 들어오려고 했으나 결과적으로는 김칫국만 잔뜩 들이킨 꼴이 되었다.
- ↑ 훈련기형 TB-47, 전략 정찰기형 RB-47, 기상관측기 WB-47, 전자전기형 EB-47 등. 생산량이 많은만큼 무인기 모기나 표적기나 각종 테스트용 플랫폼까지 바리에이션도 많다.
- ↑ 물론 E형 중에서도 B형처럼 관측요원석 좌측에 창문이 많거나 반사도장을 안 한 경우도 있다. 워낙 생산량이 많다보니 시기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 ↑ 툴레 섬 사건 당시, 편승한 교관 조종사에게 사출좌석을 내줬던 부조종사는 하방 해치로 탈출하던 도중 동체와 충돌해 머리에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다. 그런데, 영국의 V폭격기 시리즈에서는 사출좌석이 조종사들 것밖에는 없었다.
- ↑ 하비크래프트 1/144의 경우, 기수 부분에 툭 튀어나와 있는 광학식 폭격조준경이 기수 한 가운데에 있다(실기는 공중급유구 때문에 왼편으로 치우쳐져 있다). B형으로 선택조립 시 사용되는 부품의 창틀 몰드도 마찬가지. 오른쪽의 창 하나를 칠해버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