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 for she


성 이념과 문화
성(性)이념젠더 연구젠더학(젠더) · 여성학 · 남성학 · 퀴어학
여성주의
페미니즘 · 페미니스트 · he for she · 여성주의 치료
대체 성(性) 이념남성주의 · 안티페미니즘
관련 이슈성평등 · 성 역할 · 양가적 차별 · 유리천장 · 여성징병제 · 여성 전용 · 성차별(통계) · 남성혐오 · 여성혐오
남성우월주의 · 여성우월주의 · TERF · 성노동자 · 젠더 감수성 · 상의탈의#s-1.3(토플리스) · 루이스의 법칙
성(性)문화성산업포르노 · 성인물 · 성 상품화 · 매춘 · 성인용품 · 유흥업소
성 관련 제도와 규범
성 관련 제도결혼부부 · 이혼 · 조혼 · 동성결혼 · 난혼 · 일부일처제 · 일처다부제 · 일부다처제
가족동거 · 가족구성권 · 유사가족 · 가족사회학 · 한부모 가족 · 다문화가정 · 입양
제도생리휴가 · 할당제 · 여성가족부
성범죄성폭력강간 · 유사강간 · 강제추행 · 준강간 · 준강제추행
성적 일탈
비범죄간통 · 성희롱

1 UN 여성 인권신장/성평등 캠페인 HeForShe

092566173580e4ebe799a0082b6fcaa2254d275c2998434325b40fc195873cf5_1.jpg

페미니스트엠마 왓슨이 이 캠페인의 홍보대사로 위촉되어 유명해졌다. 성 평등의 실현을 위하여 여성은 남성과 연대해야 함을 역설하고 있는데, 이때 여기에 참여하는 남성들을 일컫는 신조어가 바로 이하의 용례다.

2 1번 항에서 비롯된 페미니스트 남성 지지자를 지칭하는 용어

페미니즘 및 여성차별, 여성억압, 여성비하 문제에 해박한 배경지식을 갖고 있으며, 더 나아가 자신의 지식을 실제 사회운동과 자신의 삶에서 드러내 보일 수 있는 남성들. 쉽게 말해서 풍호 성별만 남자일 뿐 당장 페미니스트라고 불러도 이상하지 않을 것 같은 사람들.

페미니스트의 범주 속에 남성이 포함될 수 있는가의 문제는 미결의 논제이기 때문에 선뜻 이들을 일컬을 만한 표현을 찾지 못하던 와중에,[1] "he for she" 라는 쌈빡하게 직관적인 표현이 공감대를 얻으면서 널리 퍼졌다. 여성 이슈가 흔히 여성들에게만 관심을 끌고 남성들에게는 크게 관심을 끌지 못한다고 여겨지고 있지만,[2] 점점 더 많은 남성들이 페미니즘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여성들과 함께할 의향을 적극 피력하고 있다. 베네딕트 컴버배치톰 히들스턴의 사진으로 널리 알려진 this is what feminist looks like 캠페인이 대표적.

그러나, 곧 페미니즘 내부에서는 이들을 페미니스트로 인정하고 동지로 받아줄 것인지에 대해 격론이 벌어졌다.

2.1 남성이 페미니스트가 되는 것은 가능한가?

페미니즘 내부에서도 아직 이거다 싶은 결론이 내려지지 않았다. 그 논쟁의 규모는 비록 TERF를 비롯한 트랜스포비아 논란까지 가지는 않아 보이지만, 앞으로 지속적으로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UN을 비롯한 일각에서는 여성운동의 성공에는 반드시 남성들의 연대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남성들을 여성운동의 일원으로 참여시키는 데에 상당한 거부감을 보인다. 그래서 상기 연설에 대해서도 "엠마 왓슨, 유감이지만 네가 틀렸어" 라는 블로그 포스트를 올리는 해외 페미니스트들도 종종 나타나곤 한다. (소위 "래디컬" 하다고 통하는) 급진 페미니즘 계통이나 아나키즘적인 성향의 운동가들이 이런 사례가 많다.

국내에서도 한때 여성운동 계에 큰 이슈가 된 적이 있었다. 지난 2002년에는 남성으로서 여성운동에 참여하던 사회운동가인 김규항 씨가 여성권익단체 "일다" 와 정면충돌을 하여 논란을 불러일으킨 적도 있었다. 중립적인 관점에서 사건을 되짚어보는 포스트. 와중에 해당 이슈를 보도하느라 중간에 끼었던 한겨레 역시 덤으로 욕을 먹기도 했다.(…)

아래에서 보듯이, 양쪽 모두 페미니즘의 가치에 기초하여 나름의 근거와 추론을 갖고 주장하고 있는 만큼, 이 문제에 대해 쉽사리 결론을 도출하기는 어려운 일일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대체적으로 "가능하다" 는 쪽이 지분을 상당히 더 많이 가져가는 편. 어찌 보면 당연한 게, 불가능하다는 주장은 자칫하면 페미니즘에 우호적이던 남성까지도 적으로 만들어 버리기 때문에 괜한 충돌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

2.1.1 긍정론

"1997년힐러리 로댐 클린턴베이징에서 여성의 권리에 대한 연설을 했습니다... (중략) ...슬프게도 청중들의 30% 정도만이 남성이었습니다. 우리가 만일 세계 인구의 절반만을 초대한다면, 세계 인구의 절반만이 이런 대화에 참여하길 원한다면, 어떻게 세상이 바뀔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저는 남성들에게 정식으로 초대합니다. 양성 평등은 당신들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중략)

...남성과 여성은 똑같이 자신이 세심하다고 느낄 자유가 있고, 강하다고 느낄 자유가 있습니다. 남성과 여성은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이해되어야만 합니다."

- 엠마 왓슨

He for she가 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에서는 적절한 재교육을 통하여 젠더 감수성을 갖추게 된 남성들에게 적극적으로 연대의 손길을 내민다. 이들의 목표는 성평등을 이루기 위해서 페미니즘이 추구하는 이상과 가치를 남성들에게 확산시키고 그들을 자신들의 대열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이쪽에서는 페미니즘의 요체를 태도, 이해, 신념, 세계관, 가치관의 문제라고 본다. 즉, 남성들이 새로운 태도와 이해를 갖게 되었다면, 그들 역시 페미니스트로 불리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들은 가부장제남성우월주의가 결과적으로는 남성들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 있음을 경고한다. 남성들 중에도 분명히 약자를 억압하기 싫어하는 사람이 있고, 스스로가 섬세하고 여리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고, 지배적이라기보다는 복종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유년시절부터 이미 가부장제적 사회에서 자신의 본성을 부정당하게 된다. 이것을 드러내려고 해봤자"남자가 되어 가지고 어딜...... 콱 짤라 버릴라!"과 같은 냉소와 비웃음만이 돌아올 뿐이다. 이를 다른 말로 맨 박스(man box)라고도 한다.[3]

사회는 이들에게 마초적 남성으로서의 과중한 책임을 부여하고, 이들은 어릴 때부터 불필요한 책임에 깔려서 불행을 경험하게 된다. 페미니즘은 비단 여성뿐만 아니라 이러한 남성들에게까지 도움이 될 수 있기에, 이들을 대상으로 적극 연대의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본다. #

생각해보면 대부분의 평등주의 운동은 핍박받는 자들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거의 없고, 항상 '기득권자 출신이지만 자신의 기득권을 버리고 핍박받는 자들의 편에 선'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여 성공시킨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페미니즘 운동도 남성을 배척하기보다는 포용해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2.1.2 부정론

이쪽 입장에서는 he for she는 불가능하거나 내지는 페미니즘의 추구하는 가치에 양립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대신에 이들은 대안적 아이디어로서 she with she를 제안한다. 이들이 해야 할 일은 여성들이 남성의 지원이나 도움 없이 주체적인 힘으로 성평등을 이루어내는 일이며, 남성의 간섭과 개입은 페미니즘 운동의 본질을 훼손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이 보기에, 남성은 태생적으로 여성을 이해하는 데 실패한다.[4] 이쪽에서는 페미니즘의 요체를 여성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살아감에 있어서 유년기부터 지속적으로 겪어 온 역경의 경험의 누적, 그리고 여성 간에 형성되는 유대감을 통한 극복에 있다고 본다. 즉, 남성들이 아무리 페미니즘에 관심을 표명하고 그들을 위해 싸워 줄지라도, 그들은 원론적으로 절대 페미니스트가 될 수 없다.[5]

이것은 기본적인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되는데, 가능하다는 부류가 남자와 여자를 같은 사람 으로 보고 같은 사람이므로 똑같이 평등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이들은 남성을 여성과는 다른 적대적인 존재로서, 투쟁을 통해 권리를 쟁취해내야 할 대상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들은 he for she를 긍정하는 것이 페미니즘이 추구하는 가치에 양립되지 않는다고 본다. 즉 여성들만의 힘으로 무언가를 이루어낼 수 없다는 암묵적인 패배주의가 박혀 있다는 것이며, "백마 탄 기사" 로서의 소위 "합리적인" 남성 운동가를 모집하지 않으면 페미니즘 운동이 성공하지 못할 것처럼 말해서도 안 된다고 주장한다.

페미니즘은 남성들의 '구원'이 없이도 충분히 잘 진행될 수 있으며, 남성들이 감 놔라 배 놔라 하는 것은 주제넘은 오지랖이고 맨스플레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페미니즘의 정신에 "제대로" 입각한다면 남성과의 연대를 끊는 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하며 남성은 타도의 대상으로서 재정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남성들은 페미니즘 운동의 동지가 아니라, 여성들의 인권에까지 신경써 주는 온정적인 "오빠"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더 이상의 남녀 간의 다툼을 바라지 않고 양성이 평등하게 평화로운 사회에서 살아가기를 바라는 '남자'들의 생각은 무시당하는 꼴이라는 비판이 있다. 어릴 때부터 어른들이 말하는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에 의문을 가지고 염증을 느끼고, 사람은 평등하게 자신이 원하는대로 살아야 한다고 생각해 온 남자들에게는 그들의 사상적 동료, 선지자로 여겨온 페미니즘에게 '너희들은 태어날 때 남자로 태어났으니까 안돼'라고 완전히 배척받은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런 경우의 남성들은 페미니즘이라는 이름 대신 젠더 이퀄리즘이라는 이름아래 운동하는 경우가 많다. 엄연히 다른 사상이지만 가장 가까운 사상이기 때문. 괜히 "래디컬" 페미니즘이 아니다
  1. 단 위키피디아에는 페미니즘에 호의적인 남성의 태도를 pro-feminism이라는 단어로서 등재하고 있다.
  2. 당장 흔한 대학교의 성폭력 예방 강연 같은 것만 보더라도 학생들의 강연에 임하는 태도에서 생각보다 큰 차이를 보인다.
  3. 종종 남성 역차별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왜 고자드립은 있는데 고녀드립은 없냐" 같은 얘기를 하곤 하는데, 서로 별로 관계가 없으므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 맨 박스는 "남성성이 부족한 남성들에게 남성성을 강요해서 그들이 불행해지게 만든다" 는 것으로, 여성에 대한 억압과 정확히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일부 남성들이 억압당하는 문제가 존재한다는 논리다.
  4. TERF인가 아닌가에 따라서 부연설명이 붙기도 하고 안 붙기도 한다. TERF가 아닐 경우, 이 뒤에 "굳이 페미니즘에 합류하고 싶은 남성이 있다면, 우선 '짜르고' 와라"는 부연이 붙는다. MTF 트랜스젠더 마저 배척하는 사람들은 그들조차도 여성을 이해할 수 없다고 본다. "자궁 없는 자 말하지 말라"는 말이 이러한 관점을 대표한다.
  5. 이는 페미니스트가 되는 것이 페미니즘 운동의 최종 목적이기 때문이라기보다는, 페미니즘 운동에 남성의 협력 제안을 받아들일지 아니면 거부해야 할지에 대해 발생하는 의견 차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