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123

제2차 세계대전의 나치 독일군 항공기
전투기전투기Bf109, Fw190, He 100, He 112, Ta152
重전투기Bf110, Do335, Me210/410
야간 전투기Bf 110G, Do 217/N, Ta 154, He219 우후
제트기 / 로켓추진 전투기Ba 349, He 162, He 280, Me163 코메트, Me262
폭격기경폭격기 / 급강하폭격기Hs123, Hs 129, Ju87, Do 17
中폭격기He 111, Ju 88, Ar 234
重폭격기Do 19, Fw 200, He 177, He 277, Ju 89, Ju 188/388, Ju 390
수송기Ju 52, Ju 290, Me323 기간트, SM. 79, 융커스 G.38, Bv 222
정찰기Fw189 우후, Fi 156 슈토르히, Hs 126, Bf 108
프로토타입 및 페이퍼 플랜Ta183, Ho229, 리피쉬 Li P.04-106, Me 264, Ta 400, Me P.1092, Me P.1101
기타미스텔, V1, V2, Ar 96, BV238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Henschel_Hs_123_in_flight.jpg
Henschel Hs 123
04500_HENSCHEL_HS_123_A_1.jpg

 제원
Hs 123 A-1

분류 : 단발단좌 급강하폭격기/근접 지원 항공기
전장 : 8.33m
전폭 : 10.50m
전고 : 3.2m
익면적 : 24.85㎡
엔진 : BMW 132Dc 9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880마력
자체중량 : 1,500kg
전비중량 : 2,215kg
최대속도 : 341km/h (고도 1,200m)
작전반경 : 860km

무장 :
기수 카울링 상단에 7.92mm MG17 기관총 2정
(야전개조로 20mm MG FF 기관포 탑재기 존재)
주익 하면과 기체 하부에 최대 450kg의 폭장

스페인 내전 ~ 제2차 세계대전까지 독일공군에서 운용한 급강하폭격기/근접지원기. 현재는 슈투카라고 하면 Ju87의 별칭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원래 급강하폭격기를 의미하는 단어이고 독일공군 최초의 슈투카는 헨쉘사의 Hs 123이다.

Hs 123을 개발하게 된 동기는 의외로 Ju 87과 동일하다. 에른스트 우데트미국에서 헬다이버 급강하폭격기의 시범을 보고 필이 확 꽂혀서 급강하폭격기 개발을 적극 추천하였고, 아돌프 히틀러가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개발을 지시하면서 잘 알려진 Ju 87 슈투카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다. 하지만 1930년대 초반까지는 저익단엽기가 주류가 아닌 상황이었고 몇 가지 신기술을 적용하여 개발한다면 실전배치까지 얼마나 오랜 시간이 소요될지 확답을 못하는 상황에서 잠시 땜빵용으로 운용할만한 과도기적 기체를 요구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추진된 것이 단좌복엽기 버전의 슈투카 개발계획이었고 헨쉘사와 피즐러사가 경쟁에 참가하였다. 성능 테스트에서 이 계획을 적극 추진한 에른스트 우데트가 직접 조종해본 결과 헨쉘사의 시제기가 피즐러사의 시제기 따위 쌈싸먹는 성능을 보여주며 독일공군의 발주를 따냈다.

Hs 123 시제기는 656마력짜리 BMW 132A-3 엔진을 사용하였으나, 양산버전에서는 880마력짜리 BMW 132Dc 엔진으로 개수되었다. 기본적으로 자위용 무장인 MG17 기관총 2정을 장착하였으며, 동체 하면에 250kg 짜리 폭탄을 장착하거나 외부연료탱크를 동체 하면에 장착할 경우 주익 양쪽에 50kg 짜리 폭탄을 각각 2발씩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복엽기이긴 했으나 주익과 보조익의 일부를 제외하면 전금속제 항공기로 제작되었기에 아주 시대에 뒤쳐진 수준의 기종은 아니었다.

1936년부터 선행 양산분이 배치되기 시작하였으며, 스페인 내전에서 지상군 지원을 위해 쓸만한 기체파견을 요청받자 Hs-123이 파견되어 첫 실전 투입이 이루어졌다. 다만 이 실전데뷔가 Hs 123의 향후 운명을 결정짓고 말았는데 본업인 급강하폭격 성능도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부업인 지상군 근접지원용으로 더 쓸만하다는 사실을 각인시켰다(…). 아무래도 복엽기다보니 속도가 느린 편이었고 다른 고속폭격기보다는 지상군과 호흡을 맞추기 쉬운 편에 속했다. 게다가 외부연료탱크 탑재까지 가능하였으니 지상군 위를 장시간 맴돌수 있었으며, 복엽기 답게 크기가 매우 작아 대공화기에 의한 피탄확률도 낮은 편이었다. 이래저래 근접지원기로써의 메리트를 쏙 갖췄던 셈. 그 때문에 실제 2차대전 무기를 다룰 때 Hs-123을 급강하폭격기보다는 근접지원기로 분류하는 모습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이후 Ju 87의 양산이 시작되고 각 전선에서 악명을 날리면서 급강하폭격기로써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고, 독일공군 수뇌부에서도 Hs 123의 생산을 중지하였다. 그렇게 일선에서 완전히 물러나나 싶었는데... 정작 Ju 87은 주요 목표물에 대한 일격필살의 급강하폭격에 특화되었다보니 오히려 근접지원에 부적합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국 독일공군은 마땅한 대체품을 찾지 못하고 걍 뽑아둔 Hs 123을 계속 근접지원용 항공기로 굴렸다. 이후로도 마땅한 대체품이 개발되지 않고 항공기수도 부족하다보니 동부전선에 까지 파견되어 근접지원임무에 투입되었다. 당초 독일군 수뇌부는 너무 구닥다리 기체라서 신나게 털리는게 아닌가 우려했는데, 오히려 동부전선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높은 가동률을 기록할 수 있는 항공기란 사실이 확인되어 더 열심히 굴려먹었다.

워낙 쓸만한 기체다보니 1943년 독일공군에서는 동부전선에서 활동중이던 일선 지휘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 복엽기의 생산재개를 진지하게 고려하기도 했다. 하지만 항공기를 제작했던 헨쉘사에서 이미 수 년 전에 모든 생산라인을 폐기한 상황이었고, 다른 항공기 생산도 슬슬 버거워지기 시작한 상황이라 결국 생산재개 계획은 취소되었다. 그 때문에 잔존기체로 굴려먹을 수 있을 때까지 굴려먹었지만 계속되는 손실과 부품수급이 어려워지자 결국 일선에서 하나둘 물러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45년에는 잔존기체 모두 보급품 투하 등의 비전투임무로 돌려져 일선에서 완전히 물러나게 되었다.

독일공군 이외에도 중일전쟁 초반에 중국공군에서 이 기체를 12대 구매하여 급강하폭격기로 운용하였으며 양쯔강에 기웃거리는 일본해군의 전투함을 상대로 써먹었다. 물론 막장중국군은 이 기체를 제대로 굴려먹지 못했다(…). 그 외에 스페인에서도 스페인 내전 직후 독일공군이 운용하던 기체를 사들이고, 추가로 주문하여 운용하였다. 다만 스페인은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별다른 전과가 없다.

독일공군 내에서도 "저거 이제 갖다버려야 되는 거 아님?"이란 소릴 자주 들었지만, 뽕을 뽑고도 남을 정도로 잘 굴려먹은 기체이다. 그 때문에 일각에서는 독일이 운용한 항공기 중에 매우 효율적인 무기였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여담으로 Hs 123에 장착된 BMW 엔진의 경우 특정 RPM대에서 나는 엔진음이 기총사격할 때와 비슷한 소리를 내는 특징이 있었다. 이를 파악한 Hs 123 조종사들은 적 상공 위를 지나갈 때는 일부러 저 RPM대를 유지하면서 저공비행을 하기도 했다. 당연히 이를 알리가 없는 적 지상군 입장에서는 기총소사가 시작됐다고 생각하여 지상에 엎드린 상태로 웅크릴 수 밖에 없었으므로 쏠쏠한 재미를 보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