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넘어옴)
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 가타카나: キ (幾의 약자)
  • 히라가나: き (幾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키/기(탁음,어두)
  • 라틴 문자 표기: ki/gi
  • IPA: /ki/ (경구개 파찰음 + 전설 평순 고모음)
  • 일본어 통화표: 切手のキ (킷테노 키)
  • 일본어 모스 부호: -·-··

か행 い단 글자이다.

2 か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か행 글자들은 탁음일 때 /ŋ/ 소리로 발음할 수도 있다. 이를 비탁음이라고 부른다. 한글로 치면 받침 과 같은 소리이다. 그래서 ありがとう와 같은 단어는 '아링아토'로도 들린다.

た행이나 さ행, は행, な행과는 달리 か행의 다섯 글자들은 자음 부분의 소리가 연구개 파열음(/k/)으로 모두 동일하다. ま행(/m/), や행(/j/), ら행(/ ɺ/) 역시 각 행의 자음이 모두 동일한 행들. 주로 치경음 계열이 い단에서 치경구개음으로 가버리기 때문에 자음이 동일한 행이 의외로 반반이다.

3 い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い단의 모음은 한국어의 와 정확히 동일하다. 나머지 네 모음은 약간 다르다.

い단의 글자들은 や행과 조합해 /ja/ /ju/ /jo/ 발음을 표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와 붙어 /je/를 표기하기도 한다.

4 모양


가타카나 キ는 흡사 히라가나 き에서 밑 부분을 뺀 것처럼 생겼다. 히라가나 き는 이 윗부분(キ와 닮은 부분)과 밑 부분을 떨어뜨려서 쓸 때도 있고, 붙여서 쓸 때도 있다. 인쇄체에서도 폰트마다 다르다.

히라가나 き는 さ와 꽤 닮았다. 줄 개수를 빼면 똑같다. 그래서 아즈키쨩에서 노야마 아즈사의 별명이 '아즈키'다.

5 쓰임

5.1 훈독

훈으로는 나무 목(木)을 き로 읽는 것이 제일 유명하다. 지형지물이 많이 들어가는 일본 이름에서는 정말 많이 볼 수 있다. 타카기(高木;たかぎ)라든가. 그리고 불규칙이 난무하는 일본 이름답게 '타카키(たかき)'라고 탁음을 안 넣기도 한다(타카키 요시아키). 뒤쪽에 들어가면 탁음을 넣어서 ぎ가 될 때가 많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는 것. 青木(あおき;아오키)는 아예 청음만 있는 경우. 木村(키무라;きむら)도 유명한 일본 성씨이다. 해당 의미로는 나무 수(樹)를 쓰기도 한다.

着る의 어간으로 쓰이기도 한다. 옷에 관련된 단어에 해당 글자가 자주 쓰인다. 제일 유명한 건 역시 着物(きもの, 기모노). 下着(したぎ;속옷)처럼 위의 木와 마찬가지로 뒤에 들어가면 탁음이 붙을 때가 많으니 주의하자. 사실 이건 대부분의 일본 합성어가 그렇다.

노란색을 일본어로는 きいろ(黄色)라고 한다.

5.2 음독

음으로 き라고 읽는 한자는 굉장히 많다.

5.3 い형용사의 수식형(문어)

일본 옛 문어에서 い 형용사는 명사 앞에 수식형으로 올 때(연체형;連体形) 를 그대로 쓰지 않고 い 자리에 き를 써서 수식했다. サラバ、愛しき悲しみたちよ에서 き가 그런 용법. 일본 위키피디아 연체형 그래서 고문으로 쓰여진 글을 보면 분명 익숙한 い형용사인데도 き로 수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1010)에서 き를 검색해서 찾아보자.

현대 구어에서는 그냥 い 꼴로 쓴다. 한국어의 경우 용비어천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족히 500년 전부터 수식형으로 -을 썼으므로(ex: 불휘 기 남ᄀᆞᆫ) 딱히 해당되는 역사적 문법 요소는 없다.

노래 가사 등에서는 예스러운 효과를 위해 꽤 쓰이는 듯하다. 이곳 나무위키에서 이 표현이 쓰이는 것을 찾으려면 'しき'로 검색해서 넣어보면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주로 愛しき(いとしき;사랑스러운) / 美しき(うつくしき;아름다운) 등이 자주 나온다. ない가 변한 なき 역시 이곳 위키에서도 많이 찾을 수 있다. (ex: 夢なき夢は夢じゃない)

문어에서는 주로 い형용사의 종지형(끝 맺음)인 와 주로 얽혔다. 뒤에 명사가 오면 き, 안 오고 그냥 끝나면 し인 꼴의 조동사들도 꽤 있다. 요즘까지 쓰이는 건 べし / べき. 네이버 일본어 사전 べし을 보면 문장 끝에선 べし, 중간에는 べき가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없다'라는 뜻의 ない 역시 수식할 땐 なき, 문장 끝에서는 なし식으로 쓰였다. ごとし/ごとき는 い형용사에서 파생된 것은 아니지만 비슷하게 활용된다.

6 종성 /k/를 적을 때

모음이 없는 자음을 주로 う단으로 적는 다른 행과는 달리, か행은 특히 종성에 /k/가 올 때 キ로 적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해당 경우에 주로 를 쓰는 한국어 화자로서는 조금 생소한 부분. 한자어와 외래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두 현상이 서로 관련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

6.1 외래어에서

가타카나 영어와 영어 교육(カタカナ英語と英語教育)이라는 글에 따르면 주로 메이지 즈음의 근대 초에 들어온 단어들은 /k/를 キ로 적었지만 현재에는 주로 ク로 적는다고 한다. 해당 글의 저자는 아마 キ가 더 날카롭게 들려서 /k/ 발음에 적당하다고 여겼던 게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き가 끝에 오는 외래어는 앞에 거의 무조건 단 혹은 단이 온다.

6.1.1 キ로 적는 경우

  • cake: ケーキ
  • steak: ステーキ
  • stick: ステッキ
  • pek(네덜란드어, 페인트): ペンキ
  • strike: ストライキ(ストライク로도 쓰나, 다른 의미가 됨)
  • extra: エキストラ
  • ex- : エキス(엑기스)
  • 팅크 : チンキ(チンク로도 씀)
  • brake: ブレーキ(멈춤 장치)

특히나 '엑기스'라는 말은 한국에서도 쓰는 말인데, 일본에서 자음 앞 k를 ク로 적었다면 한국에서도 '엑구스'라고 쓰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 외에 '아이스께끼', '뼁끼' 등도 가끔 한국에서 쓰이는 사례. 이 역시 ク로 적었다면 '빠꾸(back)마냥 '아이스께꾸', '뼁꾸'로 쓰였을지도.

6.1.2 ク로 적는 경우

  • park: パーク
  • week: ウィーク
  • unique: ユニーク
  • spike: スパイク
  • break: ブレーク(휴식)

6.2 한자음에서

당대 한국이나 중국에서 /k/로 끝나던 한자들이 일본에서는 く가 되기도 했고, き가 되기도 했다. 食과 識은 각각 實職切/賞職切로 뒷부분(운모)은 같지만 광운(1008) 일본어로는 しょく/しき로 각각 く와 き로 다르게 적혀진다. 한자음도 き가 끝에 오는 한자음은 앞에 거의 무조건 단 혹은 단이 온다. .

주로 오음에서 く로 적고 한음에서 き로 적는 경우가 많다. 일본 위키피디아 오음 문서 참조. 주로 (-yaku ↔ -iki), (-yoku ↔ -eki) 꼴로 쌍을 이룬다.

6.2.1 き로 읽는 경우

  • 歴(れき)
  • 式(しき)
  • 液(えき)
  • 駅(えき)
  • 席(せき)
  • 析(せき)

6.2.2 く로 읽는 경우

  • 飾(しょく)
  • 殖(しょく)
  • 翼(よく)
  • 釈(しゃく)

6.2.3 둘 모두 가능한 경우

굵게 써진 발음이 더 많이 쓰인다.

  • 力(りょく・りき) / 能力(のうりょく): りき로 읽는 것들은 대체로 りょく로도 읽을 수 있다.
  • 直(ちょく・じき) / 垂直(すいちょく) 正直(しょうじき)
  • 食(しょく・じき) 洋食(ようしょく) 悪食(あくじき)
  • 色(しょく・しき) / 配色(はいしょく) 五色(ごしき)
  • 役(やく・えき) / 荷役(にやく) 賦役(ふえき)
  • 石(しゃく・せき) / 磁石(じしゃく) 宝石(ほうせき)
  • 赤(しゃく・せき) / 赤銅(しゃくどう) 赤子(せきし)
  • 益(やく・えき) / 利益(りやく) 損益(そんえき)

7 한글 표기

어두나 탁음일 때는 '기', 그 외에는 '키'로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