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역에 대해서는 인천가좌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경의선 | ||||
서울 방면 신 촌 | ← 2.7 km | 가 좌 | → 1.7 km | 도라산 방면 디지털미디어시티 |
용산선 | ||||
용산 방면 홍대입구 | ← 1.7 km | 가 좌 | 시종점 | |
수색객차출발선 | ||||
수색 방면 수색기지 | ← 2.4 km | 가 좌 | 시종점 | |
수도권 전철 | ||||
경의·중앙선[1] | ||||
문산 방면 디지털미디어시티 | ← 1.7 km | 가 좌 (K315) | → 2.7 km | 서울 방면 신 촌 |
→ 1.7 km | 용산, 용문 방면 홍대입구 |
※ 일제시대 당시에는 이 역과 신촌역 사이에 연희역이 있었다.
加佐驛 / Gajwa Station
가좌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Gajwa |
한자 | 加佐 |
중국어 | 加佐 |
일본어 | カジュワ |
역번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K315 |
300px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크게보기 (용산선 구간, 지하승강장) | |
300px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크게보기 (경의선 본선 구간, 지상 승강장)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수색로 27 (舊 남가좌동 293-64) | |
수도권 전철 | |
운영기관 | 코레일 |
경의선 개업일 | 2009년 7월 1일 |
경의·중앙선 개업일 | 2014년 12월 27일 |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서울본부 |
경의선 개업일 | 1930년 12월 1일 |
역등급 | 배치간이역(수색역 관리) |
1 개요
500px
지하역 개통 후 가좌역 2번 출입구.
500px
2012년 12월 14일까지 사용되었던 구 가좌역사. 이제는 다음 지도의 로드뷰 사진에서나 볼 수 있다. 예전 로드뷰 사진이 없어지지만 않는다면.
500px
구역사 시절 전철 임시승강장. 2012년 정식 지상 고상홈 승강장이 만들어지면서 철거되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315번.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수색로 27(舊 남가좌동 293-64번지)에 위치해 있다. 역이 이설되면서 주소가 바뀌었다. 지하 승강장이 개통한 후 지하로만 출입할 수 있으며, 1번 출구와 2번 출구는 마포구 성산동에 있다. 3번 출구와 4번 출구가 서대문구 남가좌동에 있다.
2 역 정보
개통 당시 신호장이었다가 1963년 11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하고 1969년 10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1976년 5월 1일 역사를 만들었으나, 2012년 12월 15일부로 지하 가좌역이 영업을 시작함에 따라 지상 가좌역은 폐쇄된 후 2013년 3월 31일에 철거되었다.
경의선과 용산선의 분기역으로 2005년 (지상)용산선이 철거된 후 2012년 말에 지하역으로 개통되었다. 그리고 전 역인 디지털미디어시티역부터 서울역으로 가는 선로와 용산선 지하로 들어가는 선로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 역에서 실질적으로 분기하는 건 아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2012년 12월 15일부로 공덕역까지 연장되면서 용산선(공덕역 방면)은 지하화되고, 경의선(서울역 방면)은 기존 저상 승강장을 부수고 그 위에 고상 승강장으로 대체하여 운행하고 있다.
지상 승강장에서는 서울역-문산역 구간을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1시간에 1대 꼴로 운행. 지하 승강장에서는 용문역 or 덕소역-문산역 전철이 15~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지하 승강장 공사 중에는 고상홈 임시 승강장을 설치하여 승객을 유치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전국의 전철역 중에서 유일하게 역사에서 철길건널목을 건너야 승강장에 갈 수 있는 기형적인 전철역이 탄생했다. 그러나 2012년 12월 15일부터 지상 승강장도 새로 지어버리면서 철길건널목이 없어졌다.
서울역과 용산역에 종착하는 모든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및 수색의 시멘트 공장으로 반입되는 벌크 화물열차는 이 역에서 수색차량사업소로 분기되는 수색객차출발선을 타고 기지에 입고한다. 거기에 행신기지로 회송되는 KTX 열차 때문에 이 역 옆의 남가좌리건널목은 열려 있을 때보다 닫혀 있을때가 더 많다. 한번 차단봉이 내려온 뒤에 세 편성의 열차가 지나간 후에야 열리는 경우도 존재할 정도로 열차의 통행량이 많다. 그래도 5분에 한 번씩은 열린다. 열렸다가 닫히는 텀이 짧긴 하지만.
2011년 12월부터 지상가좌역에 있던 쓰지 않는 저상홈을 철거하고 정식 고상홈을 올리는 공사를 하였다. 용산선 지하 구간 완공 이후에도 경의선 서울역행 존치가 확정되었기 때문이다.
임시 승강장에서 취급한 당시에는 승하차량이 1,000명도 되지 않았으나, 2012년 12월 15일 공덕역 연장에 따라 성산동 방면 출구가 신설되고 가재울뉴타운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승하차량이 급증하게 되었고, 2015년 11월에는 경의선 서울역의 승하차량을 추월하게 되었다. . 서울역의 10분의1도 되지 않았던 승하차량을 역전시키는 데 불과 3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게다가 행복주택이 건설 중에 있어 완공 시 추가적으로 수요를 끌어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 10월 31일에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에 따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2015년 7월 25일자로 수색역의 운전취급을 받게 되었다.
파일:CkvmNL UoAAJR4a.jpg
수도권 전철 경의선 구간에서 제일 노인 무임승차 비율(무임승차 / (무임승차 + 유임승차))이 높은 역이다. 무려 41.87%. 뉴타운이 입주를 했으나, 뉴타운 외 지역은 노후/낙후 주거지구인데다 모래내시장 재개발이 지지부진하여 노인들이 몰려서 그런 듯 하다.
2.1 가좌역 구역사
가좌역 지상역사는 1970년대의 서울특별시 철도역의 모습을 잘 간직한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철거가 결정되었다. 이로 인해 가좌역 지상역사 바로 옆에 지하역으로 들어가는 출구를 내었다. 이에 따라 지상 가좌역은 지하 가좌역을 통해 들어가서 올라와야 하는 내려갔다 올라오기의 구조가 되었다.
파일:Weroo9wjfowef.jpg
파일:IMG 9178.jpg
가좌역 구역사 임시승강장과 구역사에 남아있던 철도건널목.
파일:Erwijhf8ew.jpg
역은 철거됐지만, 터는 아직 남아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철거된 바로 앞의 흔적만 남았을 뿐. 그 외에는 없다.
2013년 3월 15일부터 철거가 시작되었으며, 3월 31일 전부 철거가 완료되었다. 2014년 2월에 4번 출구가 신설됐다.
3 역 주변 정보
내부순환로 근처에 있으며 부근 지역은 주택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뉴타운으로 지정된 곳이라 재개발 중인 곳이 많다. 대표적으로 가재울뉴타운이 있다. 인근에는 서울특별시 북서부를 대표하는 재래시장인 모래내시장이 있다.본래 규모가 넓었지만 시장의 일부들이 재개발 구역권에 해당함에 따라 과거 시장자리였던 곳에는 아파트가 들어서 있으며 3/1규모만 남아있다.이마저도 2~3년 내에 모두 정리하고 상가가 들어선다는 얘기가 있다.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에서도 가까운 전철역 중 하나이며 버스 노선도 4개나 있다. 6호선 증산역과 거리가 거의 비슷하여 걸어갈 만한 거리는 아니니 7611번이나 7713번으로 환승하는 게 낫다. 7713번은 북가좌동으로 조금 더 돌아서 간다.
파일:3rewrfjsfgisdjfisdf.jpg
파일:8457 9109 1629.jpg
행복주택 조감도
파일:2014051507210850855 1.jpg
파일:5384 5005 4352.jpg
2013년 5월 20일, 박근혜 대통령의 철도부지 행복주택 건설계획에 따라 국토교통부에서 행복주택을 짓기로 한 시범지구로 선정되었다.[2] 가좌역 지상승강장과 건널목 부근을 부지로 잡고 아파트를 세울 예정이다. 2013년 착공하였으며, 2016년 경 입주 예정이다. 철도 바로 옆에 가정집이라니 시끄러울 듯. 게다가 행복주택 입주민들 대부분이 사회 초년생 및 취약계층임을 생각한다면, 가좌역 지상승강장에 올라가 자살을 시도하거나, 선로 쪽으로 투신자살을 시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행복주택 입주 시 입주민들에게 서약서를 받아 자살에 따른 책임을 명확히 해 두는 것이 필요할 듯 하다. 가좌역 지상승강장은 KTX 및 일반열차 회송선로로 이용되는 점을 감안할 때, 자살사고가 발생하면 대한민국 철도가 마비되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왜 그런지는 다음 문단의 '사건사고'를 참조하길 바란다.
여담으로 내부순환로가 가좌역 근처를 지나가며, 근처 연희램프를 통해 내부순환로로 진입할 수 있으며, 서울 도심으로 진입하는 관문이라는 점에서 포지션이 비슷한 홍제, 미아사거리(길음), 청량리(마장), 왕십리(사근)을 시계방향으로 해서 순서대로 지나간다.
4 사건사고
파일:2007060479187 2007060476021.jpg
2007년 6월 3일, 경의선 전철 공사 도중 가좌역 선로의 지반이 침하되어 붕괴되는 바람에 경의선 열차 운행이 중단된 적이 있었던 흑역사가 있다.[3] 이 사고로 인해 지하 노반이 완전히 매몰되었기 때문에, 용산선 복선화 공사와 인천국제공항철도 공사가 같이 지연 크리를 먹었다.
사고가 발생한 다음날부터 완전 복구될 때까지 엄청난 헬게이트가 열렸다. 당연히 수색차량사업소와 고양차량사업소로 입고하는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열차 운행은 개판이 되었다. 덕분에 경부선 본선을 전구간 장폐단으로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도 생겨났고, 심지어 최첨단 기술의 집약체 KTX마저 통표폐색으로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 사태마저 발생하였다. 정확히는 지도통신식인데 통표걸이에 지도표를 넣어서 다녔다. 어쨌든 아날로그 방식. 다르게 비유하면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전화 쓰면서 잘 안 들린다고 -와 .으로 교신하는 모스 부호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다.
2015년 3월 10일 7시경 서울 ~ 신촌 구간에서 운행 중이던 전동차가 전력공급 이상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있었다.[4] 복구를 위해 서울 ~ 가좌 구간을 통쨰로 단전시켰고 그 여파로 고양차량사업소와 수색차량사업소 회송이 지연되어 일반열차에도 다소 영향이 있었다.
위에서 설명한 사건사고들은 경의선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철도 전체에 영향을 끼쳤다. 즉, '가좌역 지상승강장 사건사고=대한민국 철도 마비'라고 봐도 무방하다.
5 승강장
5.1 지상
↑ 디지털미디어시티 | ||||
ㅣ | 2 | 1 | ㅣ | |
신촌 ↓ |
1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 | 신촌·서울역 방면 |
2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 | 디지털미디어시티·대곡·일산·문산 방면 |
섬식 승강장이다. 단,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용할 땐 주의를 요한다. 임시승강장을 놓고 운영하던 시절에는 열차가 다니지 않을 때에는 역 개찰기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출입을 통제했으나, 2012년 12월 15일부로 새로운 고상홈을 설치하여 상시 개방으로 바뀐 상태이다.
지상에는 현재 행복주택 대학생기숙사가 지어지고 있다. 경의중앙선을 타면 서울시내 주요대학을 빠른 시간 내에 갈 수 있어 편의성이 좋다. 단 서울역행은 1시간에 1번 매시 42분, 출퇴근 시간은 1시간에 2번으로 운행횟수가 적은 편.
5.2 지하
↑ 디지털미디어시티 | |||||||
4 | ㅣ | ㅣ | 3 | ||||
홍대입구 ↓ |
3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 | 홍대입구·용산·덕소·용문 방면 |
4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 | 디지털미디어시티·대곡·일산·문산 방면 |
상대식 승강장이다. 그러나 역 승강장의 깊이는 매우 깊다. 복개된 하천인 모래내 지하로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가좌역 구간은 용산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가 매우 깊게 설계된 탓이다. 2007년 이 지하 승강장을 공사하다가 복개천을 건드려서 구조물이 통째로 붕괴된 아찔한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쪽은 스크린도어와 LCD 행선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런 LCD 행선판은 분당선 기흥역이나 과천선 대공원역에도 있고, 새로 스크린도어를 설치한 원당역과 대화역, 2014년에 개통한 원흥역과 2015년에 개통한 야당역 등에도 설치되어 있다.
6 기타
인천지하철 2호선에는 인천가좌역도 있는데 경의중앙선 가좌역과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명칭으로 개통한 것이다. 이 역의 위치는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에 위치해 있다.
7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378명 | 435명 | 476명 | 544명 | 1,505명 | 2,061명 | 2,799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