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광주대교구

(광주대교구에서 넘어옴)
☧ 한국의 천주교 교구
서울관구서울대 · 인천 · 수원 · 의정부 · 춘천 · 원주 · 대전 · 평양 · 함흥
대구관구대구대 · 부산 · 안동 · 마산 · 청주
광주관구광주대 · 전주 · 제주
교황청 직속군종 · 덕원자치수도원
평양교구, 함흥교구, 덕원자치수도원침묵의 교회
천주교 광주대교구
Archdiocese of Gwangju
Archidioecesis Kvangiuensis
270px
형태가톨릭 교구
국가대한민국
관구광주관구
교구장김희중 히지노
보좌주교옥현진 시몬
주보성인성 안셀모
관할구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교구청 소재광주광역시 서구 쌍촌동
주교좌임동주교좌대성당
북동주교좌성당
교구 현황신자수 355,923명
주교 4명, 사제 269명
본당 137개, 공소 79개
(한국천주교회통계2015 기준)
홈페이지천주교 광주대교구

1 개요

광주광역시전라남도의 천주교 교회를 관할하는 대한민국가톨릭 교구이다. 주보성인은 성 안셀모. 주교좌성당은 임동성당과 북동성당이며, 광주관구의 중심 교구이다.

1937년 4월 대구대목구에서 전라남도제주도를 관할로 하는 광주지목구[1]로 분리되면서 교구가 설정되었으며, 1971년 제주도가 제주지목구로 분리된 후 1977년 정식 교구로 승격됨에 따라 광주광역시전라남도를 포함하는 관할구역이 설정되었다.

2015년 기준 교구장은 9대 교구장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이며, 보좌주교는 옥현진 시몬 주교이다.

2015년 말 기준 총 신자 수는 355,923명, 주교 4명[2], 사제 269명이 소속되어 있으며, 교구 내 본당 수는 135개이며 공소는 79곳이 있다.

1.1 역사

광주대교구의 역사는 1933년 아일랜드 공화국에 본부를 둔 성골롬반외방선교회가 진출하면서 시작된다. 1934년 5월 대구대목구 내 전남 감목대리구(감목대리 : 임 맥폴린 신부)를 설정하였고, 1937년 4월 대구대목구로부터 광주지목구를 설정함으로써, 별도의 교구가 설정되었다. 초대 지목구장은 임 맥폴린 신부였고, 교구청은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 97번지에 위치했었다.[3]

그러나 일제에 대해 부정적이던 임 맥폴린 신부는 결국 1941년 감옥에 투옥되고, 1942년 교구장 사임 후 주재용 몬시뇰이 교구장 서리로 임명된다. 그 후 일제의 압력에 의해 1943년 2월 일본인 와끼다 아사고로 몬시뇰이 2대 교구장에 취임했고, 그에 따라 목포의 교구청도 광주시 북동 33번지 현 북동 성당으로 이전되었다. 1945년 5월 강원도 사목도 펼치던 골롬반회 성직자 11명이 강원도 홍천에 연금되었고, 3개월 후 목포 본당 보좌 길 헨리꼬 신부가 홍천에서 이질로 선종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이루어지자 와끼다 교구장은 사임했고[4], 9월16일 임 맥폴린 몬시뇰이 다시 교구장에 취임했으며, 교구청도 원래 위치이던 목포시 산정동 97번지로 재이전했다. 1949년 11월 브레난 안 몬시뇰 제4대 교구장에 취임했으나 한국전쟁이 일어난 후 1950년 7월 현 하롤드 신부가 교구장 서리에 취임하였다.[5]

전쟁 후 1954년 10월 3일 교구장 서리이던 현 하롤드 신부가 5대 교구장에 취임했으며, 1956년 2월 교구청을 광주시 북동 33 (현 북동 성당)으로 임시 이전했다. 1956년 7월 교구청을 광주시 소태동으로 이전했고, 1957년 1월21일 광주교구는 대목구로 승격(대목구장: 현 하롤드 신부)했고, 그해 5월11일 현 하롤드 신부는 주교로 서품되었다.

1962년 3월 정식교계체계가 설정됨에 따라 광주대목구에서 광주대교구로 승격되었고, 동시에 현 하롤드 주교는 대주교로 승임했다. 이와 동시에 대신학교로 대건신학교(現 광주가톨릭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71년 6월 28일 광주대교구에서 제주지목구가 설정되었고, 같은 해 9월 8일 한공렬 베드로 대주교가 착좌함으로써 방인교구장 시대를 열었다. 전임 현 하롤드 대주교는 새로 설정된 초대 제주교구장으로 자리를 이동하였다.

1973년 3월 한공렬 대주교가 명동성당 앞에 위치한 서울성모병원[6]에서 선종함으로써, 장옥석 루치오 신부가 교구장 서리로 임명되었다가, 그 해 10월 수원교구장이던 윤공희 빅토리노 주교가 바오로 6세 교황에 의해 광주대교구장에 임명됨으로써 7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1976년 1월 광주시 동구 금남로3가에 가톨릭센터를 설립했고, 5월에 가톨릭센터 6층으로 교구청을 이전했다.[7]

1977년 3월 21일 제주교구가 정식교구로 설정됨으로써 광주대교구 관할구역이 설정되었다. 2000년 11월 30일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가 은퇴하고 부교구장이던 최창무 안드레아 주교가 대주교로 승임하여 제8대 교구장으로, 2010년 4월 30일 부교구장이던 김희중 히지노 주교가 대주교로 승임하여 9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1.2 역대 교구장

  • 1대 임 맥폴린(Owen Mcpolin) 몬시뇰 (1937년 4월13일 ~ 1941년 12월7일) - 초대 지목구장
  • 2대 와끼다 아사고로오 몬시뇰 (1943년 2월7일 ~ 1945년 8월15일) - 2대 지목구장
  • 3대 임 맥폴린(Owen Mcpolin) 몬시뇰 (1945년 8월15일 ~ 1949년 11월2일) - 3대 지목구장
  • 4대 안 브렌난(Patric Brennan) 몬시뇰 (1948년11월12일 ~ 1950년 7월12일) - 4대 지목구장
  • 5대 하롤드 헨리(Harold Henry) 대주교 (1954년 10월 ~ 1971년 6월28일) - 5대 지목구장, 초대 대목구장, 초대 교구장
  • 6대 한공렬 베드로 대주교 (1971년 7월14일 ~ 1973년 3월7일) - 2대 교구장
  • 7대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 (1973년 10월25일 ~ 2000년 11월30일) - 3대 교구장
  • 8대 최창무 안드레아 대주교 (2000년 11월30일 ~ 2010년 4월 30일) - 4대 교구장
  • 9대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 (2010년 4월 30일 ~ 현재) - 5대 교구장

2 관할 본당

광주대교구는 2015년 11월 기준 14개지구에 137개 본당이 소속되어 있다. 지구는 대구대교구수원교구의 (감목)대리구와는 다른 단순한 지역적 구분일뿐이다.

  • / 표는 시군구 구분
지구명관할시군구본당수본당명
광주광산1지구광산구 북부, 장성군9개비아동, 신창동, 쌍암동, 임곡동, 장덕동, 하남동 / 장성, 사거리, 사창
광주광산2지구광산구 남부, 영광군9개신동, 우산동, 운남동, 원동, 월곡동, 평동 / 영광, 염산, 홍농
광주남부지구남구9개노대동, 방림동, 봉선2동, 봉선동, 봉선유안, 월산동, 주월동, 진월동, 효덕동
광주동부지구동구, 화순군8개계림동, 남동, 산수동, 지산동, 학운동, 호남동 / 화순, 능주
광주북부1지구북구 북부, 담양군, 곡성군10개문흥동, 본촌동, 서산동, 양산동, 오치동 / 담양, 대치, 창평 / 곡성, 옥과
광주북부2지구북구 남부8개동림동, 두암동, 북동주교좌, 삼각동, 용봉동, 운암동, 임동주교좌, 중흥동
광주서부지구서구13개광천동, 금호2동, 금호동, 농성동, 쌍촌동, 염주동, 유촌동, 치평동, 풍암2, 풍암동, 화정1동, 화정3동, 화정4동
나주함평지구나주시, 함평군11개나주, 금암, 남평, 노안, 다시, 빛가람동, 영산포 / 함평, 학다리, 함평하상, 함평호영
목포무안지구목포시 동부, 영암군 서부, 무안군12개삼학도, 옥암동, 용당동, 하당 / 독천, 삼호 / 무안, 남악, 망운, 몽탄, 일로, 청계
목포신안지구목포시 서부, 신안군11개경동, 대성동, 북교동, 산정동, 연동 / 신안석문, 신안인덕, 신의, 압해도, 자은, 흑산
서남부지구강진군, 영암군, 해남군, 진도군, 완도군9개강진 / 영암, 신북 / 해남, 우수영 / 진도, 진도진길 / 완도
순천지구순천시, 광양시, 구례군12개금당, 매곡동, 상사, 서면, 신대, 연향동, 저전동, 조곡동, 조례동 / 광양, 광영동, 중동 / 구례
여수지구여수시8개동산동, 문수동, 미평동, 서교동, 선원동, 소호동, 신기동, 율촌
중남부지구고흥군, 보성군, 장흥군8개고흥, 녹동, 도화, 소록도 / 보성, 벌교 / 장흥, 대덕

3 교구 내 기관

3.1 학교

3.1.1 학교법인 대건학당

  • 광주가톨릭대학교 - 광주대교구, 전주교구, 제주교구사제를 양성하는 가톨릭 신학교이다. 1962년 대건신학교로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서강대학교를 설립한 예수회가 학교를 운영했다. 원래 現 광주대교구청이 위치한 광주시 서구 쌍촌동[8]에 위치했으나, 1995년 나주시 남평읍 10만평의 부지로 이전했다. 학교법인의 이사는 광주대교구, 전주교구, 제주교구의 주교 및 신부가 선임되어 있으며, 이것으로 이 학교는 3개 교구가 공동으로 소유한 학교임을 알수 있다.

3.1.2 학교법인 골롬반학원

  • 목포가톨릭대학교 - 1966년 골롬반 수녀회에 의해 설립된 골롬반 간호학교가 전신이며, 1979년 성신간호전문대학으로 승격되었고, 1990년 운영주체가 광주대교구로 이관되었고, 1999년 목포가톨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전체 학생수가 600명이 안 되는 정말 작은 대학이다.

3.1.3 살레시오회

요한 보스코 신부가 세운 수도회살레시오 수도회[9]살레시오 수녀회는 전세계에서 청소년&청년들을 위한 사도직과 교육사업을 하고 있다.

  • 살레시오중학교살레시오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에 위치한 남학교. 학교법인 살레시오회가 운영하고 있다.
  • 살레시오여자중학교ㆍ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에 위치한 여학교. 조선대학교 바로 옆에 있다. 학교법인 살레시오수녀학원이 운영하고 있다.
  • 살레시오초등학교 - 광주광역시 서구 매월동. 살레시오 수녀회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다. 학교법인 살레시오수녀학원이 운영하고 있다.

3.1.4 기타

  • 성요셉여자고등학교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 위치했던 여자고등학교. 학교법인 성요셉금릉학원이 운영했다. 2016년 졸업식을 끝으로 폐교되었다.
  • 목포마리아회고등학교 - 전라남도 목포시 용당동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법인 목포마리아회학원이 운영하고 있다. 이름에 마리아가 들어가서 여고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목포 현지에서도 많은데, 남고다. [10]

3.2 의료기관

  • 순천 성 가롤로 병원 - 1969년 독일의 가롤로 보르메오 수녀회가 순천시에 설립한 후 1974년 까리따스 수녀회에서 운영권을 인수한 후 전남 동부 7개 시군(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고흥군, 구례군, 곡성군, 보성군) 을 통틀어 가장 큰 종합병원으로 지역내 의료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병원 앞 도로가 잘 밀리는 걸로도 유명하다
  • 천주의 성 요한 병원 - 1960년 아일랜드의 천주의 성 요한 수도회가 광주광역시에 설립한 병원으로 정신건강의학과, 피부과, 내과 3개 진료과가 있으며, 특히 정신건강의학과와 피부과가 광주광역시 지역에서 평판이 좋은 편이다. 내과는 말기 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 병동을 운영하고 있다.

4 여담

매주 주일에 발부되는 주보는 '빛고을'로, 광주의 별칭인 빛고을에서 따 왔다. 신부님의 강론글, 교구 내 공소 이야기, 교구 소식, 본당별 공지 및 소식을 볼 수 있다.

5 관련 문서

  1. 이때 전북지역도 전주지목구로 같이 분리되었다.
  2. 현직대주교 1명,현직주교 1명, 은퇴대주교 2명
  3. 전라남도에 진출한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가 그곳을 중심으로 전라남도 사목을 펼쳤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가난하고 고통받던 이들을 치료하던 성 골롬반 병원(목포가톨릭병원)이 그곳에 존재했었고, 現 목포가톨릭대의 전신이던 성 골롬반 간호학교도 거기서 설립되었다. 전남과 광주의 가톨릭교회가 태동한 지점이기에 광주대교구는 그 터에 성 미카엘 대성당을 지으려고 계획중이나 현재는 지연중이다.
  4. 그후 요코하마 교구장 주교가 되었다
  5. 브레난 안 교구장은 산정동 주임 고 토마스 신부와 보좌 오 요한 신부와 함께 피랍 후 1950년 9월 24일 북한군에 의해 피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6. 성모병원은 1986년 여의도로 이사를 갔고(여의도성모병원), 이후로 건물은 가톨릭회관으로 쓰이고 있다.
  7. 금남로 3가 3-5번지에 위치했던 광주가톨릭센터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관으로 재단장되었다.
  8. 서구 쌍촌동 옛 학교부지 중 10,700평을 광주대교구가 290억원에 매입했다. 학교부지를 매각한 돈은 학교의 운영 예산으로 쓰일 예정이다.
  9. 이태석 세례자 요한 신부가 살레시오 수도회 소속 수도사제였다.
  10. 목포마리아회중학교도 있었으나 1977년 2월 28일부로 폐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