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서울대교구

☧ 한국의 천주교 교구
서울관구서울대 · 인천 · 수원 · 의정부 · 춘천 · 원주 · 대전 · 평양 · 함흥
대구관구대구대 · 부산 · 안동 · 마산 · 청주
광주관구광주대 · 전주 · 제주
교황청 직속군종 · 덕원자치수도원
평양교구, 함흥교구, 덕원자치수도원침묵의 교회
Today_img.png
▲서울대교구의 주교좌성당인 명동주교좌대성당(좌측)과 서울대교구청(우측)
천주교 서울대교구
Archdiocese of Seoul
Archidioecesis Seulensis
270px
형태가톨릭 교구
국가대한민국
관구서울관구
교구장염수정 안드레아
보좌주교유경촌 티모테오
정순택 베드로
손희송 베네딕토
주보성인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
관할구역서울특별시, 황해도
교구청 소재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주교좌명동주교좌대성당
교구 현황신자수 1,505,889명
사제 846명
본당 229개
(한국천주교회통계2015 기준)
홈페이지천주교 서울대교구

1 개요

서울특별시황해도를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가톨릭 교구. 황해도의 경우 지구에 대응되는 감목대리구가 설정되어 있지만 2014년 현재는 감목대리구장이 공석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평양교구 소속 성직자를 서울대교구장이 선발하여 양성하고 있다.[1] 주보성인은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주교좌성당은 명동성당이며, 교구청은 명동성당 뒷편에 있는 옛 계성초등학교 건물을 개조한 별관과 명동성당 옆 주교관에 있는 본청이 있다. 그 이전에는 명동성당 앞에 있는 가톨릭회관[2]이 교구청이었다. 명동성당 앞의 개발이 2014년 여름에 끝나면서 그곳으로 교구청이 옮겨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때문에 혜화동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에 주교관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현직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은 당연히 명동성당 주교관을 이용한다. 은퇴한 주교들은 대부분 혜화동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의 주교관으로 옮겨간다.

2015년 말 기준으로 신자 수는 1,505,889명이고, 이는 서울 시민의 15.0%, 한국 전체 신자 수의 26.6%를 차지한다. 관할에 황해도가 있지만 황해도의 사목을 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자는 전부 서울시민이다. 본당 수는 229개이며 크게 3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교구장 대리주교가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추기경 2명(정진석 니콜라오 前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안드레아 現 서울대교구장)[3], 주교 3명[4](보좌주교 유경촌 티모테오 주교, 정순택 베드로 주교, 교구 총대리 손희송 베네딕토 주교), 몬시뇰 8명, 신부 846명이 소속된 한국에서 가장 큰 교구이자 중심교구이다.

역시 재정적으로도 현재 한국 천주교 내에서 가장 돈이 많은 교구로 알려져 있다. 또한 2006년부터 1년 단위로 재무제표를 작성해서 언론에 뿌리는 용자짓을 하고 있다.

수원교구, 대전교구, 인천교구, 원주교구, 춘천교구, 의정부교구, 평양교구, 함흥교구와 함께 서울관구를 이루지만 서울대교구장의 관구장으로서의 직할권은 없다. 이는 광주관구의 광주대교구와 대구관구의 대구대교구도 마찬가지.

1.1 산하지역

2012년 말부터 적용된 서울대교구 산하 지역은 다음과 같다.

중서울지역 (교구장 대리 : 손희송 베네딕토 주교)

동서울지역 (교구장 대리 : 유경촌 디모테오 주교)

서서울지역 (교구장 대리 : 정순택 베드로 주교)

서울대교구 지도 - 서울대교구 산하 천주교 주요 시설들과 본당 간 경계선을 볼 수 있는 지도. 예전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잘 됐지만 2016년 현재 다른 브라우저에서도 잘 작동한다. 그리고 지도가 여전히 옛날 것인 듯. 이대 동대문 병원이 왜 아직도 있는 걸로 나오나[6]

2 역사

한국 가톨릭의 모든 교구들은 사실 서울대교구에서 분리된 것이다. 1831년 9월 9일교황 그레고리오 16세조선간도를 관할하는 조선대목구(이후 조선교구)를 설정한 것을 시작으로 1911년에 조선대목구에서 충청도 이남 지방을 관할하는 대구대목구가 분리되면서 이름이 경성대목구(서울대목구)로 바뀌었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원산대목구, 평양지목구, 황해감목대리구가 차례로 분리되었다. 처음 대목구가 설정될 때 조선대목구의 선교를 파리 외방전교회가 책임졌기 때문에, 1942년까지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사제가 교구장을 역임했다.[7] 서울대교구가 된 것은 1962년으로, 이 때 서울관구 하에 서울대교구와 함께 대전교구, 인천교구, 춘천교구, 평양교구, 함흥교구가 설정되었다.

1963년에는 한강 이남의 경기도를 관할하는 수원교구가 분리되었다. 1963년 서울특별시 행정구역 대확장 직후에 수원교구 분리가 이루어졌기에 이후 2004년까지는 서울대교구 관할구역은 큰 폭의 조정이 없었다고 보면 된다. 2004년까지는 서울한강 이북의 경기도 중 일부(나머지 일부는 춘천교구 관할), 그리고 황해도를 관할하였으나 한강 이북의 경기도 지역을 의정부교구로 분리 설정하였다. 때문에 의정부교구 분리와 동시에 월경지가 되었다.

3 역대 교구장

  • 제1대 교구장 브뤼기에르 소(蘇) 바르톨로메오 주교(재임 1831-1835): 조선으로 오는 도중에 만주의 한 교우촌에서 병으로 선종.
  • 제3대 교구장 페레올 고(高) 요한 주교(1839-1853): 1845년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안내로 조선에 입국. 1853년 과로와 병으로 선종.
  • 제6대 교구장 리델 이(李) 펠릭스 주교(1866.3.31-1884): 1861년 조선에 입국하여 활동하다가, 1866년 병인박해 때 겨우 조선을 탈출하여 중국으로 감. 1869년 조선교구장으로 임명되었고, 이듬해에 주교가 되었다. 1877년 다시 조선에 입국하여 활동하였으나 체포되었고, 프랑스로 귀국하여 1884년에 선종.
  • 제7대 교구장 블랑 백(白) 요한 주교(1884-1890): 명동성당을 건립하던 중 1890년에 선종.
  • 제11대 교구장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1967-1968): 1963년 수원교구 초대 교구장으로 임명. 1967년부터 1년간 서울대교구장 서리를 맡았고, 1973년 광주대교구 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 제12대 교구장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1968-1998): 1966년 마산교구 초대 교구장으로 임명. 1968년 서울대교구장으로 임명. 1969년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최초의 한국인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
  • 제14대 교구장 염수정 안드레아 추기경(2012.5.10 ~ ): 2014년 2월, 한국 천주교 3번째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

4 운영 재단

  • 천주교 서울대교구 유지재단 :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재산 관리 기구. 서울대교구의 모든 부동산(토지, 건물 등)은 법률적으로는 이곳 소유로 되어 있다. 법률상 천주교 서울대교구가 재산을 소유하려면 재단법인을 설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교구들 역시 자기네 교구의 재산을 이런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다. 3대 가톨릭 계열 출판사 중 하나(나머지 둘은 [[생활성서]와 바오로딸)인 가톨릭출판사도 이 재단 소유다.
  • 학교법인 가톨릭학원 : 교육기관과 가톨릭대학교 산하 부속병원과 기관을 관할하는 재단이다.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성의교정, 성심교정과 동성중학교ㆍ동성고등학교(혜화동), 계성고등학교(길음동)[9], 계성초등학교(반포 2동)[10]을 운영하고 있으며 가톨릭대학교 산하 부속병원인 서울성모병원, 여의도성모병원, 성 바오로 병원(청량리), 인천성모병원, 부천성모병원, 의정부성모병원, 수원 성 빈센트 병원, 대전성모병원 등 8군데의 병원을 운영하며 현재 은평구에 제9성모병원을 짓고 있다. 참고로 모든 병원이 서울대교구 산하에 있는 것은 아니다. 인천성모병원의 경우 인천교구 소유지만, 인천교구에 의대가 없어 서울대교구에 위탁운영을 맡긴 것이다. 그래서 인천교구에서 관동대를 인수하여 의대가 생긴 후, 새 병원인 국제성모병원(인천 서구 소재)은 인천교구가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벼… 병원재벌!! 그러나 성당에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은 학교법인 소속이 아니라 유지재단 소속이다. 또한 여러가지 수익사업들을 이곳에서 하고 있는데, 음식업체인 가톨릭대학교 학생들의 원흉인미셸푸드, 장의업체인 평화상조와 서초평화빌딩 등이 있다.
  •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 교구의 모든 사회복지를 관할하는 재단이다. 원래는 까리따스라고 불리는 세계 가톨릭 복지 기구의 서울지사라고 보면 맞다고 할 수 있겠다. 그래서 영문 명칭은 'Caritas Seoul'. 서울에 있는 모든 가톨릭계 사회복지시설들이 이곳 소속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성당의 바깥에 있는 어린이집들은 사회복지회 소속이다.
  • 서울가톨릭청소년회 : 서울대교구 청소년국에서 운영하는 재단법인이다. 이곳에서 청소년 및 청년에 관련된 모든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립보라매청소년수련관, 서울시립성동청소년수련관, 서초구립유스센터를 위탁운영하고 있고, 용문산과 용인에 청소년 수련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동교동 가톨릭청년회관, 혜화동 가톨릭청소년회관 등이 청소년회 소유이며 花요일아침예술학교라는 예술대안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 가톨릭출판사 : 서울대교구의 호칭이 '조선교구'이던 시절부터 소유하여 운영한 회사. 2015년 현재 창립 129주년을 맞이한 출판사다. 과거에는 전국에 사용되는 성경, 기도서, 성가책을 인쇄·유통하였는데 이 부분은 CBCK 주교회의가 가져갔고, 지금은 주보 인쇄와 유통만 담당한다(주보 본면은 교구청에서 직접 기획/디자인 한다). 출판사이기에 당연히 자체 도서나 정기간행물을 기획·유통하여 판매 중.
  • 재단법인 바보의 나눔 : 故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의 유지에 따라 만들어진 재단이다. 자발적인 참여로 나눔을 통해 세상에게 베풀자는 것이 모토로써 일종의 사회복지모금단체의 모습을 띠고 있다.
  • 한마음한몸운동본부 :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와 다른 NGO 전문 사회복지단체이다. 현재 52개국에 해외 봉사자를 파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장기와 조혈모세포 기증운동으로 유명하다.

5 교적관리

한국 가톨릭의 대표 교구인 만큼 여러가지 것을 제일 먼저 시도해 보는 곳으로 유명하다. 양업시스템이 그러한데, 이는 천주교 신자의 호적이라고 할 수 있는 교적관리시스템이다. 예전에는 종이교적이어서 관리하는 것이 매우 힘들었지만 서울대교구에서 만든 양업시스템이 획기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었다. 하지만 현재 서울대교구 양업시스템은 가동이 중단되었으며,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서 작정하고 만든 통합양업시스템이 전국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은행이 주 거래 은행이나, 이는 서울대교구에서만 그런 게 아니라 한국천주교주교회의와 우리은행이 협정을 맺은 것으로 서울대교구에서 먼저 주 거래 은행으로 선택한 것은 아니다.

6 여담

  • 2015년부터 교구 내 모든 성당에서 매일미사 앱과 연동하여 비콘서비스가 시작되었다. # 성당에서는 폰 끄는 거 아니었나
  1. 단, 서울대교구의 사제교육기관인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에 여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이들 사제의 교육은 인천가톨릭대학교에서 담당하고 있다.
  2. 본래 이 건물은 명동성모병원이었으나, 1986년 병원이 여의도로 옮겨지고(現 여의도성모병원) 난 후부터 오늘날의 가톨릭회관으로 바뀌었다.
  3.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을 비롯한 추기경 세 분이 모두 서울대교구장 역임
  4. 총대리주교였던 조규만 바실리오 주교가 2016년 3월 31일 3대 원주교구장에 임명됨으로써 주교 1명이 줄었다.
  5. 참고로 영등포구금천구는 이웃하는 구가 아니다 지구성당이 영등포구에 있기에 금천구는 월경지
  6. 해당 지도는 천주교 주요 시설과 각 본당 관할구역 경계선을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라 기타 자잘한 것은 업데이트에 소홀히하는 부분이 있을 듯.
  7. 물론 이후에도 수많은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사제들이 한국에 파견되었다. 안동교구 초대 교구장을 역임한 프랑스인 두봉 주교도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8. 한국 천주교 최연소 한국인 주교 기록이다. 만 39세. 그러나 최연소 주교 기록은 초대 인천교구장인 윌리엄 존 맥나흐톤 굴리엘모 주교(미국인 선교사)가 가지고 있다. 만 35세.
  9. 본래 명동성당 옆에 있었고 여고였지만, 2016년부터 길음동으로 이전하였고 남녀공학으로 바뀌었다. 개교 당시에는 계성여자중학교도 함께 있었으나, 계성여중은 1980년대에 폐교되었다.
  10. 원래 명동성당 바로 뒤에 있었는데 이전했다. 기존 학교 건물은 교구청 별관으로 사용 중이다.
  11. 표면적으로 특정 교구나 성직자와 관련이 없이 평신도가 운영하는 가톨릭 계열 언론매체로는 가톨릭뉴스 지금여기가 있다. 실제로는 정의구현사제단이 운영한다.라고 오해들을 많이 하나 평신도 중심의 신학연구소인 우리신학연구소와 많은 접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