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닐라 바그로프

669870.jpg

А в чем сила, брат?

"그럼 형에게는 "힘"이라는것은 뭔데?" [1]

러시아어 : Данила Сергеевич Багров
한국어 : 다닐라 세르게예비치 바그로프
영어 : Danlia Sergeyevich Bagrov

브라뜨테마곡"비 오는 그 동안"(Во время дождя)

뭐야, 캐릭터 소개가 왜 이거랑 비슷해?

1 그는 누군가?

알렉세이 발라바노프브라뜨 2부작의 주인공이자 현대 러시아인의 진정한 "우리 시대의 영웅" 그러니 러시아인들이 길거리에서 과속운전에 총질하고 술마시고, 브라뜨 브라뜨 거리게 만든 원흉 비극적인 사고로 실종된 세르게이 보드로프 주니어이 분했고 그의 영원한 페르소나이다.

그에 대한 영향을 요약하자면, 방황하던 러시아인은 브라뜨를 찾았고, 방황하던 브라뜨과 "고향"를 찾았다.

이름이 배우와 비슷한것은 우연이다.

2 상세 설명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인상착의는 182cm 건장한 체격에 주로 허름한 검은색 코트와 양털옷, 그리고 군대에서 신었던 군화를 신고 다니며 생김새는 흑발회색눈을 가진 미남 청년이다.

1975년 8월 5일, 브라뜨 2 기준으로 24살이다. 가족 내역으로는 아버지로 상습절도범이자 감옥에서 옥사한 세르게이 플라토노비치 바그로프, 이름도 안밝혀진 어머니와 유일한 형제지간인 대머리 빅토르 세르게예비치 바그로프 타타린가 있다. 어머니가 이 두 아들을 혼자서 키웠으며 여타 어머니들 처럼 어릴적 엘범을 보면서 흐뭇해 한다. 특히,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간 빅토르를 "성공한 사람"이 되었다며 아꼈는데, 1편 엔딩이후 구라(...)임이 밝혀지자, 이제는 다닐라를 자랑스러워 하고 있고, 역으로 빅토르를 깐다(...) 어머님의 태세전환

어렸을 적에는 빅토르에게 많이 의지하는 약한 아이였으며 [2] 도대체 학창시절을 어떻게 보낸건지 180cm의 건장한 청년이 되었음에도, 자기 형을 매우 아낀다. [3] 심지어 형이 자신을 쿠르글리에게 팔아넘겼을 때 조차도, 그저 그에게 고향에 돌아가 경찰이 되고, 어머님을 보살펴라 만을 남기고, 형을 살려두는 사람이다.

ты же брат мне..!

형은 내 "형"이야..!
공포에 울먹이며 빤스바람으로 사죄하는 빅토르를 안심시키며.

다닐라는 러시아군에 복무했으며, 1차 체첸전에 참전 용사로 전역한다. 정확한 군 경력이 나오지 않고, 다닐라는 자신의 군 경험을 절대로 밝히지 않으려고 한다. 그래서 계속해서 PX병 [4] 라고 얼버무린다. 하지만, 작중 다닐라의 잔혹함과 냉정함은 절대로 아니, 서류에 미쳐버린것이다 그가 잡무나 보는 사람이 아니고, 성냥과 몆 화약으로 시선을 끌기 위한 자가 성냥갑 폭탄부터 자가 소음기 제작, 탄 불법개조 및 엽총 소드 오프 샷건 화, 망가녜츠[5] 등과 여러 구하기 쉬운 자재들로 자기의 머스켓 까지 제작하는 것을 보면 절대로 평범한 군인은 아님을 알수 있다.

체첸전 당시 자신의 전우들이 있는데, 콘스탄틴(코스쨔)와 일리야가 있다. 이들이 2편에 등장하면서 다닐라의 px병 구라가 까발려지게 되는데(...) 자신의 전우인 코스쨔(별명으로는 대빵커)는 용맹 훈장을 받은 전쟁영웅이고, [6] 다른 전우인 일리야가 말하길 다닐라는 가장 "멋쟁이"라고 칭해졌다고 하며 사진을 보여준다. 아쉽게도 다른 전우들은 전부 사망, 콘스탄틴은 이 작전 내역에 대해서는 군사기밀이라고 언급 하는것을 보아, 다닐라는 GRU 소속 정찰대에서 복무하고, 폭발물 전문가로 추정된다. 아님 공병

하지만 전역 이후 군복을 입고 방황하는데, 여러 사람들과 트러블을 일으킨다, 그런데 그 트러블의 결과는 적어도 사람 팔 하나는 부러트리는 등의 과도한 폭력성을 표출하며, 언제나 냉소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된다. 무뚝뚝함과 그속에서 들어나는 순진하고 우직한 구석은 그의 성격이였지만, 전쟁에서 그 순수함과 단순함이 폭력적으로 변한것. 작중에서 그에게 일단 직접 폭력적으로 대한 사람은 특별한 경우 아니면 끔살 당하거나, 적어도 중상을 입는다. 그것은 자신의 친구나 빅토르를 건드려도 거의 비슷하다. 그에게 있어서는 CD 플레이어가 가장 큰 보물이며, 노래 듣는것을 정말 좋아하는데, 나우틸루스 폼필리우스나 DDT 와 같은 노래들을 좋아하며, 현대적 이나 클럽 뮤직은 싫어해, [7]2편의 공기 히로인 살티코바와도 약간의 아웅다웅이 생긴다.

하지만 그 우직함에는 자신의 말은 무조건 지킨다는 철칙이 있으며, 이를 무조건 지킨다. [8] 극도의 잔인함에서 자신의 철칙만큼은 무조건 지킨다는 점에서 약간의 소시오패스가 된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다닐라의 바탕은 바닐라처럼 순수하고 착한 성격이라 약한 사람에게 있어서는 정말 좋은 친구가 되며, 형제와 다름없이 같이 대한다. 특히 어려움에 처하면 무조건 도우며 친구인 코스쨔의 유언이 된 부탁부터, 자신을 배신했던 빅토르 [9], 자신을 도와준 스볘타, 고프만, 정말 재수없이 연루된 스테판, 친구의 쌍둥이 동생인 드미트리, [10] 그리고 페레스트로이카가 만든 창녀 다샤, "진정한" 미국인 벤 등.. 그들에게 문제가 생기면 정말 물불 안가리고 달려든다.

반대로 자기가 생각하는 "악"이나 이들을 괴롭히는 세력에게는 그야말로 저승사자급으로, 다닐라는 이들을 죽인다고 전혀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퍼니셔 하지만 2편 부터에서는 불필요한 피를 피하는 분별성을 가지게 되었다. 특별한 경우 [11]라는 것도 있어서, 이놈이 대체 뭘할지 악역으로써는 그야말로 ㅎㄷㄷ 한 분위기.

인종적으로는 거의 관심이 없는 수준, 그와 반대로 빅토르는 인종차별 급의 이야기를 하는데 [12] 그는 유대인 빼고는 그렇게 안좋아하는 사람은 없다고 말한다. 특히 독일계 러시아인이였던 고프만과는 잘지내며, [13] 물론 러시아에서 흑인은 "네그로"라고 하지만 미국에서 니거라고 말하는건 모욕임을 몰라 물의를 빚지만.

자신에게 큰 실망을 주거나, 분노에 차면, 다닐라는 특유의 말버릇과 함께 조진다 그 폭력성을 표출하는데. 무임승차하고 뻗대는 체첸인들과 스볘타의 남편이 이 말을 듣는다. 그리고 두명은 나살려라 도망가고, 한명은 다리에 산탄을 맞아 끄응끄응 댄다.

не брат ты мне..

(넌) 내 "형제" 아니야.

의외로 꿈은 의사, 모스크바에서 의학 단과대도 다니려고 한다. 이유는 "아픈 사람들을 치료해주고 싶어서" 범죄자들에게 참교육 투잡 의사

2.1 다닐라에게 있어 힘은 무엇인가?

"도시엔 '악한 힘'이 도사리고 있고, 그곳에서는 사람은 나약해지네. 도시가 힘을 앗아가는 걸세. 그게, 네에게 지금 일어나고 있지."

- 고프만

"당연한거 아니냐 돈이지 아우야! 돈이 세상을 지배하지, 누구든 돈 가지면 그가 강한거야!"

"그럼 형아가 돈 많이 가졌다. 그럼 뭐할건데?"
"다 사버려야지!"
"나도 사버릴꺼야?"
- 다닐라와 빅토르의 대화


갈곳없이 방황하던 다닐라에게 있어, 고프만의 "힘"에 대한 이야기는 그에게 궁금증을 불러 일으킨다. 또한 빅토르가 언급하던 "모든 권력(힘)"이 모스크바로 향한다라는 말을 듣고, 그 힘을 찾으려고 모스크바로 향하게 된다. 거기엔 쿠르글리보다 사악한 더욱 "부정한 힘"이 도사리고 있었고, 똥 노래들도 판친다. 택시 기사는 모히칸 머리를 하고 자신의 조국을 힐난하고 다니며 또다른 궁금증을 부른다. 심지어 그 힘은 자신의 형제와도 같은 전우를 죽게 만든다. 그 힘의 하수인인 벨킨을 찾아가 자신의 아들이 말한 "고향"에 대한 시에 감화되어 그에게 얻어낸 정보를 가지고 벨킨에게는 경고만 하고, 사라진다.

우여곡절 끝에 모스크바에서 부정한 힘의 매니스 [14]]를 추적해내어 미국으로도 날아가서 그를 찾기 위한 여정을 하며, 그곳에서 조국에서 버려지고, 또 기회의 땅인 미국에서도 비참한 인생을 사는 다샤를 만나면서, 그녀와 동행하며, 그녀에게 "고향"을 언급한다. 다닐라가 얻은 첫번째 소중한 것, 화려한 도시와 부와 향락이 넘쳐나는 것이 아닌, 아름답고 소박한 자신의 "고향"이다. [15] 그리고 빅토르에게 질문을 던져 그 부정한 힘의 근거인 "돈"이 과연 진정한 힘인지에 대해 의문을 남긴다.

미국에서 다치고, 죽이면서, 자신이 쳐들어가자 돈을 내놓고 구걸하는 클럽 사장 야동 취향 안맞아 tv 부수고 을 보면서, 벨킨의 아들이 암송하던 시를 중얼거리며 매니스의 본거지에 들어간다. 공포에 질려 한심하게 벌벌 떠는 그를 보며 이 여정을 하면서 그 앞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힘에 대해 정의 내린다.

- Вот скажи мне ,американец, в чем сила? Разве в деньгах? Вот и брат говорит, что в деньгах! У тебя много денег и чего? Я вот думаю, что сила в правде! У кого, правда тот и сильней..

당신들에게 힘이라는건 대체 뭐요? 정말로 돈다발에서 나오는 것이요...?
형아는 돈다발에 있다고 했고, 나으리는 그렇게 돈다발이 많은데.. 지금 꼴을 보쇼.
내가 보건데, 진정함이 힘이요. 어느 누구든간 진정한 사람이 강한 자인거요.
- 다닐라

뭐야 x발 정말 단순하고 간단하지만, 전쟁속에 삶을 잃어버린 다닐라에게 있어서는 정말로 자신이 찾던 삶의 답이였던 것이다. 그 답을 도출해낸 다닐라는 마지막 장면에 함박 웃음을 짓는다. 다닐라는 소중한 인생의 교훈을 얻었고, 곧 고향에서 "부정한 힘"을 "진정한 힘"에 맞서며 살아가게 될 "영원한 청춘"이 되었다. 하지만 브라뜨 3은 안나왔다 형은 미국산다고 해서 큰방가고

그이후, 군대에 다시 입대해 장교가 되어 2차 체첸전에 뛰어들지만 부상당해 포로가 된다.

3 영향

러시아인들의 말을 다적기엔 여백이 없어 적지 않겠다.

다닐라 바그로프는 블리디미르 비소츠키, 빅토르 최 의 뒤를 밟은, 젊음의 아이콘이라고 말할수 있고, 지금의 청년들도 브라뜨에 영향을 받게되며, 신생 러시아의 혼란속에서 젊은이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전달해준 아이돌적 존재이기도 하다.

물론 그에게 결함 - 냉정함, 잔인함과 무자비함 단순무식 노래 취향이 있는것은 확실하지만, 그것을 상쇄할 진정함과 약자에 대한 사랑, 그리고 순수함이 있다. 그래서 그를 생김새부터 행동가지까지 전혀아닌데 잘생겼는데 정말 전형적인 러시아인이지만, 러시아인들이 그를 닮으려고 하는것도 그것이다.

또한, 다닐라는 빅토르와 완벽히 대비되며 기회와 부정한 힘을 진짜로 여기고 미국에 남은 그를 부각시키며 겸사 우크라이나 마피아를 제거해 후환을 제거 [16] 이 작품들이 남기고자 하는 의미를 강조한다.

정치계에서도 언급되는 캐릭터이기도 하고, 특이 그가 말하는 대사는 가끔 "푸틴이 힘이요." 라는 프로퍼간다 대사로 바꿔지거나, 아예 다닐라가 푸틴이 되는 경우도 있다.

413165_600.jpg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그려진 다닐라 바그로프의 그래피티.

뱀발로 대한민국에 사기치러 들어온 러시아인의 계좌의 가명 등록이 "다닐라 바그로프"로 되어 있었다(...)

비슷한 플롯으로 모델 자체는 블라디미르 마쉬코프의 역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니코 벨릭과 다닐라가 더 연관성이 많다고 많이 언급한다. 형제를 만나기 위해 미국오고, 범죄와 싸우게 되는 동유럽 군출신 킬러의 이야기와, GTA 4에서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덤(...)

호프 비치의 실지역인 브라이튼 비치가 등장한다. 브라이튼 빗-치!
  1. 브라뜨 2부작의 모든 것을 관통하는 대사. 대사 자체는 브라뜨 2 에서 나옴.
  2. 빅토르를 진정시키며 자신의 어릴적에 메기 무셔워 자신을 비웃던 보호해주던 형을 잘 따르던 동생이였다라고 회상한다.
  3. 가끔 1편에서 돈을 다 챙기던 모습에서 형의 돈까지 다 가져간거 아니냐고 생각하지만, 그런 사람이라면 형제를 건드리는 자가 있으면 다 죽여버리겠다고 언급도 안했을 것이다.
  4. 정확하게는 ПИСАРЬ, 군 행정병이다. 아이고 행정님
  5. 러시아어로 망가니즈
  6. 애석하게도 그는 전쟁 끝날때 까지 몰랐다고...
  7. 그에게 있어 미국노래 "똥"이다.
  8. 체첸인들과 1편에서의 사주경계 철저안하고 노닥거리던 똘마니
  9. 형제인것도 있지만, 그는 한없이 나약한 자였다.
  10. 영어 한짜 못해 우크라이나 브라뜨바(마피아) 에게 자신을 보호해달라는 댓가로 시카고의 매니스에게 열정페이 당하게 된 러시아의 유명 하키선수
  11. 내말은 지키는 놈이니 살려줄테니 당장 꺼져라. 라는 말이 떨어지면
  12. 가재 잡는것을 보고 비웃는 흑인 보고 "뭐 이 진흙보다 더러운 깜둥이 새끼야 라고 러시아어로 말한다. 더구나 우크라인들에게 반데라파 - 즉 나치추종자라고도..
  13. 고프만도 " '러시아인들에게 약인것은, 독일인들에겐 독이다'.. 나는 이 말을 반증하는 것이 내 삶의 목푤세"라고 말하면서, 러시아 내부 소수민족의 편견과 아집에 대한 메세지를 보낸다. 뻬레멘!
  14. 이에 대해 러시아가 미국을 까기 위해 이런 컨셉을 잡았다. 라고 말하지만, 헐리우드 영화 생각해라. 러시아는 더 시궁창이다
  15. 로지나, 조국이자 고향이라는 의미
  16. 구경하던 우크라이나인 왈 거기있던 단원들을 다 살해했다. .멋져.타타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