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逆鄕
1 개요
지역차별을 국가 차원에서 조장한 조선시대의 악법. 일종의 연좌제.
범죄가 일어난 지역 전체를 "반역향"으로 찍어버리는 제도. 반역향으로 찍힌 고을은 갖가지 차별을 받았는데, 작은 범죄의 경우 마을 단위로 차별하기도 했고, 큰 반란 같은 사건의 경우 도(행정구역) 단위에서 이름을 떼버리거나, 행정구역을 낮은 등급으로 강등하거나, 해당 고장의 선비에게 과거 시험을 응시하지 못하게 하는 등. 다양한 조치를 가했다. 관에서 차별을 하니 백성들에게도 차별 의식이 번져서 반역향으로 찍힌 고을 사람들을 이웃 고을 사람들이 괴롭히는 일도 적지 않게 있었다.
조선시대 500년 동안 온갖 핑계로 서울을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이 번갈아가면서 반역향으로 찍혔고 이는 지방 세력의 붕괴를 초래해, 현대까지 이어지는 서울 공화국을 공고히 하는 한 원인이 되었다.
2 지정 사례 (시대순)
- 명종 때의 이약빙의 옥사가 결정타가 되었다. 수십명이 목이 잘리는 대형 옥사였으며 문정왕후는 "내 기가 막혀서 말이 안 나온다. 반역의 땅 충주를 강등하여 유순현으로 삼고 충청도는 이제 청홍도라고 불러라."라는 서릿발같은 명령을 내리게 된다. 이렇게 충청도의 명칭은 충청도가 아니었던 기간이 충청도였던 기간보다 길다.(…)
- 정여립의 난이 계기가 되었다. 문제는 실제로 본격 봉기하지도 않았는데 선조와 정철 등 서인측 인사들이 정략적 의도로 뒤집어씌우다시피 한 사건이라는 점. 관련 사건으로 야기된 인명 피해는 4대 사화를 합친 이상으로 많다.
- 이인좌의 난이 계기가 되었다. 반란은 삼남 전역에서 발생했지만 그중 영남이 가장 끈기있게 저항했기 때문에 진압에 가장 큰 애를 먹었고 결국 대구에 평영남비(平嶺南碑)가 세워졌다.[1]
- 참고로 이 영조 시절에 말썽을 빚은 지역은 한두군데가 아니다. 특히 영조 11년의 계수관 역모 사건으로 전라도는 전광도(나주를 반역향 지정), 강원도는 강춘도(원주를 반역향 지정), 충청도는 충주, 청주 두곳이 다 반역향이라(…) 공홍도로 바꿨다.
다 모아놓고 보니 반역향인 지역이 반역향이 아닌 지역보다 더 많아도 놀랄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거의 전국이 반역향(...) 경기도하고 황해도 빼고 온통 반역자 동네
실제로 조선 중기에 지방 기반의 사림과 사색당파가 강성했던 것과는 달리, 후기로 가면 서울과 경기도의 문벌 가문 중심의 세도정치가 강해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거의 모든 지방이 이런저런 핑계로 반역향이 돼버리면서 지방의 세력이 크게 몰락한 것과 연관성이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