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전동차

(뱀눈이에서 넘어옴)

해당 열차에 표시된 년도들은 도입 년도를 기준으로 한다.

1 공통적인 특징

전동차 경적 중에 동요 자전거의 선율이 들어있다(중저항, 코레일 3000호대 전동차 제외). 코레일 2030호대 전동차부터 채용하기 시작하였으며, 각 전동차에 따라 템포라든지 이런 부분이 다소 차이가 조금씩 있다. 이런 경적을 싸그리 잡아 멜로디 경적, 뮤직혼이라고 부르고 있다.

하필 자전거인 것은, 자전거의 멜로디를 알고있다면, 당연히 열차를 피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되었다[1]. 물론 멜로디 경적만 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 경적도 사용할 수 있게 설정되어있다.

코레일 소속 1, 3, 4호선과 분당선 전동차들은 현재 도색을 새로 해서 노선 색상과 얼추 맞지만, 신도색을 하기 전엔 노선 색상과 전동차 도색 색상이 전혀 달랐다. 구도색 시절에는 코레일 소속 3호선 차량은 4호선에 어울릴법한 남색 도색을, 반대로 4호선 차량은 3호선에 어울릴법한 주황색 도색을 하고 다녔다(...). 1호선 전동차들의 1980년대까지의 도색은, 현재의 1호선 도색을 적용하였다. 이는 비둘기호 역시 마찬가지.

2 광역철도

2.1 저항제어

1974년 수도권 전철 최초 개통 이후 약 23년간 1호선에서 도입, 양산되던 저항제어 전동차로, 일본국유철도 415계 전동차103계 전동차의 설계를 기반으로 생산된 차량.

2.2 VVVF

2.2.1 외형별 분류

2.2.1.1 납작이(1993~1999)

해당하는 차량은 371~386, 31101~31141, 34101~34125, 35101~35122편성.

1993년부터 도입된 한국 최초급의 3VF 인버터 열차들이다. 가변전압 주파수제어, 전기지령식 회생제동, 교류전동기, 볼스터리스 대차 등 당시로써는 최신 기술을 도입하여 설계의 경량화, 전기 절약, 정비 편의성 향상 등의 성과를 이루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분당선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1호선과 4호선 운행분은 10량, 분당선 운행분은 6량 편성이다. 4호선에서 운행되는 341000번대 차량의 경우, 해당 노선 특유의 병맛나는 운행 덕 ATS/ATC 겸용이다. 또한 교류 25000V 전압과 직류 1500V 전압에도 모두 대응되기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대한민국 철도 어디로도 입선이 가능한 차량. 또한 해외 중 대한민국 최초로 TGIS가 도입된 열차로, 당시에는 단순히 도시바의 제품을 한글화하여 사용해왔으나 이후 우진산전 제품으로 개조가 되었다.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되는 코레일 3000호대 전동차도 엄밀히 따지면 납작이에 포함시킬 수 있지만 여러 모로 다른 납작이들과는 조금 이질적이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 참조.

국내 최초라는 이름에 걸맞게 다양한 사건&사고가 있었으며, 여기서 우러나온 교훈들은 이후 후기 전동차 기술 연구에 큰 공여를 했다. [2]

2.2.1.2 동글이(1999~2004)

1c04koreaseoul.jpg
해당하는 차량은 31142~31165, 34126~34130, 35123~35128편성.
1999년 말에 수도권 전철 4호선에 처음으로 등장하여 본격적으로 유선형 전동차의 세계를 인도하였다.
4호선의 초기형 동글이는 차체 디자인이 납작이와 유사하여 사실상 납작이에 머리만 동글이로 바꾼 형태이기 때문에 "동작이"(동글이+납작이)라고 불린다.
2002년 4분기에서야 기존 안산선 차량의 객실 창문을 변형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에도 모습을 드러냈으며, 창문에 선팅까지 추가하였다. 다만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분당선 2세대 전동차는 대부분 지하에서 달린다는 점을 감안하여 창문에 선팅을 적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 열차부터는 우진산전이 개발한 TGIS가 사용되었다.

2.2.1.3 뱀눈이(2005~현재)

전동차 중 유일한 뱀눈 속성. 오죽하면 뱀눈이로 불릴까...[3]

해당하는 차량은 31166~31201, 31901~31907[4], 35129~35143[5], 35161~35172편성[6], 321000, 331000, 361000, 371000호대, 381000호대 전체. 2016년 현재 3가지 열차 중 가장 많은 편성이 운행중이며, 현재도 생산중이다. 뱀눈이라고 쳐도 이 문서로 리다이렉트된다. 부산에도 번식한다.[7] 명실상부 단일 기종으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기종인데, 향후 비싼 돈 들여 전두부 금형을 바꾸기 전까지는 어느정도 더 번식(?)할 듯 하다. 워낙에 그 수가 많다보니 설계상의 변화(대표적으로 안티클라이머 설치, 싱글암 팬터그래프, 상부 전조등의 채택)도 많은 편이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대명사
동일본E233계 전동차가 있다면 우리에겐 뱀눈이가 있다.어라? 5호선에도 도입된다 카더라 장수만세 + 무한번식

운행되는 노선별로 특징들이 미묘하게 다른데, 대체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또다른 특징으로, 일부 편성을 제외한[12] 모든 열차 내부에 LCD 모니터가 장착되어 있고, 현재 LCD 모니터 개선작업이 진행 중이다. 그리고 331000호대부터(4호선에 들어가는 34만번대는 제외[13])는 1인 승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열차 설비가 되어 있다.

2.2.2 운행 노선별 분류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되는 열차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운행되는 열차다. 구 차번은 5000호대였다. 현 광역철도용 전동차 중 가장 많은 편성 수(100편성)를 자랑한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영등포역~광명역 셔틀 열차로, 4량 편성이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수도권 전철 중앙선에서 운행되는 열차.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수도권 전철 경의선에서 운행되는 열차.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수도권 전철 4호선에서 운행되는 열차. 구 차번은 2030호대였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분당선에서 운행되는 열차. 일부 차량의 구 차번은 2030호대였으며, 35129편성부터는 처음부터 351000호대로 반입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수도권 전철 수인선에서 운행되는 열차. 향후 분당선과의 직결을 염두에 두고 부여된 차번이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경춘선에서 운행되는 열차.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경춘선 좌석급행 ITX-청춘 전용 열차. 일단 디자인과 등급이 다르기 때문에 뱀눈이같은 수도권 전철은 아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수도권 전철 경강선에서 운행되는 열차.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동남권 전철 동해선에서 운행될 예정인 열차.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을 참조.

3 일반 간선철도

4 고속철도

  1. 따르릉 따르릉 비켜나세요 자전거가 나갑니다 따르르르릉 저기가는 저사람 비켜가세요 우물쭈물 하다가는 큰일납니다.
  2. 실제로는 차량 자체 병크라기보다는 꽈배기굴이라는 괴작에 의한 문제가 더 잦았다.
  3. '뱀눈이'라는 별칭은 다음 레일플러스 철도 동호회디씨인사이드 철도갤러리에서 활동하던 '인천토박이'라는 회원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참고로 레일플러스 철도 동호회에서 뱀눈이라는 별칭이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던 즈음에 '오노치마루 동글이'를 밀던 회원도 있었으나, 나루토를 보지 않는 사람도 많고 굳이 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 이름을 써야하냐며 반발하는 회원들에 의해 사장되었다(...)
  4. 단, 31906과 31907편성은 추돌사고로 파손된 구 5x19편성을 개조했기 때문에 "머리만" 뱀눈이고 차량 스펙은 납작이와 동일하다. 뱀작이
  5. 분당선용 차량.
  6. 수인선용 차량
  7. 동남권 전철 동해선 차종으로 채택되어 부산과 울산을 잇게 된다.
  8. 312000편성.
  9. 2011년 10월에 6량으로 칼질당했으나 다시 8량으로 환원되었다.
  10. 1호선과 같은 자석도색으로 반입되었는데 이는 현대로템 측의 착오에 따른 것이다. 향후 분당선과 같은 노란색으로 수정될 예정.
  11. 새로 반입된 371x09, 371x10 편성에 한해 도색이 되어있다.
  12. 31x000대 거의 전체(31101~31182), 중앙선용 일부(32101~32114)
  13. 34만번대는 뱀눈이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