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 관련 항목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선, VVVF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
통근형 | 수도권 | 1 ‧ 31x (1호선) | 3 (3호선) | 341 (4호선) | |||||||||||||||
321 · 331 (경의·중앙) | 361 (경춘) · 3681 (ITX-청춘) | 351 (분당·수인) | 371 (경강) | ||||||||||||||||
부산·경남 | 381 (동해) | 도입예정 (경전) | |||||||||||||||||
대구·경북 | 도입예정 (대구광역) | ||||||||||||||||||
충청 | 도입예정 (충청광역) | ||||||||||||||||||
간선형 | 200 (누리로) · 210 (ITX-새마을) · 3681 (ITX-청춘) | ||||||||||||||||||
고속열차 | 100 · 110 · 1202 · 140 · EMU-250 (도입예정) · EMU-300 (도입예정) | ||||||||||||||||||
윗첨자1 : 여객운송약관에 준하여 운영되는 차량이며, 간선형에 준하는 사양으로 간선형으로도 분류 | |||||||||||||||||||
윗첨자2 : 코레일이 소유한 차량이지만, 주식회사SR에 임대되어 사용중 |
445px | |
8량 전동차 출처 | 서울역 지선용 4량 전동차[1] |
1 제원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구동 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운행 노선 | 경의중앙선 |
급전 방식 | 교류 25000V 60Hz |
최고 속도 | 110km/h |
기동 가속도 | 3.0km/h/s |
신호 방식 | ATS |
제작회사 | 현대로템 |
도입연도 | 2009년(13편성), 2012~14년(14편성) |
제어 방식 | 도시바제 IGBT 2레벨 VVVF제어 |
동력 장치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편성 대수 | 4량(문산역-서울역구간에만 운행),8량(문산역-용문역구간에만 운행) |
전동차 비 | 1:1 |
2 개요
경의중앙선에서 운행되고 있는 열차. 2014년 12월 현재 27개 편성이 재적중으로 문산-용문 본선용 8량 편성은 01~13, 23~27편성의 18개 편성, 문산-서울역 지선용 4량 편성은 14~22편성의 9개 편성이다.
3 제작 시기별 분류
3.1 1차분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역~디지털미디어시티역~문산역 복선전철 개통으로 도입된 차량이다. 기존의 코레일 전동차와는 다르게 스테인리스 차체가 아닌 알루미늄 합금 대형 합출형태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했으며, 기존 운전실의 시야확보 문제로 인해 운전실 창문을 좀더 넓게 개량하였다. 특히 알루미늄 구체로 인해 옆면이 밋밋해 보이는 특징 때문에 한때 뱀저항(...)이란 병신같은 별칭을 가지고 있기도 하였다.[2] 또한 차량간 정면충돌시 타오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티클라임을 설치하였으며, 승객이 머무르는 객실에는 의자 중앙에 봉을 설치하고, 객실 내장제도 기존의 곡선 형상에서 LCD가 위치한 출입문 제어장치 부분과 동일한 모습의 부품으로 변경 도입되었다.
3.2 2차분 (2012~2014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의 용산선 구간인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공덕역~용산역 복선전철 개통을 위해 도입중인 차량이다. 알루미늄 합금 대형 합출형태의 무도장 차체에서 스테인리스 차체로 환원되었으며젠장, 객실 LCD가 출입문 부에서 객실 천정 부분으로 이동배치된 것을 제외하면 별 다른 특징은 없다.
4 기타
과거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선이었고 차량도 1호선에서 운행하던 차량 가져다 쓰고 있는 중앙선은 그렇다 쳐도, 경의선은 1호선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차량 도색이 1호선과 동일하다. 향후 중앙선과의 직결 운행을 위해 결정된 노선색으로 맞춰서 도색하는 게 적절할 것으로 보이지만, 중앙선에 반입된 신차도 자석도색인 걸 보면 어째 암울하다.(...) 그냥 코레일의 취향일지도 도색개조는 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차돌리기를 편하게 하려고.
차량 운행의 효율화를 위해 2012년 1월에 6량으로 감축시킬 예정이었다. 여기서 빠진 2량은 개조하여 공덕역 연장에 따른 새 편성으로 반입할 계획이지만, 실제로 6량으로 제조 및 재조합되어 공덕역 연장때 331x27편성만 들어왔고, 용산까지 연장되면 중앙선 직결용으로 추가로 들어오기 위한 차량의 일부가 이미 제조가 끝나있다.[3] 단, 이들 차량은 기존의 알루미늄차체를 사용한 331000호대와 다르게, 다른 노선의 차량과 똑같은 스테인리스 차체를 사용했다. 여기까지 놓고 보자면 알루미늄차량 도입은 아무래도 시범적인 것 같다. 막상 도입하고 나니까 비싸서 데꿀멍하고 도로 스뎅으로 돌려버렸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러나, 앞서서 6량으로 칼질한 중앙선에 열린 헬게이트와 쏟아지는 민원을 보고 6량 계획은 그대로 취소되었다는 건 정확한 정보였다. 백성운 일산동구 국회의원이 직접 국정감사 때 6량 계획 백지화 확약을 받았고, 코레일에서도 동의한 사항이다. 6량을 상정하고 만든 차량들은 일정기간 8-6량 혼용체제로 간 뒤 8량으로 재조립 된다. 즉, 차량 수가 줄어들게 된다. 신조차량은 내부사양에서의 차이점은 별로 없으나 서울메트로 3호선 301~315, 321~333, 336~340, 349편성에 쓰던 것과 비슷한 LCD TV가 채용되었다. 현재 수인선의 코레일 351000호대 전동차 1개 편성과, 광명셔틀용 코레일 319000호대 전동차 2개 편성 이 임시로 331000호대의 보조로 운용중이나, 중간차 차출에 문제가 생긴 듯 도입이 마저 되지 않은 나머지 편성(33123~33126편성)이 들어오는 대로 본래 소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7월에 331x14,331x15편성이 같이 반입되었는데 9월에 영업운전에 들어가 보조로 운행했던 321x15,321x16편성이 본래 소속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4량으로 반입되었다. 그리고 8월에는 331x16,331x17편성이 반입되었고 나머지 331x18~331x22편성이 반입되며 그과정에서 운행편수가 늘어날 수가 있는데, 2014년에는 331x23~331x26편성이 반입되는데 계약에 맞춰서 8량으로 반입되며 331x27편성도 덩달아 8량으로 운행하나 나머지 331x14~331x22편성도 2010년에 발주했었던 계약분도 2013년에 다시 계약하여 반입이 완료되었지만 하반기부터 추가로 부수차를 반입과 동시에 6량과 8량으로 혼용 편입해서 운행할 예정이었다.
신창원역에 유치 중이었던 331x14~331x26의 신조 차량. 이 중 331x23~331x26편성은 중간차를 편성해서 8량으로 올라와 영업운행 중이며, 331x14~331x22편성은 중간차 편성 없이 4량으로 편성하여 서울역 지선에서 운행 중이다.- ↑ 서울역발 대곡행 K2222열차 22편성
- ↑ 물론 얼마 안가 그런 별칭은 문제가 있어 더이상 쓰지 않는다.
- ↑ 중간차를 재활용 하기 위해 새로 3~4량씩만 제작되어 신창원역에 유치되어 편성을 위해 준비 되어있다. 이미 33123편성부터 33126편성까지 이미 제조가 끝나 있어서 중간차만 들여와서 조합 후 시운전만 거치면 바로 투입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