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누

언어별 명칭
영어soap
터키어sabun
몽골어саван
스페인어jabón
프랑스어savon
독일어Seife
러시아어мыло
이탈리아어sapòne
일본어石鹸(せっけん)
중국어肥皂(féizào) 香皂(xiāngzào) [1]
에스페란토sapo
태국어สบู่

1 개요

500_4.jpg
13c05fa5b0967c605a618d96226eaf44.jpg
20090421_640087.jpg
7759dfb1de868ebc5d4d7e5a6320e192.jpg
60d63fe85ece8561431132eb0924fae6.jpg
절대로 주워주면 안되는 것
세번부르면 이렇게 된다 카더라
몸을 씻는 데 쓰는 용품. 딱히 몸만 씻는 게 아니라 빨래나 다른 청소 업무에도 쓰이지만, 비누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이미지는 몸을 씻는 것이다.

의학자들과 역사학자들이 꼽은 (깨끗한 물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인류를 구한 물품 1위가 바로 이 비누다. 고대 시대 때부터 비누는 있었지만, 상당한 고가의 사치품이었다.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비누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어 가격이 뚝 떨어졌고, 그제서야 일상용품이 될 수 있었다.

사람들이 매일 손발을 씻을 수 있게 되면서 각종 감염/전염의 가능성이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지게 된 것이다. 이전에 전염병 한 번 돌았다 하면 한 도시 단위로 떼죽음을 당한 가장 큰 원인은 개인 위생이었다.

2 역사

고대 바빌로니아 시절부터 존재하던 것으로 기원전 3800년부터 사용이 시작 된 걸로 추정되며 3500년 쯤에 비누의 제작법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고대 그리스에서 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비계를 태우고 그 재를 강물에 풀었는데, 그 물로 몸을 씻으니 더 깨끗해지던 것을 통해 비누가 발견되었다는 설이 있다. 동양에서도 재를 섞은 물이 더 때가 잘 빠졌다고 기록된 것을 보면 유래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우리 조상들만 하더라도 흰 한복을 빨때 재를 섞은 잿물[2]을 즐겨 썼다.

베네치아 공화국 등, 과거 이탈리아의 해양도시국가에서는 적 함대와 교전을 벌일 때, 비누를 무기로 쓰기도 했다고 한다. 물론 적군을 사살할 목적으로 딱딱한 비누를 집어던진 건 아니고, 가루비누를 물에다 푼 다음 적 함선의 갑판에 끼얹어 적군이 미끄러지는 걸 노렸다고 한다. 다만 출처가 믿음직스럽지 못한 곳에서 나왔으므로, 각자 믿거나 말거나 하자.

비누라는 단어는 한자어나 외래어가 아닌 순 우리말 단어이다. 조선시대에도 콩·팥·녹두 등을 갈아 세수할 때 쓰거나 빨래에 비벼서 때를 씻어내는데 썼는데, 이것을 비노라 했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박통사언해>(1677)로 한글로 비노라 기록되어 있다. 내용은 "머리 감게 비노 좀 달라"는 것. 이 비노가 음운 변화를 거쳐 비누가 되었다.

개화기에 현재의 비누가 들어오면서 양비누라 불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비누의 의미를 완전히 대체해 버렸다. 초창기에는 한국말로 석감(石鹼)이나 '사분'이라고 불렀는데, 사분의 경우 포르투갈어의 Sabão(사버웅)이 일본을 통해 전해진 것을 음역한 것이라고 한다. 2010년대 현재도 일제시대에 청년기를 보낸 노인들은 '사분'이라는 말을 쓰는 경우가 종종 보이고, 터키어로는 오늘날까지도 '사분'이라고 부른다. 한국 지역별 비누의 언어지도. 일본에서도 아직까지 비눗방울을 흔히 샤본다마라고 부른다.


(1923년의 광고 깨알같은 이와갓치)

파일:Attachment/비누/05.jpg
(1938년의 광고)

1980년대 후반의 광고. 샤워하면서 춤추고 노래하는 위험천만 스킬 시전 광고는 현재도 판매중인 다이알 비누 광고다. 현재도 판매중...이지만 수입으로만 판매중이다(...), 명예를 버리고 싶진 않았는지 다행이게도 예전에 동산유지였던 크레오에서 수입판매한다.

3 원리

때를 빼는 원리는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다. 비누 분자의 한쪽은 물에 잘 녹고, 다른 한 쪽은 기름에 잘 녹는다.(=계면활성제) 그래서 비누칠을 하면 기름때에 비누 분자가 들러붙고, 물로 씻어내면 비누 분자가 물에 녹아 들어가면서 기름때까지 한꺼번에 떼어내는 것. 참고로 맨손으로 비누를 만진 후, 비눗기를 제대로 안 닦으면 비누 분자가 남아서 손이 하얗게 되고, 비눗기가 묻어있는 부분이 방수가 된다. 그리고 피부가 망가진다

4 제조

일반 가정에서도 제조할 수 있다. 식용유와 같은 지방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과 같은 강염기를 섞어 굳히면 CP(Cold Process) 수제비누가 완성된다. 주로 상온에서 액체상태인 식물성 유지가 이용되나, 식물성 불포화 유지보다 동물성 포화 유지가 더 비누화가 잘 된다. 학교에서 비누를 만들 때 새 식용유가 아닌 폐식용유를 사용하는 것은, 포화지방과 분자 구조가 비슷한 트랜스 지방이 더 비누화가 잘 되기 때문이다.그리고 돈을 아끼기위해서 대신 쩐내가 나기 쉽다

불포화 시스 지방은 분자 구조상 수산화나트륨이 끼어들기 힘든데, 이 때문에 불포화 지방의 비누화 과정이 너무 오래 걸리고 실제로 얻어지는 비누에 비해 들여야하는 노력이 더 크다... 그리고 어떤 지방을 사용하든 열심히 저어주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팔 노가다가 된다. 힘들이지 말고 핸드 블랜더를 이용하자.

미리 만들어진 비누 베이스를 사서 첨가물만 넣어서 굳히는 식으로 간단히 만들 수도 있는데, 이것을 MP(Melt Process)제법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이미 완성된 베이스를 사용하므로 본인의 취향을 맘껏 살리기 힘들고 만들 수 있는 종류에 제한이 있어 천연비누 제조자 대부분은 초보 입문용이나 간단한 비누제작에 사용한다.

조금 더 심화된 방법을 찾는다면 HP(Hot Process) 기법이 있다.[3] CP 비누의 베이스에 글리세린을 첨가해 고온에서 반응을 일으키는 것. 일부 CP 비누가 상대적으로 긴 숙성기간이 필요한 것에 반해 HP 비누는 대부분 빨리 응고되고 짧은 숙성기간을 거치면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빨리 응고된다는 점을 응용하면 MP 기법과 함께 투명한 비누를 만들거나 이를 응용해 두 가지 색의 비누가 마블링이 된 화려한 비누를 만들 수 있다.

바이오 디젤은 기름과 알코올을 촉매를 이용해 에스터교환으로 디젤과 글리세린을 만드는 건데, 만약에 촉매가 기름의 지방산과 물과 반응을 해 버리면 바로 위의 비누 만드는 과정이 되어버린다. 기름으로 바이오 디젤을 만드려는데 만들어지라는 디젤은 안 만들어지고 기름이 비누가 되어버리면 빡친다. 디젤을 만든다면 불포화지방이 많은 기름은 피하거나 지방산을 최대한 없애버리자.

특수한 것으로 리튬 비누가 있다. 말 그대로 수산화리튬을 넣어서 만드는 비누로, 세정 용도보다는 윤활유로써 주로 쓰인다.

5 기타

  • 비누로 귀두 등 분홍빛깔 생식기를 닦으면 닦을수록 검게 변한다. 가성소다 때문이다. 물론, 몸에도 해롭다. 비누가 염기성을 띄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핑크빛 생식기를 가진 사람을 만난다면 비누질을 잘 안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유명한 '마르세유 비누'가 올리브유를 70% 이상 사용한 비누다. 올리브 유를 많이 쓴 비누는 보습성분이 더 우월하기 때문에 미용용으로 많이 쓴다. 그러나 100% 올리브유만 쓴 카스틸 비누는 비누화 과정이 느리고 만드는데 수고가 많이 들어간다. 게다가 올리브 유가 많이 들어갈수록 완성된 비누도 물러져서 쉽게 닳아없어진다. 실례로 목욕탕 바닥에 두었더니 몇 십분 뒤에 다 녹아서 없어졌다는 경험담도 존재한다.
  • 비누를 먹으면 토한다. 비누 속 염기성이 몸에서 거부반응을 일으키기 때문. 그렇다고 진짜로 먹지 말자. 사망할 수도 있다. 토할 목적으로 먹는다면 비눗물을 먹는게 낫다.[4]
  • "인공 비누는 글리세롤을 몽땅 뽑아 없애고, 천연 비누에는 글리세롤이 들어 있어 사용감이 다르다." 라는 말이 있는데, 인공 비누는 판매 목적에 따라 글리세롤의 양을 조절한다. 간단히만 이야기하자면 글리세롤 함량이 많을수록 비누가 무르고 투명하게 된다. 즉 인공 비누 중에는 글리세롤이 거의 없는 비누도 있을 수 있고 글리세롤이 많은 비누도 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 영어 위키피디아에 있는 glycerin soap 문서[5]와 그냥 soap 문서[6] 모두를 참조하자. 비누는 애초에 화학약품으로 물질을 변형시켜 만드는 화학제품이기 때문에, 어설프게 비누 원료 중 지방을 더 많이 함유시키는 건 발효가 아니라 산패의 위험이 더 크다. 그렇다고 가성소다를 더 넣어버리면 쉽게 단단해질 지는 몰라도 사용시 조금씩 피부가 벗겨질 수 있다.
  • 그리스터키에서는 정말로 올리브유 비누가 흔하다. 종류도 다양해서 아무런 첨가물도 들어있지 않은 순수 올리브유 비누가 있는가 하면, 꽃향기가 나는 올리브유 비누도 있다. 그리스의 경우 잘하면 3개에 1유로, 터키의 경우 싼건 1개에 0.35~0.50리라 정도에 구할 수 있다. 기념품 가게에서도 선물용으로 많이 취급하지만, 역시 싸게 구입하려면 현지인들이 출입하는 슈퍼마켓에서 사는 것이 좋다. 참고로 올리브유 함량이 높을수록 비누색이 짙은 녹차색을 띈다.
  • 머리카락을 비누로 감으면 샴푸를 쓸 때보다 뻣뻣해지는 이유는 수산화 이온 때문에 머리카락이 염기성이 되기 때문이다, 비누로 머리를 감은 후에는 산성 용액을 이용해 중화시키는 것이 좋다.
  • 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탈모가 많이 일어난다고 아는 경우도 있는데 꼭 그런 건 아니다. 되려 샴푸를 쓴다고 탈모가 덜 나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샴푸 쪽이 다 빠지질 않아 탈모에 이바지하는 경우도 있다.
  • 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샴푸는 여자나 쓰는 것이고, 남자라면 (빨랫)비누로 머리를 감아야 한다는 뜬금없는 마초이즘이 성행했다. 영향을 많이 준건 샴푸가 지구환경을 상하게 할 수 있다는 미디어의 호소 때문이었다. 지상파 뉴스에서도 샴푸 과용의 환경파괴 가능성을 취재해서 내보냈을 정도. 그래놓고 5년도 안 되서 자기네가 한 소리를 모르는척하고 샴푸 광고를 내보내기 시작한 지상파 방송 90년대 중반 TV드라마에서조차 비누로 머리를 감는다는 대사가 나올 정도였는데, 94년 신애라, 차인표 주연의 사랑을 그대 품안에에서 둘이서 함께 지하철에 탄 날, 사람이 많아 좁은 곳에 바짝 붙어 서 있던 상태에서 차인표가 신애라에게 "(머리) 향기 좋네요. 머리 뭘로 감아요?"라고 묻자 신애라가 "말표 빨랫비누요."라고 대답하는 장면이었다.[7]
  • 개똥모양 비누도 있다. 생긴 것과 달리, 카푸치노 향이 첨가된 수제 비누. 아니 그럼 개똥냄새가 나면 그 비누 팔리겠어?
  • 목욕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누는 오이비누였지만 점점 알뜨랑의 기세가 높아지고 있다.
  • 라이트노벨 '이상적인 기둥서방 생활'과 '청운을 달려라' 에서는 판타지세계로 떨어진 주인공이 비누를 발명하느라 고생하는 장면이 비교적 자세히 나온다.
  • 친절한 금자씨에서는 금자가 교도소에서 다른 죄수들을 괴롭히던 악질 수감자 '마녀'를 골탕먹일 때 비누를 사용했다.[8]
  • 종이처럼 얇은 비누도 있다. 휴대하면서 한장씩 꺼내 사용하기 편리하다. 단 물이 닿으면 금방 녹기 때문에, 물묻은 손으로 한 장 꺼내기는 여의찮다.
  • 클라우드 아틀라스에서 복제인간들에게 녹인 복제인간 주스가 들어 있는 '비누'라는 상표가 붙은 음료수 팩을 나눠 준다.
  • 생선기름으로도 당연히 제조가 가능하긴 하다. 실제로 북한 같이 물자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아직도 정어리 기름으로 만든 비누를 쓴다. 다만 이러면 당연히 비린내가 진동을 한다고.
  • 영화 파이트 클럽에서도 주요한 소재로 등장하는데, 타일러 더든의 본업은 이 비누를 만들어 파는 것이다. 그런데 그의 비누가 품질이 좋아서 사랑받는 비결이 있었으니...바로 지방흡입 수술 후 폐기된 사람의 지방을 몰래 훔쳐서 비누로 가공한 것. 나중에는 이 비결을 휘하 조직원들에게도 전수한 듯 싶다(...)
  • 미국의 약빤 비누광고로 올드 스파이스가 있다. 패러디도 많이 있다.
  • 스테인리스를 이용해서 만든 스테인리스 비누도 존재한다. 일명 스텐 비누. 당연히 물에 녹거나 거품이 생성되는 건 아니고, 생선 비릿내나 마늘 냄새 등의 각종 악취를 잡아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2차 세계대전 때에는 독일이 수용소에 가둔 유태인들의 시체로 비누를 만들었다는 괴담이 퍼졌다. 당연히 그냥 괴담. 구일본군도 그짓은 못했다 기술이 없잖아

6 관련 문서

  1. 앞의 肥皂페이자오는 비누 전체를 뜻하기는 하나 보편적으로는 빨랫비누이며 세수비누를 지칭할 때는 뒤의 香皂를 주로 쓴다.
  2. 이 후 서양에서 들어온 수산화나트륨을 양잿물이라 부르게 된 이유
  3. 이 기법의 정의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고온 처리에 대해서는 대체로 이견 없이 일치한다. 그래서 'Hot' Process인 것.
  4. 이는 위탈원에서 이수근이 밝힌것. 이수근이 호기심에 비눗물을 마셨다가(...) 구토했다고 한다.
  5. https://en.wikipedia.org/wiki/Glycerin_soap
  6. https://en.wikipedia.org/wiki/Soap
  7. 극중 신애라가 가난하다는 설정이었다. 근데 이건 PPL 이었을 확률도 있다. 말표 빨랫비누는 실제로 있었으니까. 그 뿐만 아니라 신애라가 비누로 머리 감는 장면도 있었다.
  8. 목욕탕 입구에 비누칠을 해놔서 마녀가 탕에서 나갈 때 미끄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