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 이념적으로 민감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어 문서를 열람할 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개인적인 감정으로 인한 문서의 악의적 서술 · 편집은 민사 · 형사 상 소송이 발생할 여지가 있습니다.
徐相日
1886년 7월 9일 ~ 1962년 4월 18일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호는 동암(東菴)이다.
2 생애
2.1 초년 시절
1886년 7월 9일 경상도 대구부(현 대구광역시)에서 서봉기의 3남으로 태어났다. 대구 달성학교를 마치고 서울로 유학하여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학교) 법과에 입학한 후 1909년 졸업하였다.
1909년 남형우(단장), 안희제(부단장), 김동삼, 윤병호 등과 함께 항일무장투쟁 단체인 대동청년당(大東靑年黨)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당시 보성전문 출신으로 서상일과 함께 계몽운동 계열의 독립운동을 편 인사로는 남형우, 신백우, 신성모 등이 있으며, 안희제는 보성학교에 입학했다가 양정학교를 졸업했다.
대한제국이 일제에 의해 강제로 합병되던 해인 1910년의 9월에는 9인결사동맹이라는 조직을 결성하여, 당시 무력외교만을 일삼고 있던 외국정부에 우리나라 청년들의 기백을 보여주고 서울에 주재하고 있는 9개국 공사를 상대로 한일합방을 규탄하는 항의를 표시하려 하였다. 이때 9인결사동맹 단원들은 9개국 공사를 한 사람씩 분담해 한일합병을 규탄하는 선언문을 배부하고 할복자살키로 돼 있었으나 사전에 탄로가 나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2 일제 강점기
1913년에는 태궁상점을 설립하고, 남문 안에서 곡물 및 숯장사를 시작했다. 장사가 잘 되자, 1918년 봄 윤상태와 서창규의 보증으로 농공은행에서 1만원을 융통하여 확장하였다. 태궁상점은 서상일, 안희제, 남형우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된 조선국권회복단의 활동거점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였다. 1919년 4월14일 3.1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될 즈음 만주 안동의 신동상회에서 파견된 문상직(경북 고령 출신)을 만나 임정의 선언문과 강령 문서 10매를 은밀히 전달받고 신상태와 함께 대구, 마산 등지에 배포한 것. 그로 인해 체포되고 '내란죄'로 투옥되었다.[1]
그 후 한때 만주에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 1920년 3월에는 만주에서 무기를 반입해 일제 관서를 습격할 계획을 세우다가 일본 경찰에 붙잡혀 잠시 투옥되기도 하였다.
1920년 4월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에서 영친왕과 이방자의 혼례식 행렬을 기다리고 있다가 이방자가 탄 가마에 사제폭탄을 던져 체포되었다.[2] 그로 인해 혹독한 고문을 받을 때 "이왕 전하나 방자 여왕에게는 원한이 없다. 그들을 억지로 결혼시키려는 일본의 소행이 괘씸해서 엄포를 놓으려 했을 뿐이다"라고 진술했다. 이 사건은 극비에 부쳐져서 관계자와 몇몇 사람 외에는 알지 못했고, 신문에도 물론 보도되지 않았다. 어쨌든 이 일로 인해서 4년의 금고형을 받았으나 미수범이라 얼마 지나지 않아 풀려났다.
1921년 8월 미국에서 열리는 태평양회의에 동지들과 함께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이 청원서에 대표로 서명하였다. 1922년에는 대구에서 조양회관을 설립하고[3] 현재의 대구 대륜고등학교를 세우는 등 교육 문화운동에 힘을 기울이며 타협적인 자치론으로 기울어졌다.[4] 1924년에는 '농림(農林)'과 '민중운동(衆運動)'이란 잡지를 발행하고, 흑우회(黑友會) 계통의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1923년부터는 동아일보 대구 지국장을 맡아 17년간 운영하였다. 1926년 어느 날에는 신문배달을 하던 고학생 이응창[5]을 만나 훗날 사위로 삼았다.
1929년 10월 18일에는 장진홍의 대구 조선은행 폭파사건이 발생했는데, 서상일은 여기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대구경찰서에 투옥돼 다시 한번 옥고를 치렀다.
2.3 해방 이후
1945년 8.15 광복 후에는 송진우, 장덕수 등과 함께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1948년 5월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부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국회에서 간접선거제로 시행되는 제1대 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이시영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1952년 권오훈 의원이 주한미군의 오발로 별세하자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한국민당 배은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이승만 대통령의 독재에 반대하여 1954년 호헌동지회에 참여하였다. 이 때 박기출, 장택상 등과 함께 조봉암의 호헌동지회 참가를 적극 찬성하였다. 그러나 해당 방안이 조병옥, 김준연, 장면, 박순천의 반대로 무산되자 호헌동지회를 탈퇴했다. 이후 조봉암과 진보정당 창당을 준비하다가 의견 충돌로 진보당 창당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1953년 조양회관에서 문을 연 원화여자고등학교가 1955년 설립 인가를 받았다. 이에 관해서는 추가바람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회대중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지병으로 인하여 의정활동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다. 투병 중이던 1962년 4월 18일 별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