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동음이의어·다의어/ㅅ
1 洗劑
Detergent
흔히 생각하는 세제.
사실 세차게 제거한단 뜻이다. 뼛속까지 DEEP DEEP CLEAN~
세정제, 세척제라고도 한다.
물에 풀어서 옷, 그릇, 접시 등과 같은 고체의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씻어내는 데 쓰는 물질이다.
종류로는 흔히 주방세제, 세탁(빨래)세제 등이 있다. 큰 틀에서는 치약, 비누, 샴푸 등도 세제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부가설명을 좀 더 하자면 먹으면 죽거나 몸이 많이 상한다 카더라.
1.1 역사와 발명
세제가 따로 발명되기 전까지는 흔히 잿물과 오줌(…)을 이용해 때나 얼룩을 지웠다[1]. 특히 잿물은 고대 이집트부터 사용된 가장 오래된 방법이다. 둘 다 알칼리성 물질로 단백질을 녹이는 성질이 있어 옷에 묻은 때를 지우는 역할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구한말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가 들어오자 서양에서 들어온 잿물이라는 뜻에서 양잿물이라고 불렀다. 다만 잿물 자체가 기름때를 빼는 건 아니고, 가열해 따뜻해진 잿물에 기름 성분이 들어가면 화학반응이 일어나 비누 성분이 생기고, 이게 때를 녹이는 것이다. 기름과 가성소다 등으로 비누를 만드는 걸 보면 설명 끝.
1.2 화학적 성분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씻어 낼 때 필요한 성분이 바로 계면활성제이며, 계면활성제의 품질이 세제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1.3 사용법
세제의 종류와 농도, 세척할 대상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투입하는 양은 세제의 포장 등에 적혀있는 용법을 확인하고 사용하도록 하자. 일반적으로 가루 세제의 경우 스푼 형태의 계량컵이 따라오고, 액체 세제의 경우 뚜껑을 계량컵으로 사용한다. 세탁기에 사용하는 경우, 세제 투입구를 열고 알맞은 곳에 지정된 양을 넣고 투입구를 닫으면 된다. 세탁기에 따라 세제 투입구가 없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그냥 세탁물 위에 뿌려주자. 단, 세제에 따라 옷의 부분 탈색이 일어날 수도 있으니 주의사항을 꼭 읽고 물에 풀어 부어주든가, 세탁물과 세제를 골고루 섞어주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시대가 발전하면서 티슈 형태의 세제도 나왔지만 왠지 어른들은 미덥지 않으신 듯하다. 세탁으로 빨래하기 힘든 올 등의 옷감을 위한 손세탁으로 쓸 수 있는 세제도 만들어져 있다. 사용법은 일정량을 물에 풀어 담가 놓았다가 손빨래를 하고 헹궈 탈수하면 되게 만들어져 있다.
또한 세탁기용 세제 한정으로 일반 세탁기용 세제와 드럼 세탁기용 세제가 따로 있는데, 이는 세제의 비중 차이로, 일반 세탁기용 세제는 가라앉아도 회전축이 수직이라서 회전에 의해 물이 순환하며 세제가 섞일 수 있다. 하지만 드럼 세탁기는 회전축이 수평이라 일반 가루 세제처럼 비중이 높은 세제는 물에 녹지 않으면 밑에서 굴러다니기만 해서 쓸 수 없다. 그래서 드럼세탁기용 세제는 대부분 액상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니까 드럼세탁기 쓰면서 싸다고 아무 세제 사서 넣지 말자. 일반 세탁기에도 쓸데없이 비싼 거 넣었다가 낭패 보지 말고.(...)
시중의 일반세탁기 분말 세제는 대충 다음의 3가지이다. 요즘 세제는 과거보다 권장사용량이 많이 줄었다.
- 일반세제 - 대체로 물 1리터당 1그램 권장, 빨래 7-10 kg 에 물의 양 78 리터, 세제 78그램 사용. 1 kg 으로 12.8 회 사용. 슈퍼타이(LG), 스파크(애경), 브라이트(무궁화), 이코노(CJ)
- 농축 세제 - 물 1리터에 0.67그램 권장 (그램당 물 1.5 리터), 빨래 7-10kg에 물 78 리터, 세제 52그램 사용. 일반세제의 2/3. 1 kg 으로 19.2회 사용. 무게당 가격은 일반세제의 1.5배 가량. 그러니 세탁량 대비 딱히 싸지는 않지만 그만큼 세제량이 줄어들어 헹구기 쉽고 환경부하도 적다. 가능하면 농축세제를 쓰자. 한스푼(LG), 퍼펙트파워(애경)
- 표백 세제 - 물 1리터에 0.85 그램 권장 (그램당 물 1.18 리터), 빨래 7-10 kg 에 물 78 리터, 세제 66 그램 사용. 1 kg 으로 15.2회 사용. 세제인 계면활성제 외에 표백제가 포함되어있어 빨래는 더 희게하지만 염색된 옷은 몇번 (4-5회) 세탁하면 색깔이 빠진다. 색깔 옷은 주의하자. 테크(LG), 파워크린(옥시), 비트(CJ) 등
액체세제는 역시 일반세제와 농축세제가 있어 제품마다 권장사용이 다르다. 제일 중요한 건 권장농도이니 물 1리터당 몇 그램을 권장하는 지 잘 살펴보자. 액체세제 뚜껑은 30 밀리리터 가량의 계량 컵을 겸하는 경우도 많다.
1.4 주의사항
당연한 얘기지만 먹으면 큰일 난다.
실제로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애가 마침 가루 세제는 푸는 것도 숟가락처럼 생겨서 음식으로 오인하고 먹어서 병원에 실려 가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먹으면 만화에서처럼 거품 뿜으면서 쓰러지는 걸로 끝나지 않는다. 심한 경우 계면활성제 등의 세제 성분이 혈액으로 들어가 혈색증이나 호흡 곤란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만약에 아이가 먹었다면 억지로 토하게 할 경우 폐로 들어갈 수도 있으니 하지 말고, 세제의 이름과 어떤 세제인지 기억한 뒤 재빨리 병원으로 데려가야 한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인지 음독자살용으로 쓰이기도 했다. 구한말이나 강점기 소설에서 양잿물을 먹고 자살했다는 게 이거다.
'섞어서 쓰면 더 잘 닦이겠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큰일 난다. 염소가 든 락스와 산성 세제를 섞으면 중화 반응에 의해 세척력도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화학 작용으로 인하여 굉장히 유독한 염소 가스가 나온다![2][3]
1.5 기타
중, 고등학교 과학 시간에 DNA 관찰 실험을 할 경우 비싼 시약 대신 세포막을 분해하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비눗방울의 거품물이 다 떨어졌을 때는 주방 세제를 넣어주면 된다. 물에 약간 타서 해도 되지만 그럴 경우 비눗방울이 잘 터질 수 있으니 물엿을 넣도록 하자.
1.6 별도 문서가 있는 세제 목록
1.7 관련 문서
2 稅制
세금 제도, 세금을 매기고 거두어들이는 것에 관한 제도의 줄임말이다. 특정 요건을 갖추면 세금과 관련해 혜택을 주는 것을 '세제혜택'이라고 하는데 이 말의 '세제'가 이거다. 자세한 내용은 세금 문서를 참조.
3 世弟
왕위를 물려받기로 된 동생을 의미한다. 그래서인지 세자가 아닌 세제이다. 역사적으로는 조선 시대 이방과의 동생 이방원[6]과 경종의 동생 영조가 있었다. 대한제국으로 격상된 이후(태제)에는 순종의 동생 영친왕[7]도 있었다.- ↑ 오줌을 쓸 땐 노예들을 써서 빨래를 하게 했다.
자기 손에 더러운 거 묻히기는 싫었겠지… - ↑ 염소는 폐에 들어 가면 물과 반응하여 염산이 된다. 그 뒤는.... 염소 문서 참고
- ↑ 실제로 이를 이용한 낚시(…)가 미국에서 있었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를 참조. 또 일본에서 한 주부가 이러한 사실을 모른 채 섞어 쓰다가 염소 가스로 인해 사망한 사건이 《위기탈출 넘버원》에 나온 적이 있다.
- ↑ 맨 위에 있는 예시 사진도 이거다.
- ↑ 락스는 강한 산화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세제와는 다르다. 락스는 표백제라고 따로 구분하며, 실제 색깔있는 옷에 락스 한두방울만 튀어도 당장에 탈색되어서 못입게 되어버린다. 그래서 청결이 중요한 행주를 삶을 때 넣기도 한다.
- ↑ 이방원은 엄밀히 세제가 아닌 세자였다. 태종(조선) 문서를 참조.
- ↑ 이방원과 마찬가지로, 영친왕 역시 '태제'가 아닌 '태자'로 봉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