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세종특별자치시의 버스 회사. 연기군 시절부터 연기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던 성일버스가 세종특별자치시 출범도 하기 전인 2010년 3월에 사명을 변경했다. 현재는 계열 분리되었지만, 이전의 계열사로는 삼흥고속, 청양교통이 있었다. 현재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을 위탁 운영 중이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유일한 운수업체로, ●1000을 제외한 모든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와 세종특별자치시 BRT 노선을 독점 운행하고 있다.
본사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당산로 389(舊 봉암리 117-7)에 있다.
2 차량 및 소개
현재 주력 차종은 세종특별자치시 BRT에 투입되는 블루시티를 제외하면 자일대우버스 NEW BS090, BS106과 그린시티,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구형 로얄미디, 로얄시티도 일부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13년 이후 간선 노선 위주로 일부 NEW BS110 디젤 저상버스(앨리슨 자동변속기 장착)[1]를 일부 투입하였고, 간선버스 투입 목적으로 과거 대구 EXCO 셔틀로 운행하던 중고 BC211M 디젤 하이브리드를 업어왔다. 해당 차량은 601번에 투입되다가 지금은 FX116 클린디젤 하이브리드와 함께 991번에서 운행되고 있다.[2]
오송 ~ 반석 간 BRT 노선인 990번에 블루시티를 투입하고 있으며, 시범운행 기간에는 FX116 클린디젤 하이브리드 모델과 한국화이바 바이모달트램을 운행하다가 블루시티로 결정되자 FX116 클린디젤 하이브리드 버스는 남측환승터미널 부지에 짱박아두고 말썽 많던 바이모달 트램은 어딘가로 날려 버렸다.(...) 그렇게 방치되던 FX116 클린디젤 하이브리드 버스는 991번에 투입되었다.
2014년 이후 저수요 노선 투입 용도로 카운티를 출고했다.
과거 성일버스 시절에는 주로 자일대우버스 위주로 뽑는 경향이 강했으나 행정복합도시 개발 이후 늘어난 교통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자동차 차량도 일부 출고하기 시작했다.[3] 현재는 현대 차량이 약간 더 많은 편.
과거엔 권역별로 차량 등급이 크게 나뉘었으나, 현재는 폭풍같은 대차로 일부 읍면지역에 구형 BS106/090, 로얄미디 F/L이 약간 남아있는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신차 위주.
BRT에 투입되는 블루시티를 제외하면 전 차량이 디젤 차량이다. 아직 세종특별자치시 관내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없기 때문.[4] 따라서 BRT 차량들은 반석역 북쪽으로 외삼차량기지를 지나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시경계 근처에 있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안산동 종점의 안산CNG충전소에서 충전한다.
전 차량 LED 행선판을 장착하여 운행 중이다. 1일 5왕복 미만 시골노선이 수두룩한 관계로 일부 간선 노선을 제외하면 한 차량이 여러 노선을 운행한다.
대우 BS F/L 이전까지는 흰색+다홍색 투톤도색을 사용했지만, 2009년 이후 반입 차량은 그런 거 없고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와 유사한 파란색 도색을 사용한다. 다만 2013년 출고분 중 일부에 한해 흰색+파란색의 도색을 사용 중이다. BRT 투입 블루시티 도색을 색깔만 바꾼 모습이다.
과거 연기군 시절부터 이어져 온 비리가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후로도 이어져 논란이 되고 있다. 보조금을 받음에도 감사를 받지 않고 터미널 식당 운영권을 노조위원장에 맡기는 등 작은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
저상버스를 천연가스와 디젤을 혼용하는 몇 안되는 업체이다.
3 서비스
990번(BRT), 655번 노선에서 대전 도시철도 및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와의 환승을 지원하며 차내 안내 전광판과 음성안내 시스템, LG유플러스 LTE를 이용한 신형 티머니 교통카드 단말기 등이 일부 또는 전 차량에 적용되어 있다.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에 적용되어 있는 에이텍제 역삼각형 트로이카 단말기와는 전혀 다른 최신형 단말기를 사용 중. 요금이 찍히는 칸은 LCD 창으로 되어 있다. BIS는 중요 정류장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있다. 본래 마이비를 사용하다가 2013년 4월에 티머니로 전면 교체하여 서울특별시 및 대전광역시와 공용하고 있다. 대신 티머니로 교통카드 시스템을 전면 교체함과 동시에 캐시비 호환은 허용하였으나, 세종시청에서 MIFARE 교통카드의 사용 금지 조치를 내리면서 구형 마이비 교통카드는 사용할 수 없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출범 이후 기사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났으나,[5] 지역에 그만한 인재가 부족해 가끔 수준 이하의 기사가 굴러들어오기도 한다. 한때는 민원을 여럿 먹어도 채울 사람이 없어서 배짱으로(...) 다니던 기사도 있었을 정도. 노사분규도 심각해서 회사 내에 3개의 노조가 난립하던 시절도 있었으며 기사 대우도 좋지 못하다는 듯.
2014년 들어서 차량 내에 노선도가 생겼다. 550번, 601번 등 일부 간선 노선과 655번 투입 차량을 제외하면 수월한 차량 운용을 위해 한 차량에 몇 노선의 노선도를 함께 붙이고 다닌다.
티머니의 정식 지역으로, 티머니를 찍었을 때 T-마일리지 적립 내역에는 "지역교통_세종"으로 나온다.
4 운행 노선
세종시 시내버스 목록 및 세종특별자치시 BRT 항목 참조.- ↑ 바로 아랫동네인 대전광역시에 ZF 공인의 정비소가 있는데, 굳이 경기도 화성시에 가야 고칠 수 있는 앨리슨을 적용한 건 의문이다.
- ↑ 중저상과 FX 디젤 하이브리드 모두 이튼의 자동변속기가 달려 있다.
- ↑ 행정도시 개발 이후 수요가 갑자기 늘어나 급하게 뽑은 듯하다. 자일대우버스는 주문제작 형태로 제작하기 때문.
- ↑ 이 때문에 시영버스인 1000번의 신설 당시 충남일보에서 가스차량 미도입을 갖고 가스 충전소를 아직 안 만든 세종시청을 대차게 깐 일이 있었다. 다만, 이는 해당 언론이 보수 성향인 것도 있어서..... 1000번 참고.
- ↑ 행정도시 개발이 진행되어 버스 증차가 필요한 한솔동 지역만 증차한 게 아니라, 행정도시와 아무런 상관도 없는 전동면, 연서면, 부강면 등 촌구석(편입 지역이라 부른다.) 노선까지 막무가내로 증차하는 바람에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