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1호선2호선3호선4호선5호선6호선7호선8호선9호선우이신설선신림선경의중앙선
구로
군자*
병점
시흥*†
이문*
군자*
신정*
지축*
수서
창동
시흥*
지축*†
오남
고덕*
방화
신내
도봉*†
도봉*
천왕
모란
고덕*†
김포*우이*보라매*문산*
용문
경춘선분당선수인선경강선서해선인천 1호선인천 2호선공항철도신분당선의정부용인김포
평내*분당*시흥*분당*†
부발
시흥*†
송산
귤현*운연*용유*광교*의정부경전철*용인경전철*김포한강*
* : 중정비 가능한 기지 /  : 타 노선상의 중정비 기지
망우선
성북 방면
성 북[1]

2.6 km
이 문
2.7 km
망우 방면
망 우

里門車輛事業所 / Imun Train Depot

DSC_9415-4.jpg

왠일로 두대 다 신차 위 사진은 용문차량사업소로 이관하기 직전에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석관중학교 일부교실에서는 사진 뒤에 있는 빨간벽돌 건물인 차륜전삭고가 보인다.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차량사업소(차량기지)로 코레일 소속이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舊 이문동 64-6번지) 소재.

2 역사

원래 망우선이 부설되면서 영업을 시작한 이문역이었다.

서울 시민의 월동을 책임지던 무연탄 저탄장을 가지고 있던 역으로 주로 영동선, 태백선을 통해 서울로 올라오는 무연탄을 취급하는 화물 전용역이었다. 전성기에는 1년에 3백만톤 이상의 석탄을 취급한 적도 있다고.

또 한때는 여름 한정으로 옛 성북역에서 옛 중앙선선로를 통해 동해안 쪽으로 가기 위해 이 역에서 여객영업을 하기도 했다.

석탄산업이 사양길로 들어서자 2004년 이문역을 폐역하고 그 부지에 기지를 건설, 2005년에 완공했다. 그런데 이미 주변으로 전부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었기때문에 차량기지를 건설하려 하자 주민들의 반발이 상당했다고 한다. 당시 철도청은 이러한 반대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건설 당시부터 주민들을 위한 각종 시설(주차장, 체육관) 등을 설치하고, 기지 담장을 따라 녹지를 조성한다고 하여 간신히 지역 주민의 반발을 무마했지만 현재까지도 진척이 없다.

본래 신이문역과 함께 수도권 북부지사 소속이었다. 하지만 북부지사와 동부지사가 2009년에 수도권 동부본부로 합병당했다.

참고로, 이 역도 외환위기를 비켜가지 못한 불운의 기지이기도 하다. 지난 1996년에 착공해서 2005년에 완공 되었기 때문. 참고로 공사당시 명칭은 동부전동차사업소였다. 코레일 역시 이전에 동부전동차사무소라고 이름을 불리었다가 나중에 이문기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배속 차량

사업소 개설 초기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의 전동차와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전동차를 동시에 주박시켜 검수/정비를 담당하였으나, 이후 중앙선이 용문역까지 수도권 전철로 개통되자 중앙선용문차량사업소를 새로 지어서 옮겨갔다. 원래는 2009년에 용문차량사업소를 완공하려 했는데 티스푼 공사로 인해 2012년 4월에야 완공시켰다. 안습. 용문차량사업소는 유치 및 경정비만 담당하기 때문에 이후에도 중앙선 차량의 중정비는 여기서 담당했지만, 경의중앙선 직결 이후에는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담당하게있다. 최근에는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하는 경춘선 열차가 주박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주박하지 않는다.

4 기타

이문차량사업소는 가장 모범적인 차량사업소라며 철도 선진국인 일본에서 소개된 적이 있다. 관련기사

코레일 수도권 동부본부가 이문차량사업소 구내에 있다. 외부 방문자나 업무상 들러야하는 근처 동부본부 소속역 공익은 웁니다. 신이문역에서 아무리 빨리가도 5~10분 거리. 신이문역 내에 차량사업소 주차장(경수선 지붕)과 바로 연결되는 통로가 있었지만 막혔다.

이 사업소가 원래 이문역이었기 때문에, 수도권 전철 1호선신이문역은 "이문역"이 되지 못하고 이문역이 되었다.
  1. 망우선상의 광운대역은 역명변경이 적용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