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
Tim nasional sepak bola Indonesia | |
정식명칭 | Tim nasional sepak bola Indonesia[1] |
FIFA 코드 | IDN |
협회 |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 (PSSI)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지역연맹 | 아세안 축구 연맹 (AFF) |
감독 | 피터 후이스트라 (Pieter Huistra) |
주장 | 퍼만 우티나 (Firman Utina) |
최다출전자 | 밤방 파뭉카스 (Bambang Pamungkas) 85경기 |
최다득점자 | 밤방 파뭉카스 (Bambang Pamungkas) 37골 |
홈 구장 | 겔로라 붕카르노 스타디움 (Gelora Bung Karno Stadium)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인도 (0:3 패), 인도 뉴델리 (1951년 3월 4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필리핀 (12:0 승), 대한민국 서울 (1972년 9월 22일) VS 필리핀 (13:1 승),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02년 12월 23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바레인 (0:10 패), 바레인 리파 (2012년 2월 29일) |
별칭 | Merah Putih (빨강-흰색), Garuda (가루다) |
월드컵 | 출전 1회 (1938) |
아시안컵 | 출전 4회 (1996, 2000, 2004, 2007) |
올림픽 | 출전 1회 (1956) |
유니폼 | 홈 | 어웨이 |
상의 | 빨강 | 하양 |
하의 | 하양 | 초록 |
양말 | 빨강 | 하양 |
1 개요
아시아 대륙 최초의 월드컵 본선 진출국. 다만 이때는 식민지(네덜란드령) 대표였고 주권국가로써 처음 진출한건 1954년 대한민국이 처음이었다.
감독은 피터 후이스트라다. 적백색(Merah Putih)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1938년 프랑스 월드컵에 유일한 아시아 대표로서 출전하였다. 당시는 네덜란드 식민 지배하여서 네덜란드령 동인도제도라는 국명으로 출전하였다. 하지만 세계와의 수준차이를 실감하고 1회전에서 당시 강호이던 헝가리에게 0-6으로 개발살났다. 그 뒤로는 아시아권에서도 딱히 뚜렷한 족적을 남기지 못했다. 과거 6,70년대에는 한국을 종종 이기긴 했지만 대한민국과의 전적도 4승 4무 35패이며 2000 시드니 올림픽 축구 지역예선에선 한국에게 7:0 대패를 당했다. 가장 최근에 한국과 경기를 벌인 게 공동개최로 안방에서 열린 2007 아시안컵에서 한국과 같은 조로 만나 1:0으로 한국이 이긴 경기이다. 당시 6만명이 넘는 현지 관중들의 응원 속에서 한국이 고전하긴 했다. 그리고 바레인을 2:1로 이기긴 했지만 결국 조 3위로 8강진출에 실패했다.
2014 월드컵 3차예선에서 또 바레인과 같은 조로 만났으나 이번에는 엄청나게 두들겨 맞았다. 안방에서 2:0으로 졌고 바레인 원정에선 무려 10:0 대패를 당하면서 인도네시아 축구 역사상 최다 실점패를 당했다. 바레인과 상대전적 동률이고 바레인이 3차예선 5경기에서 불과 3골 넣은 것을 감안하면 흠좀무... 참고로 바레인은 조 3위로 밀려 최종예선 진출에 실패했음에도 5년전 패배를 화려하게 설욕했다. 그 밖에도 카타르와 이란에게도 무득점으로 패하면서 6전 전패 26실점으로 이번 예선 최다 실점패로 탈락했다. 다만 져도 너무 크게 바레인에게 졌다고 하여 승부조작 혐의가 있다고 피파에게 조사를 받는 처지가 되었는데 별다른 혐의를 찾지 못했다.
2015년 5월 30일 FIFA 집행위원회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오랫동안 인도네시아 축구협회에 깊숙히 개입한 점을 들어 인도네시아 클럽과 각급 대표팀들이 AFC 및 FIFA 주최 대회에 참가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발표를 했다. 이로서 인도네시아는 FIFA로부터 2018 러시아 월드컵, 2019 UAE 아시안컵 2차 예선 출전금지를 당함에 따라 두 대회는 일찌감치 실격패로 탈락했다.
동남아 축구 연맹 국가 대항전인 AFF 스즈키컵에선 우승은 한 번도 못 하고 준우승만 대회 최다인 4번(2000, 2002, 2004, 2010)을 기록했는데, 그나마 2012년 대회는 4강조차 오르지 못했다.(8개 나라 참가)
이렇게 아시아에서도 동네북이지만 자국 프로리그는 인기가 엄청나며 한국인 선수도 여럿이 활동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리그 정보
인도네시아 국적의 선수 중 그나마 한국에 알려진 선수가 있다면 인도네시아 국가대표 최다 A매치 출전 기록과 최다 골 기록을 보유한 밤방 파뭉카스인데, 2007년 아시안컵 당시 한국 언론에서 경계대상이라며 워낙 호들갑(...)을 떨어대는 바람에 한국의 축구 팬들에게도 이름을 알렸고, 2014년에는 박지성이 주최한 자선경기에 인도네시아 올스타 자격으로 참가하기도 했다. 그 외 네덜란드의 前 축구선수 지오반니 반 브롱코스트는 인도네시아 이민자 출신이다.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77위[2]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30 우루과이 월드컵 | 불참 | ||||||||
1934 이탈리아 월드컵 | 불참 | ||||||||
1938 프랑스 월드컵 | 1라운드[3][4] | 15위 | 0 | 1 | 0 | 0 | 1 | 0 | 6 |
1950 브라질 월드컵 | 기권 | ||||||||
1954 스위스 월드컵 | 불참 | ||||||||
1958 스웨덴 월드컵 | 기권 | ||||||||
1962 칠레 월드컵 | 기권 | ||||||||
1966 잉글랜드 월드컵 | 불참 | ||||||||
1970 멕시코 월드컵 | 불참 | ||||||||
1974 서독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82 스페인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86 멕시코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90 이탈리아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94 미국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98 프랑스 월드컵 | 예선 탈락 | ||||||||
2002 한일 월드컵 | 예선 탈락 | ||||||||
2006 독일 월드컵 | 예선 탈락 | ||||||||
2010 남아공 월드컵 | 예선 탈락 | ||||||||
2014 브라질 월드컵 | 예선 탈락 | ||||||||
2018 러시아 월드컵 | 실격(FIFA로부터 제제) | ||||||||
2022 카타르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1회 | 1/21[5] | 0 | 1 | 0 | 0 | 1 | 0 | 6 |
2.2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8위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홍콩 1956 | 기권 | |||||||||
대한민국 1960 | 참가를 거부당함 | |||||||||
이스라엘 1964 | 기권 | |||||||||
이란 1968 | 예선 탈락 | |||||||||
태국 1972 | 예선 탈락 | |||||||||
이란 1976 | 예선 탈락 | |||||||||
쿠웨이트 1980 | 예선 탈락 | |||||||||
싱가포르 1984 | 예선 탈락 | |||||||||
카타르 1988 | 예선 탈락 | |||||||||
일본 1992 | 예선 탈락 | |||||||||
아랍에미리트 1996 | 조별리그 | 11위 | 1 | 3 | 0 | 1 | 2 | 4 | 8 | |
레바논 2000 | 조별리그 | 11위 | 1 | 3 | 0 | 1 | 2 | 0 | 7 | |
중국 2004 | 조별리그 | 11위 | 3 | 3 | 1 | 0 | 2 | 3 | 9 | |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2007 | 조별리그 | 11위 | 3 | 3 | 1 | 0 | 2 | 3 | 4 | |
카타르 2011 | 예선 탈락 | |||||||||
호주 2015 | 예선 탈락 | |||||||||
아랍에미리트 2019 | 실격(FIFA로부터 제제) | |||||||||
합계 | 조별리그(4회) | 4/17 | 8 | 12 | 2 | 2 | 8 | 10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