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박격포

1 개요

박격포를 차량에 실어서 만든 일종의 자주포다.

2 역사

박격포는 원래 보병들이 애용하던 무기이지만, 이 무기 역시 포는 포인지라 점점 사거리와 위력의 증가가 요구되었고, 그로 인해 보병들에게는 애로사항이 싹트게 되었다. 너무 무겁잖아!

60mm 박격포만 해도 그럭저럭 보병들이 들고 다닐 수 있지만, 81mm 박격포인 KM187만 해도 이미 중량이 40kg을 넘어가기 시작한다. 포탄까지 더할 경우 더 말할 나위도 없고, 120mm 박격포까지 가면...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바로 자주박격포다. 너무 무거우니까 아예 차량에 싣고, 덤으로 포탄까지 실어서 편하게 다녀보자는 생각이 낳은 무기인 셈이다.

보통은 120mm 박격포를 탑재하며, 과거에는 일본의 60식 107mm 자주박격포나 미국의 M106 107mm 자주박격포와 같이 107mm 박격포를 탑재한 경우도 있었다. 이는 지금의 120mm 박격포의 포지션에 놓여 있던 물건이 과거에는 107mm 박격포였었기 때문.

한편 이스라엘군에서는 메르카바 전차60mm 박격포를 달아두기도 하지만, 메르카바 전차 쪽은 전차에 마치 동축기관총이나 대공기관총 등의 기관총들처럼 일종의 부무장으로서 박격포를 달아 놓은 정도라 자주박격포 쪽으로 분류하는 일은 없다는 데 유의할 것.

3 특징

장갑차에 탑재한 박격포의 기본적인 장점은 초탄발사시간이다. 아무 개조도 안한 박격포라도 장갑차 탑재가 되면 초탄발사시간이 엄청나게 줄어든다. 도수 운반식은 땅을 파서 포판을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 시간이 만만치 않게 걸리는데 반해 장갑차 탑재식은 몇톤이나 되는 장갑차가 발판역할을 해주므로 설치시간이 0이다. 로디지아군처럼 그냥 트럭에 싣고 다니는 경우 부대 기동성은 좋아지지만 초탄발사시간은 도수운반 박격포와 다를바가 없다. 그래도 짐칸에 용접 등으로 고정해서 사용하면 정확성은 나쁘지만 초탄발사시간은 짧아진다.

포탄 운반도 매우 편해진다. 도수운반식 박격포라면 사람이 포탄을 메고 다녀야 하고, 트럭으로 포탄을 나르더라도 진지에 도착한 후 포탄을 일일이 트럭에서 손으로 끌어내려 쌓아야 하지만, 자주박격포는 그냥 실려있는 포탄을 장전해서 쏘면 된다.

방어력도 우월하다. 아무래도 장갑차에 탑재하므로, 소총 사격만으로도 무력화되는 기존의 박격포반보다는 훨씬 안전하다. 기존 박격포는 사람이 짊어지고 다니거나, 트럭으로 끌고 다녀야 하므로 움직이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리지만 자주박격포는 그냥 움직이면 되니 도망가기도 쉽다.

기동력도 우월하다. 도수운반식 박격포는 말할 필요도 없고, 트럭으로 견인되는 박격포도 한 번 움직이려면 트럭에 박격포를 매다는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하지만, 자주박격포는 그냥 엔진걸고 움직이면 된다. 험한 지형에서도 트럭보다는 장궤식 장갑차가 유리하고, 자주박격포는 대개 장궤식 장갑차다.

최근에는 자동장전장치와 사격통제장치를 붙여서 발사속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킨 자주박격포가 등장함으로서, 화력에서도 도수운반식 박격포를 크게 능가하게 되었다.

약점은 가격이 비싸고, 장갑차가 갈 수 없는 지형에서는 무용지물이라는 점이다. 견인포자주포의 차이와 마찬가지다.

시리아 반군들은 이렇게 스키드 로더를 마개조해서 만들기도 한다.(...)테크니컬 만드는 솜씨가 어디 안 간다

4 종류

4.1 장갑차 탑재식

286px-M-113_portamortero_120_mm.JPG
M113 기반의 자주박격포 M125.*

그냥 장갑차 뒤에 박격포를 탑재한 형식.

자주박격포 중 가장 먼저 나온 형식으로, 사격시에는 장갑차의 뚜껑을 열고 포신을 노출시킨 후에 사격한다. 초기의 자주박격포가 이런 식인데, 이것만 해도 과거 박격포를 견인차량으로 끌고 다니던 시절에 비해서는 많이 발전된 것이었다. 현재 한국군 보병사단의 자주박격포가 이런 경우다. 로디지아군처럼 숫제 트럭 짐칸에 올려놔 자주화를 꾀하는 경우도 있었다. 혹은 보병 수송용 고기동차량(그라울러 등)에 달고다니는 경우도 있다.

포탑식보다 가격이 저렴하므로 많은 국가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자동장전장치와 사격통제장치를 붙인 신형도 나오고 있다.

4.2 포탑식

4.2.1 역사

소련군공수부대의 화력지원을 위해 BMD-1의 계열차량인 BTR-D를 기반으로 개발한 Anoria 2S9라는 자주박격포가 기원이다. 본격적인 곡사포는 공수부대원들이 쓰기에는 무거운 데다가 다루기도 힘들지만, 박격포는 바보 같은 인민들도 다루기 쉽고 위력도 뛰어나므로 선택했다고 하며, 여기서 재미를 본 소련군은 2S9 Nona라는 자주박격포를 전군에 보급한다. 이걸 본 다른 나라도 소련에게 질 수 없다며 포탑식 자주박격포를 만들게 되었다.

800px-2S31_Vena_Sideview.jpg
러시아가 개발한 BMP-3 기반의 포탑식 자주박격포인 2S31 베나. 포탑식 자주박격포의 가장 전형적인 예를 잘 보여주는 차량이다. 러시아군에는 배치되지 않았지만 아제르바이잔에 수출되었다고 한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러시아군은 과거 소련군 시절부터 이러한 포탑식 자주박격포들을 개발하여 운용해온 경험이 있다. 사진에 나온 2S31가 러시아군에는 배치되지 않은 것도 예전에 도입했던 전임자들을 지금까지도 아직 잘 굴리고 있는 중이기 때문이라나? (...)

800px-AMOS_on_Patria_AMV_%281%29.JPG
스웨덴핀란드가 공동개발한 AMOS(Advanced Mortar System) 포탑식 자주박격포 시스템. 자동장전장치를 사용하는 후장식 120mm 박격포를 2연장으로 탑재한 위엄 넘치는 물건으로서(...), 사진에 나온 것은 핀란드군에서 채용한 AMV 장륜장갑차 기반의 모델이다.

4.2.2 포탑식의 특징

화력은 기존의 자주박격포보다 강력하다. 장갑차 뒤에 박격포를 수납하고 다니는 게 아니므로 포신을 길게 만들 수 있어서 같은 포탄을 쓰더라도 위력이 증강되며, 고각사격만 가능한 다른 박격포와 달리 수평으로 직접사격도 가능하므로 적의 공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자주박격포를 처음 만든 소련군도 이런 경우에 대비해서 대전차용 성형작약탄을 준비했을 정도다. 이러면 그냥 자주포랑 다른 게 뭘까 자동장전장치를 갖추는 경우도 많다.

방어력도 뛰어나다. 기존의 자주박격포는 장갑차 상판을 열고 쏴야 하므로, 머리 위에 총알이나 포탄이 날아올 경우 그대로 맞아야 하고 독가스가 살포되면 방독면 쓰고 쏴야 하지만 포탑식은 그런 거 없다. 그냥 조준하고 쏘면 된다. 그러나 전차 수준의 방어력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장갑차 수준이며, 이런 사실을 망각한 소련군은 체첸에서 시가전에 자주박격포를 투입했다가 개발살나기도 했다.

기동력도 기존의 자주박격포에 전혀 떨어지지 않으며, 특히 소련군은 자주박격포를 수륙양용으로 만들거나, 공수부대용으로 낙하산 강하가 가능하게 하는 등 기동력 향상을 위해 많은 배려를 했다.

그러나 가격에 자비심이 없다는 약점이 있다.

5 자주곡사포와의 차이

이런 자주박격포, 특히 포탑식 자주박격포와 관련해서 이쯤 되면 평범한 자주곡사포와 뭐가 다른 지 모르겠다는 비아냥이 종종 있는데, 사실 탑재한 무장이 다르다 보니 용도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보통 자주곡사포들이 155mm 곡사포를 주포로 탑재하는 데 비해서, 자주박격포들은 값비싼 포탑식이라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탑재되는 주포는 120mm 박격포 정도로 제한되는 편. 때문에 위력 면에서는 어떨지 몰라도 사정거리 면에서는 확실히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120mm 박격포는 위력 면에서는 155mm 곡사포에 필적하는 위력을 지녔지만, 반면 사정거리 면에서는 155mm 곡사포는 물론이고 105mm 곡사포보다도 뒤떨어진다. 기술이 발전되어 가면서 105mm 곡사포와 비슷한 수준에까지 사정거리가 연장된 경우도 차츰 나오곤 있지만, 여전히 155mm 곡사포의 압도적인 사정거리에 비해선 한참 밀리는 수준.

사정거리의 차이 때문에 용도도 달라지기 마련이다. 자주곡사포가 비교적 먼 거리에서 화력지원을 해주는 용도를 상정하고 있다면, 자주박격포는 자주곡사포가 대응하기 어려운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화력지원을 해주는 용도를 상정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일반적으로 곡사포는 105mm 곡사포 정도까지라면 몰라도 현대전에서 널리 쓰이는 155mm 곡사포 정도가 되면 아무래도 가까운 거리에서의 화력지원에 쓰기에는 여러 애로사항이 있기 마련이다. 120mm 박격포는 이러한 갭을 메우기 위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허나 120mm 박격포는 곡사포들만큼은 아니어도 앞서 말했듯이 여러모로 그냥 쓰기에는 운용이 좀 빡센 면이 있고, 때문에 그 운용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자주박격포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6 항목이 작성된 자주박격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