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역대 후궁

< 조선

이 중 이름이 알려진 경우는 세조의 후궁 폐소용 박씨(박덕중), 연산군의 후궁 장녹수, 광해군의 후궁 상궁 김씨(김개시),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장옥정),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성덕임) 정도이다.

1 태조

품계시호·이름
성비 원씨
(誠妃 元氏)
궁주정경궁주 유씨
(貞慶宮主 柳氏)
옹주화의옹주 김씨
(和義翁主 金氏)
찬덕찬덕 주씨
(贊德 周氏)

2 정종

품계시호·이름
성빈 지씨
(誠妃 池氏)
숙의숙의 지씨
(淑儀 池氏)
숙의 기씨
(淑儀 奇氏)
숙의 문씨
(淑儀 文氏)
숙의 이씨
(淑儀 李氏)
숙의 윤씨
(淑儀 尹氏)
궁주가의궁주 유씨
(嘉懿宮主 柳氏)
?초궁장
(楚宮粧)
기매
(其每)

3 태종

품계시호·이름
효빈 김씨
(孝嬪 金氏)
신빈 신씨
(信嬪 辛氏)
선빈 안씨
(善嬪 安氏)
명빈 김씨
(明嬪 金氏)
의빈 권씨
(懿嬪 權氏)
소빈 노씨
(昭嬪 盧氏)
정빈 고씨
(貞嬪 高氏)
숙의숙의 최씨
(淑儀 崔氏)
숙의 이씨
(淑儀 李氏)
궁주숙공궁주 김씨
(淑恭宮主 金氏)
의정궁주 조씨
(義貞宮主 趙氏)
혜순궁주 이씨
(惠順宮主 李氏)
신순궁주 이씨
(愼順宮主 李氏)
옹주덕숙옹주 이씨
(德淑翁主 李氏)
혜선옹주 조씨
(惠善翁主 洪氏)
서경옹주 금영
(西京翁主 金英)
승은상궁김씨
(金氏)
이씨
(李氏)

4 세종

품계시호·이름
영빈 강씨
(令嬪 姜氏)
신빈 김씨
(愼嬪 金氏)
혜빈 양씨
(惠嬪 楊氏)
귀인귀인 박씨
귀인 최씨
소용소용 홍씨
숙의숙의 조씨
숙원숙원 이씨
상침상침 송씨
사기사기 차씨

5 문종

품계시호·이름
숙빈 홍씨[1]
(肅嬪 洪氏)
숙의숙의 문씨
(淑儀 文氏)
사칙[2]사칙 양씨
(司則 楊氏)

6 세조

품계시호·이름
근빈 박씨
(謹嬪 朴氏)
소용폐소용 박씨[3]
(昭容 朴氏)

7 성종

품계시호·이름
명빈 김씨
귀인귀인 정씨
귀인 엄씨
귀인 권씨
귀인 남씨
소의소의 이씨
숙의숙의 하씨
숙의 홍씨
숙용숙용 심씨
숙용 권씨

8 연산군

품계시호·이름
숙의숙의 이씨
숙용장녹수

9 중종

품계시호·이름
경빈 박씨
희빈 홍씨
창빈 안씨
귀인귀인 한씨
숙의숙의 홍씨
숙의 이씨
숙의 나씨
숙원숙원 이씨
숙원 김씨

10 인종

품계시호·이름
숙빈 윤씨
귀인귀인 정씨
??

11 명종

품계시호·이름
순빈 이씨
숙의숙의 신씨
숙의 정씨
숙의 정씨[4]
숙의 신씨[5]

12 선조

품계시호·이름
공빈 김씨[6]
인빈 김씨[7]
순빈 김씨
정빈 민씨
정빈 홍씨
온빈 한씨

13 광해군

품계시호·이름
소의소의 윤씨
소의 홍씨
숙의숙의 허씨
숙의 권씨
숙의 원씨
소용소용 임씨
소용 정씨
숙원숙원 신씨
?조씨

14 인조

품계시호·이름
귀인폐귀인 조씨[8]
귀인 장씨
숙의숙의 나씨

15 효종

품계시호·이름
안빈 이씨
숙의숙의 김씨
숙원숙원 정씨

16 숙종

품계시호·이름
희빈 장씨[9]
(禧嬪 張氏)
숙빈 최씨[10]
(淑嬪 崔氏)
명빈 박씨
(䄙嬪 朴氏)
영빈 김씨[11]
(寧嬪 金氏)
귀인귀인 김씨
(貴人 金氏)
소의소의 유씨
(昭儀 劉氏)

17 영조

품계시호·이름
정빈 이씨
영빈 이씨
[12]
귀인귀인 조씨
숙의숙의 문씨[13]

18 정조

품계시호·이름
의빈 성씨[14]
(宜嬪 成氏)
원빈 홍씨
(元嬪 洪氏)
화빈 윤씨
(和嬪 尹氏)
수빈 박씨
(綏嬪 朴氏)

19 순조

품계시호·이름
숙의숙의 박씨

20 헌종

품계시호·이름
경빈 김씨
정빈 윤씨
숙의숙의 김씨

21 철종

품계시호·이름
귀인귀인 박씨
귀인 조씨
숙의숙의 방씨
숙의 범씨
?궁인 이씨
궁인 김씨
궁인 박씨

22 고종

품계시호·이름
귀비순헌황귀비 엄씨[15]
(純獻皇貴妃 嚴氏)
귀인영보당 귀인 이씨[16]
(永寶堂貴人 李氏)
귀인 장씨[17]
(貴人 張氏)
광화당 귀인 이씨
(光華堂貴人 李氏)
보현당 귀인 정씨
(寶賢堂貴人 鄭氏)
내안당 귀인 이씨
(內安堂貴人 李氏)
복녕당 귀인 양씨[18]
(福寧堂貴人 梁氏)
상궁삼축당 상궁 김씨
(三祝堂尚宮 金氏)
정화당 상궁 김씨[19]
(貞和堂尚宮 金氏)
?궁인 서씨
(宮人 徐氏)
궁인 김씨
(宮人 金氏)
궁인 장씨
(宮人 張氏)
  1. 원래 귀인이었으나, 단종이 즉위하면서 빈으로 승격되었다.
  2. 후대에는 수칙(守則)으로 호칭이 바뀌었다고 한다.
  3. 이름은 덕중으로, 임영대군의 아들인 구성군 이준에게 계속해 연서를 보냈고 구성군 이준은 그것을 세조에게 알렸다. 이로인해 폐서인되어 교형에 처해졌다.
  4. 동명이인이다.
  5. 마찬가지로 동명이인이다.
  6. 광해군의 어머니
  7. 인조의 할머니로, 인조 이후의 모든 왕들은 인빈 김씨의 후손이라 할 수 있다.
  8. 주로 소용 조씨로 알려진 여인이다. 인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소현세자 부부와 사이가 좋지 않아 민회빈 강씨를 항상 모함했다. 인조 사후 김자점의 옥사에 휘말려 폐서인되어 죽었다. 궁중잔혹사-꽃들의 전쟁이 조씨의 이야기이다.
  9. 조선 역사상 마지막 후궁 출신 왕비였으며, 희빈 장씨 사후 숙종은 후궁이 왕비가 될 수 없도록 법제화시켰다. 아들인 경종이 즉위한 후 옥산부대빈(玉山府大嬪)으로 추존되었다.
  10. 영조의 생모로 드라마 동이가 그녀의 일생을 다룬 드라마이다.
  11. 숙종의 후궁들 중 유일한 간택후궁이었으며, 숙빈 최씨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 연잉군을 친아들처럼 대했고 연잉군도 어머니처럼 따랐다고 한다.
  12. 사도세자의 생모이자 정조의 할머니.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13. 정조 즉위 이후 유배되어 사사되었다.
  14. 정조의 후궁들 중 유일한 승은후궁으로 정조를 15년이나 기다리게 만들었다.
  15. 영친왕 이은의 생모로 보통 엄귀비라 불린다. 명성황후 사후 실질적인 황후 대접을 받았다. 또한 숙명여자중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대학교의 전신인 명신여학교와 진명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진명여학교를 사비를 털어 설립했다.
  16. 완화군 이선의 생모이나, 아들인 완화군은 어린 나이에 요절했다.
  17. 의친왕 이강의 생모이다. 생몰년도가 정확하지 않으나 궁인으로 있다가 아들 의친왕이 10살 때 사망했다고 전해지며, 1906년(광무10년)에 귀인으로 봉작되었다.
  18. 덕혜옹주의 생모이다.
  19. 을미사변 이후 새 왕비로 간택되었으나, 춘생문 사건으로 입궁이 무마되었다. 1917년 일제의 트집으로 입궁하여 당호를 받기는 하였으나, 고종을 보지도 못한 채 궁 구석의 작은 방에서 살아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