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광역행정구역 | |||||||
직할시 | 평양직할시 | ||||||
특별시 | 남포특별시 | 라선특별시 | |||||
특별구 | 신의주특별행정구 | 금강산국제관광특별구 | |||||
도 | 평안남도 | 평안북도 | 자강도 | ||||
함경남도 | 함경북도 | 양강도 | |||||
황해남도 | 황해북도 | 강원도 |
남포특별시 | ||||||||||
구역 | 와우도구역 | 항구구역 | ||||||||
군 | 강서군 | 대안군 | 온천군 | 룡강군 | 천리마군 |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南浦特別市 / Namp'o Special City
남포특별시 南浦特別市 / Namp'o Special City | |
국가 | 북한 |
면적 | 829㎢ |
행정구역 | 2구역 5군 |
시간대 | UTC:8:30 |
1 개요
북한 서부에 있는 항구도시. 인구는 2008년 기준 약 98만 명. 최근에는 114만 명이라는 통계도 눈에 띄는 편.##
2 역사
고려 때부터 삼화현(三和縣)이라 불렸다. 대한제국 시기 개항장으로 지정되면서 삼화부(三和府)로 승격되었다가 1910년 일제강점기가 되면서 진남포부(鎭南浦府)로 개칭되었다. 1914년 개항장 외곽 지역(삼화면 등)을 용강군에 넘겨주었다.
8.15 광복 이후 북한 치하에서도 1951년까지는 진남포라고 불렸다. 다만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인 이북 5도 체제 하에서는 여전히 '진남포시'이다.관련자료
본래 대동강 하구의 작은 어촌이었으나, 진남포의 개항 이후 철도가 깔리고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강점기 시절, 평양의 부속 항구로써 그 무역량은 부산부와 인천부에 이은 전국 3위의 거대 항구였다고 한다. 대동강 하구에 면한 지리적 조건은 유리하지만 조수간만(潮水干滿)의 차가 커서 선박의 출입은 불편하다.
현재도 북한 무역의 대부분 지분을 차지하고 있는 주요 도시. 북쪽으로는 평양직할시와 인접하여 평양남포 고속도로로 이어져 있다. 수도를 관통하는 강의 하구에 있어 수도의 외항 역할을 한다는 점이나 엄청난 조수간만의 차이 때문에 갑문식 독을 설치했다는 점, 무엇보다 변동이 있긴 하지만 광역행정구역으로 분리되기도 했다는 점 등이 남한의 인천광역시와 비슷하다.인천광역시 북한버전 이래저래 남한의 인천과 유사한 모양새. 그리고 부산광역시에는 남포동이란 동네도 있다.
1979년 12월에 남포시가 대안시, 룡강군과 함께 직할시(평양과 동급)가 되었으며 남포시는 남포구역으로 개편하였다. 1983년에는 남포구역이 항구 구역과 와우도구역으로 개편했으며 대안시는 대안구역, 천리마구역, 강서구역으로 개편하였다. 1988년 7월 서해갑문의 남단 지역이 은률군에서 편입되었다.
특급시 시절
파일:ByeGmZe.gif
특별시 승격 후 주변 지역을 편입한 모습 (출처:두산백과)
2004년에 평안남도에 귀속되면서 남포특급시로 대안구역, 천리마구역, 강서구역은 군으로 개편하였으나[1], 항구구역과 와우도구역은 폐지되었다. 하지만 2010년 라선과 함께 특별시로 승격된 이후 다시 인근의 강서군, 대안군, 룡강군, 천리마군, 온천군을 하위 군으로 두게 되었다.
이런식으로 행정구역 개편이 잦아서 대체 어디까지가 남포인지, 몇 명이 이 동네에 사는지 자료마다 다르다.(...) 두산백과에서는 98만 명, Wikipedia에서는 45만 5천 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서는 86만 명, 통일부는 약 98만 명을 제시하고 있다. 통일부 통계는 남포에 편입된 강서군, 대안군, 룡강군, 천리마군, 온천군의 인구가 포함 안 돼 있어 37만 명으로 적혀있지만, 해당 인구를 전부 더하면 98만 명이다. 함흥시보다도 많은 수치. 그냥 인천광역시처럼 주변 지역을 다 흡수시키면 된다. 인천광역시 북한버전2
3 경제
한국과의 합작기업, 평화자동차에서는 승용차도 생산하고 있다.
파일:/image/001/2012/02/10/PYH2011022108930001300 P2.jpg
부동항으로 분류되었지만 지구온난화의 여파로 결빙횟수가 늘고 있다. 1996년부터 2013년 초까지 17번의 겨울에서 남포항이 결빙되지 않은 것은 2번 뿐이고, 특히 2008년 말부터 2013년 초까지는 연속 5년째 결빙되고 있는 중인데다 평균 결빙일수도 50일에 달하고 있어 부동항 지위를 상실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위의 위성사진은 2012년 초의 모습.
4 북한 기준 행정구역
남포특별시 | ||||||||||
구역 | 와우도구역 | 항구구역 | ||||||||
군 | 강서군 | 대안군 | 온천군 | 룡강군 | 천리마군 |
2개의 구역과 폭풍병합을 통해 편입한 이웃 시,군들을
산하에 두고있다.
5 통일 이후 전망
통일 이후에는 한창 경제 붐이 일어날 평양과 (남포 자신을 포함한) 그 위성도시들의 외항으로서 상당한 주가를 달릴 것이다. 물론, 서해안 항구로서의 역할은 인천 등의 수도권 항구와 목포 등의 서남권 항구들에게 밀리겠지만, 굳이 인천에다가 짐을 싣고 평양으로 옮길 일이 없는 이상 자체적인 경쟁력은 보유한 것으로 보는 게 맞다. 평양과의 접근성 때문에 평양에서 사업을 하거나 평양에 살고 싶기는 해도 당장 여건이 되지 않는 주민들에게는 이주희망지역 1순위가 될 것이고 평양순안국제공항의 지형적 제한성때문에 새로운 국제공항부지 선정지로도 입지가 탄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아니라 물류업으로 개성특급시와 사리원과 더불어 유력한 후보지로 각광받을 가능성도 있다.
6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평안남도의 하위행정구역 (이북5도위원회) | |||||
시 | 평양시 | 진남포시 | |||
군 | 대동군 | 순천군 | 맹산군 | 양덕군 | |
성천군 | 강동군 | 중화군 | 용강군 | ||
강서군 | 평원군 | 안주군 | 개천군 | ||
덕천군 | 영원군 |
鎭南浦市 / Jinnampo City
진남포시 鎭南浦市 / Jinnampo City | |
국가 | 대한민국 |
면적 | 829㎢[2] |
행정구역 | 7동 21리[3] |
시간대 | UTC+9:00 |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여기도 일본식 지명이 있다
행정동 | 법정동·리 |
대두동 | 대두리(大頭里) |
도학동 | 도학리(島鶴里)·지울리(智蔚里)·초유리(抄鍮里)·한학리(寒鶴里) |
비석동 | 비석리(碑石里) |
신흥동 | 마산리(馬山里)·신흥리(新興里)·지산리(芝山里) |
억량기리동 | 고정리(高井里)·마사리(麻沙里)·억량기리(億兩機里)·해산리(海山里) |
원동 | 명협동(明峽洞)·욱동(旭洞) |
항동 | 삼화동(三和洞)·한두리(漢頭里)·항동(港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