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오패

550px
좌측부터 제환공, 송양공, 진문공, 진목공, 초장왕

1 소개

중국 춘추시대 여러 나라의 제후가 모여 동맹을 맺는 일을 회맹(會盟)이라 하며, 회맹을 주도하는 이를 일러 패자(覇者) 라 한다. 외교 승리 싸움에 진 자도 패자(敗者)라고 하는데 이는 전혀 상관 없는 동음이의어일 뿐이다.

패자라는 개념은 주나라상나라를 멸망시키고 강태공에게 관백(혹은 방백)을 제수함으로써 뭇 제후들의 우두머리로 삼음으로써 생겨난 개념이다. 그러나 춘추시대에 접어들면서 주 왕실이 혼란해지고 존왕양이가 존속되기 어려워지자 관백이라는 개념이 사실상 헤게모니를 쥔 제후를 일컫는 말이 되어버렸다. 즉, 패자란 단어는 관백, 방백과 같은 의미인 것이다. 쉽게 말해 주나라 아래에 있는 춘추시대 국가의 수많은 제후들 중 누가 짱이었느냐의 계보가 되겠다.

2 춘추 오패

일찌기 춘추시대의 패자로 평가받는 이들이 여럿 있으니 춘추오패(春秋五覇)라 함은 이 가운데 다섯 사람을 일컫는다. 굳이 다섯을 꼽는 이유는 별게 아닌 음양오행설 때문이다. 그 안에 드는지 못드는지, 자격이 어쩌니 저쩌니하며 영원히 고통받고 있는 후보자들을 우선 소개한다.

  • 환공 齊 桓公 (기원전 685 - 643, 이하 재위기간)
  • 목공 秦 穆公 (659 - 621)
  • 양공 宋 襄公 (651 - 637)
  • 문공 晉 文公 (636 - 628)
  • 장왕 楚 莊王 (614 - 591)
  • 왕 합려 吳王 闔閭 (515 - 496)
  • 오왕 부차 吳王 夫差 (496 - 473)
  • 구천 越王 勾踐 (496 - 465)

이 가운데 시대상 앞선 다섯 인물, 제 환공, 진 목공, 송 양공, 진 문공, 초 장왕을 가리키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환공, 진 문공, 초 장왕, 오왕 합려, 월왕 구천을 지적하기도 하는 등 여러 이견이 있다. 후자의 이유로는 송 양공은 '인의'에 목숨걸다 자신보다 강국이었던 초나라와의 전투에서 모든 이점을 버렸고, 진 목공은 진 문공을 키워주는 역할밖에 없었다. 혹은 진 목공은 듣보잡이었다는 등이 있다.

제환공, 진(晉)문공, 초장왕을 제외한 나머지들은 현재 학계에서 진정한 패자로 인정받고 있지는 않다. 초장왕의 경우도 역사적 중요성 때문이지, 당대부터 현대까지 오는 기준에서 보면 여러 가지 결격 사유가 있다. 그 결격 사유 중에는 무엇보다도 제후들의 회맹을 주재하는 입장에서 벗어나 주나라 왕과 동격에서 서는 '왕'을 자칭했다는 점, 초나라의 지정학적 위치 등이 포함된다.

각 사료에 나오는 오패의 구성.

사기(史記)
제환공진목공송양공진문공초장왕
사자강덕론(四子講德論)
제환공진목공진문공초장왕월왕 구천
백호통(白虎通)
제환공진목공진문공초장왕오왕 합려
한서주(漢書注)
제환공진목공송양공진문공오왕 부차
순자(荀子)
제환공진문공초장왕오왕 합려월왕 구천
사통(辭通)
장공(鄭莊公)[1]제환공진목공진문공초장왕

결국 제환공, 진문공, 초장왕의 3명은 고정으로 봐도 된다. 나머지 둘이 누구냐를 가지고 논의가 있을 뿐.

3 선정기준

이들이 후보로 거론되는 기준이란,

  1. 정사로 인정되는 사서에서 패자로서 공인된 군주.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2. 힘보다는 명분으로 외교적 강제력을 지녀야 하며 아울러 타국을 압도할 강대한 국력(군사력). 거기에 경제력과 군신(君臣)간의 신뢰와 단결력.
  3. 제후를 소집하여 회맹을 주도할 수 있는 영향력. 즉, 외교 협상 능력.
  4. 약소국을 보호하고 망한 나라는 회복시켜 줄수도 있는 능력. 다시 말해 2의 능력뿐만 아니라 관대한 통치 철학도 겸비해야 한다.
  5. 변경 야만족을 토벌, 견제하여 중원의 안전을 보장할 능력. 1에 필요한 능력 + 중원 외부 정보의 습득 및 분석 능력.

물론 이 조건을 모두 충족한다는건 쉽지 않고, 특히 5번 조건의 경우 중원(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한 당시의 중국에서는 장강(양자강)유역의 오, 월나라가 사실상 변경에 치우친 비중원계 이민족국가로 취급하던 시각이 남아있어, 중원의 패자로 인정하기에는 심각한 결격 사유일 수도 있다. 오왕 합려, 부차와 월왕 구천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이 견해를 반영한 것이다. 게다가 동시에 최후도 좋은 사람이 드물다.

일단 가장 중요한 부분은 1번 항목인데 어떤 조건을 내건다 하더라도 오패중에 제환공, 진晉문공, 초장왕은 단 한번도 빠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제환공과 진문공은 정사로 인정받는 중국 역사서에서 모두 패자로 인정받았으며, 초장왕은 오직 한서에서만 누락되어 있다.[2] 이는 유방과 맞선 항우의 출신이 어디인지 생각해보면 다분히 의도적임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그렇기 때문에 이 세명의 군주를 제외한 나머지 군주들은 사실상 패자라기 보다는 소패자, 혹은 준패자라고 칭하기도 한다.

또한 방백에 위치에 오른 군주들은 주나라 창건이래 후작 이상이었던 점도 고려해 봄직하다. 진晉과 진秦의 대결에서 진秦이 마지막으로 승리를 거두었을 때, 진秦 목공은 주나라에서 진후(秦侯)자체를 후작으로 높이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 학계에서는 이를 두고 목공이나 장왕의 패업보다 한수 아래로 두는 시각이 많다. 물론 초나라는 자작위에 있었지만 그건 명목상의 지위고 실제로는 다른 제후국조차도 초성왕 이후부터는 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물론 주나라에서는 전국시대 이전까지는 초자(즉 자작)라고 칭하기는 했으나 그때의 주나라가 어떤 꼴이었는지 생각해 보면 무시해도 좋을 듯.[3]

사실 오패라는 개념이 '춘추 시대 다섯 패자가 있었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은 심각한 착각이다. 그보다는 오히려 그 시대의 하고 많은 패자들 중에 굳이 다섯을 골라낸 '관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념의 기반은 다름아닌 한나라 시대부터 유행한 음양오행설이며, 따라서 춘추 5패라는 것도 역사학적으로는 별 의미가 없다. 실제 춘추시대는 전반부를 제외하면 거의 진(晉)과 초(楚)의 대결이나 다름없다.

실제로 진나라가 진문공 이후로 방백 칭호를 대대로 계승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자면 오패는 훨씬 넘는다. 그 이외에도 여러 제후들이 각각의 지역을 제패하면서 스스로 패자라 일컫기도 했었기 때문에 진나라와 비견할만한 국력을 지닌 나라들의 군후들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헤아리기 어렵다.

4 패자들의 말년

장량항우에게 "삼황오제, 춘추오패, 전국 9왕 같은 것에서 몇개 골라서 칭호를 만들어 보십쇼"라고 하여 패왕이란 칭호가 유래되었는데, 범증은 이 때 이들의 최후가 대부분 좋지 않았다는 것을 이유로 반대하였다.

예를 들어,

  • 제 환공 = 포숙아와 관중이 그보다 일찍 죽었다. 특히 관중이 죽자 관중이 중용하지 말라고 했던 이들을 모조리 중용했다.[4] 결국 이들 때문에 반란과 왕위다툼이 벌어지면서 감금 후 돌보지 않아 굶어죽었다. 사후에도 내전에 휘말린 자식과 신하들이 오랫동안 시체를 거두지 않아 시체에서 구더기가 들끓을 정도로가 되었다. 관중과 함께한 명군으로서의 긴 세월이 무색할 정도로 이토록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이유는 신하를 믿고 대범하게 맡길 줄 아는 사람이었으나, 자기 절제가 약해 자신을 제어해주는 사람이 없자 무너져 버렸다는데 있다. 이후 제나라는 패권국의 지위를 내려놓고 약체화 되기 시작한다. 강대국 중 하나 정도의 위치는 유지하지만, 전국시대 초기인 기원전 386년에 이르면 전씨에게 나라 자체를 찬탈당하면서 태공망의 강제(姜齊)는 멸망하고 만다.
  • 송 양공 = 완벽한 패자가 되기 위해서는 초나라와 결전을 벌여야 했다. 그러기 위해서 신하들의 반대도 무릅쓰고 군사를 이끌고 나온 주제에 초나라가 강을 건너고 있는데도, 건너와서 진을 치고 있는데도 "페어 플레이"를 위해 그대로 두었다. 이겼으면 또 모르는데 군대가 대패했음은 물론이고 자기 또한 크게 부상을 당해 결국 그 때문에 얼마 못가 죽었다. 이 병크송양지인(宋襄之仁)이라는 고사성어를 만들 정도로 엄청나게 까였다. 공자는 이 일을 두고 실드쳐주려 했지만 반대로 한비자 등의 법가 진영에서 맹비판했고, 까일만도 하다. 심지어는 모택동도 깠다
  • 진(秦) 목공 = 재위 38년째인 69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전설에 따르면 딸과 사위인 농옥과 소사(벌을 받고 내려온 신선이었다고 함)가 하늘로 올라가자 신선술을 너무 연마하다가 하늘나라로 올라가는 꿈을 꾼 직후 오한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문제는 그가 죽고 나서 그의 아들인 진 강공이 서융西戎의 풍습으로 무려 177명의 산 사람을 같이 순장했다는 것. 덕이 높아 "삼량三良"이라 불리었는 자차씨의 세 아들 엄식,중행,겸호도 이 때 같이 순장되어 더욱 원성이 높았다. 심지어 춘추좌씨전을 쓴 좌구명은 순장 때문에 목공이 진정한 패자가 될 수 없었다고 평했고, 사기에도 이 기록이 실려 있다.[5]
  • 오왕 합려 = 월과의 전쟁에서 부상을 입고 그 상처가 도져 죽고 만다. 하필이면 그 전쟁이 월왕 윤상이 붕어한 시점이라 상중에 전쟁을 일으킨 거라서 더욱 욕을 먹었다.[6]
  • 오왕 부차 = 구천을 굴복시켜 복수를 달성했으나, 범려서시를 이용한 미인계에 넘어가 결국 구천에게 역관광 당하고 나라도 망한다.
  • 월왕 구천 = 부차에게 복수하는데는 성공했으나 범려는 그 직후 (왕의 관상은) "고통은 함께 나눌 수 있어도 성공은 나눌 수 없는 자"라고 평하고는 나라로 가버렸고, 그 예언 그대로 그를 따르던 문종 등 많은 공신들이 팽 당했다. 그런 것이 원인이 되었는지 그가 죽은 직후 월은 쇠퇴하기 시작한다.

반면,

  • 초 장왕 = 즉위 초반 수년간 마구 놀며 암군으로 행세하다가 어느 순간 급각성. [7] 또한 같은 성씨에서 나온 귀족가문인 투씨 집안을 정리하였기 때문에 그 아들인 초공왕때까지 초나라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심지어 초 장왕의 후대 왕인 초 성왕이 진정한 춘추 5패에 걸맞지 않느냐는 의견까지도 있다. [ * 출처 : 이중톈 중국사 05 ]아내 초희(번희)의 현명한 내조도 큰 도움이 되었다. 매우 성공적인 군주.
  • 진(晉) 문공 = 가장 성공적인 패자. 진나라 내부의 왕위다툼을 피해 외국으로 망명하여 천하 각국을 돌아다녔고, 그러던 중 제나라에 머무는 동안 제환공의 몰락을 지켜보았기에 제나라의 몰락이 군위계승 문제와 아첨하는 신하들 때문임을 알고 죽기 전에 미리 패업을 계승하는데 온 힘을 기울였다. 이후 진 목공이 그를 옹립하여 제후의 위에 앉혀주었고, 그 이후로 눈부신 발전을 통해 패왕의 칭호를 얻어낼 정도로 성장한다. 정작 자신은 패자의 지위를 5년여밖에 누리지 못하나, 그 이후로 진나라는 약 150년간 백업을 계승한다.

특히 장왕이 말년이 좋았다는 점 때문인지 결국 항우는 범증 말을 씹고 패왕을 자처한다. 허나 결국 항우는 망했다.

5 참조 항목

방백
전국칠웅
준패자
춘추시대

  1. 정나라의 3대 군주. 43년간 재위했다. 주나라가 환왕 때에 이르러 힘을 잃은 시기에 대두하여, 환왕을 격파하고 제후들의 맹주인 '패후'를 처음으로 자칭하였다. 본 문서에서 꼽고 있는 훗날의 후보자들이 가졌던 세력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최초로 패를 칭했다는 점에서 춘추오패 중 한 사람으로 꼽히기도 하는 것이다.
  2. 심지어 <<맹자>>에도 제환공과 진晉문공의 이야기가 나온다.
  3. 마찬가지로 월나라와 오나라도 회맹에 갔을때 주나라 왕사王士가 참석한 자리에서 월자와 오자로 칭해졌으나 각자의 나라로 돌아갔을 때는 칭왕하는 국가였다. 월왕 구천이 오나라를 멸망시킨 이후에 주나라 왕실로부터 공식적으로 방백의 칭호를 받았음에도 오월지방에서는 칭왕을 유지하였다.
  4. 물론 이전에도 그들은 관직에 있었으나 관중의 견제로 중용되진 못했다.
  5. 이 부분에 대해서 반박하는 부분도 있는데 남송 때의 명사인 소식(소동파)은 삼량이 순장을 당한것이 아니라 자원한게 아니냐는 주장을 했었다. '목공은의'라는 말처럼 남에게 은혜를 종종입힌 목공의 덕을 갚고자 전횡의 고사를 인용한 것이 그것.
  6. 하지만 합려의 바로 전왕도 초 평왕이 죽고 난 다음에 공격했다.
  7. 이때 다음과 같은 일화가 유명하다. 어느날 신하 하나가 찾아와서 초 장왕에게 이야기를 하기를, '새 한 마리가 언덕에 앉아 있는데, 삼년동안 단 한 번도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았습니다. 이 새는 어떤 새입니까?' 그러자 장왕이 대답하기를, '한 번 날면 하늘 높이 날아오를 것이요, 한 번 울면 사람들을 놀라게 만들 것이다.' 여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삼년불비우불명三年不飛又不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