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티넨탈 항공

주의. 폐지된 구간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이미 폐지되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컨티넨탈 항공(Continental Airlines)[1]
IATA
CO
ICAO
COA
BCC[2]
24[3]
항공사 호출 부호
CONTINENTAL
설립년도1934년
소멸년도2011년 11월 30일[4]
허브공항클리블랜드 홉킨스 국제공항
휴스턴 조지 부시 인터컨티넨털 공항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
괌 국제공항
자회사컨티넨탈 익스프레스
컨티넨탈 미크로네시아
컨티넨탈 커넥션
보유항공기수348 + 92 (자회사 항공기 제외)
취항지수140 (자회사 / 코드쉐어 운항 제외)
항공동맹윙스 (1999-2004)
스카이팀 (2004-2009)
스타얼라이언스 (2009-2011)


컨티넨탈 항공의 보잉 787-8. 주문한 상태에서 합병되어 버려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베이퍼웨어 개새끼


컨티넨탈 항공의 보잉 747-100.

1 개요

미국의 항공사. 그리고 개막장 유나이티드 항공의 최대의 희생양.

1934년 설립하여, 전성기인 1990년대에는 미국 내에서도 상당한 레거시 항공사로 성장하였다. 주 운항은 국내선 위주였으며, 보잉 737보잉 757을 주로 굴렸다.
하지만 2001년 발생한 9.11 테러와 기타 실속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됨에 따라 항공산업이 크게 위축되자, 실속을 위시로 하는 트렌드에 따라 2011년 유나이티드 항공제물로 바쳐졌합병되었다.

2 역사

2.1 창립과 발전

1934년 텍사스에서 창립하여 그해 7월 15일 첫 운항을 시작했다.
창립 당시의 이름은 바니스피드 항공. 창립자 월터 E. 바니[5]의 이름을 땄다. 1937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 미 남서부에서 우편 및 승객 운송을 시작하였다.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 남서부 뉴멕시코 주와 텍사스 주의 짱을 먹었다. 주 업무는 승객 및 우편 운송이었다.

1959년, 보잉 707을 도입하였고 1966년 DC-9를, 1970년 보잉 747을 도입하면서 성장가도를 달렸다.

1963년 로스앤젤레스로 본사를 이주하였고,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 수송에도 참여하였다. 이후 1982년 휴스턴으로 이전하게 된다.

Continental%20Airlines%20737-200.jpg
대우그룹에 인수되었었다 카더라[6]

1985년에는 보잉 737을 도입했는데, 상당히 늦은 도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플래그쉽 모델을 먹었다. 컨티넨탈 항공 소멸 당시의 보잉 737은 232대를 굴리고 있었고, 67대가 주문 중이었다. 소멸 당시까지 굴려왔던 보잉 737은 총 424대(...) 천조국의 기상 근데 그 정도도 사우스웨스트 항공에서 굴리는 보잉 737들의 절반도 안 된다는 게 함정... 미친

2.2 시련

1978년, 항덕에게는 천하의 개쌍놈 급인 항공 자유화 정책이 도입되었다. 이후 실적이 악화되었다. 1981년 컨티넨탈 항공은 1억 달러의 적자를 보았으며, 그해 11월 기업사냥꾼 프랭크 로렌조에게 인수되었다. 1982년 텍사스 국제항공과 강제합병[7]되어 휴스턴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이어 계속된 경영악화로 1983년 프랭크 로렌조는 파산신청을 한 후 직원을 전원 해고하고, 임금을 대폭 삭감한 고용조건을 받아들인 직원만 재고용한다. 상당히 거친 방법인데, 이 방법은 이후 기업 재건 전략의 하나로써 주목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직원들의 반발을 샀다. 그래도 효과는 있었는지 1986년 완전히 회생하였다.

1987년, 미국 내 저가 항공사 몇몇을 합병하여 미국에서 3번째로 큰 항공사가 되었다. 하지만 무리한 인수합병으로 경영상태가 좀처럼 호전되지 않았다. 1991년, 여기에 걸프전이 간당간당했던 컨티넨탈 항공의 재정에 직격타를 날려버렸다. 1991년 자회사였던 컨티넨탈 익스프레스에서 사고가 일어나자, 컨티넨탈 항공은 다시 파산 신청을 하였고, 여러 가지 해결책을 모색했지만 1994년까지 경영진이 8번이나 교체되는 와중에도 회사는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8] 1994년 당시 컨티넨탈 항공의 주가는 3달러 25센트까지 하락하였다.

틀렸어 이제 꿈이고 희망이고 없어 상황이 된 컨티넨탈 항공. 경영진은 마지막 회생을 위해 고든 베슨이라는 전문경영인을 영입한다. 그리고 이분은 컨티넨탈의 영웅이 되었다.

2.3 재건

1994년 2월 고든 베슨이 사장 겸 COO에 부임한다. 처음에는 부진했지만 그해 12월 CEO에 부임하면서 여러 가지 개혁에 시동을 걸기 시작하였다.
이 때 그가 시작한 계획은 'Go-Foward' 계획이라 명명되었으며, 이 계획에서는 4가지 방침을 결정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1. Fly to win -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제품을 만듦
2. Fund to Future - 비용을 제어함으로써 이익을 높임
3. Make Reliability a Reality -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기
4. Working Together - 직원을 소중히 취급하기

먼저 고든 베슨은 회사의 재무구조를 개편시켰다. 투자액의 행방을 알 수 없었던 기존 시스템을 뜯어고쳤으며, 계약 중이던 A300의 주문을 취소시켰다. 노선을 개편시켜 수익성이 적은 노선에 대한 리서치를 하였다.
이후 도입한 것은 정시도착 보너스였는데, 1995년 미국 운수부가 발표하는 월별 정시 도착률에서 항공사가 5위 안에 들어갔을 때 전 직원에게 65달러의 보너스를 지급한다는 게 주 골자였다.[9] 이 정책은 직원들의 사기진작과 함께 상당한 성공을 거두어서, 1995년 2월부터 순위권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 1996년1997년 약간의 변경이 있었다.[10]

이로 인한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났는데, 1995년 1월 컨티넨탈 항공의 주가가 6달러 50센트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47달러 50센트를 기록했는데, 거의 8배에 달하는 성장을 한 것이다.

1996년에는 항공기 소음규제가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3년간 항공기의 60%를 신기체로 교체하였다. 1999년 컨티넨탈 항공의 항공기 평균 기령은 7.4년이었으며, 9.11 테러 당시 컨티넨탈 항공에서 손실을 그나마 적게 내는 데 일조했다. 혹시 예언자 아닐까

1999년에는 친하게 지내던 노스웨스트 항공 측의 권유에 따라 항공동맹 '윙스'에 가입한다. 이 항공동맹은 노스웨스트 항공, KLM, 컨티넨탈 항공 이렇게 세 회사로 이루어졌으며, 양측에서 활발한 코드쉐어가 이루어졌다. 2004년 이 항공동맹이 스카이팀에 흡수되면서 스카이팀 소속이 되었다.

2.4 멸망

노스웨스트 항공2008년 델타 항공에 흡수합병되었다. 이후 사업파트너가 없어진 컨티넨탈 항공은 유나이티드 항공과의 업무제휴를 시작하는데, 이로 인해 스카이팀을 탈퇴해 스타얼라이언스로 이적했으며, 기타 공항 터미널도 완전히 스타얼라이언스 터미널로 이동하였다.

2010년 이사회에서 유나이티드 항공과의 합병을 결정했다. 미 법무부에서 이를 승인하면서, 2010년 10월 1일 유나이티드 항공의 지주회사로 들어가면서 제물이 되었합병되었다. 사후 작업은 2011년 11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이 날 부로 완전히 소멸하였다.

다만 흔적을 찾을 수는 있는데, 유나이티드 항공 기체들의 도색이 컨티넨탈 항공 도색으로 바뀌었으며, 로고도 같게 바뀌었다. 또한 컨티넨탈 항공의 경영시스템을 적용하면서, 대등 합병이라는 것을 명시하였다.경영시스템이 적용되었다고는 하는데 아직도 그런 거 보면 유나이티드 개노답

3 특이사항

3.1 특유의 기업문화

상당히 열린 경영을 지향했고, 사내 정보를 철저히 공개하기로 유명했다. 모든 부서에 'Go-Foward' 게시판을 설치하고, 전날의 정시 도착률/탑승률/수하물 분실건수/주가정보 등을 표시하였고, 심지어 사내 큰 사건들도 여과없이 붙였다. 엘리베이터 홀 같은 대기시간이 생기는 곳에서도 전광판을 설치하여 전날 정시 도착률/탑승률/주가 정보 등을 내보냈다.
이러한 정보 공개로 컨티넨탈 항공은 상당히 투명한 경영을 할 수 있었다는 효과와 함께, 직원들의 순조로운 반응도 잘 이끌어 낼 수 있었다.[11]
부장급 이상에게는 개인 사무실이 주어지는데, 문은 항상 열린 상태로 유지하게 하였다. 이로써 경영진과 직원들 사이에서 소통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었으며, 사내 분위기도 상당히 유연해졌다고 전해진다

이거 상당히(...) 한국 기업들이 벤치마킹해야 할 것 같다. 근데 똥군기 때문에 안되지 않을까

3.2 아일랜드 호퍼

컨티넨탈 항공의 자회사 컨티넨탈 미크로네시아는 호놀룰루에서 까지 잇는 노선을 마셜 제도의 마주로와 콰잘레인,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코스라에[12], 폰페이, 추크를 경유해서 가는 노선을 굴렸다. 한때는 -마주로-호놀룰루도 있었지만 지금은 단항. 현재는 유나이티드로 계승되어 각역정차식으로 운행하고 있다. 물론 괌-호놀룰루 직항도 있다. 은 과거 컨티넨탈 항공의 허브로서, 지금은 유나이티드로 계승되었다. 보잉 737을 투입한다.
  1. 소멸 당시의 데이터
  2.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
  3. 유나이티드 항공에 먹혔다.
  4. 유나이티드 항공에 합병
  5. 이 사람은 이전에도 항공사를 세웠다가 그 회사가 보잉에 합병된 적이 있다. 그 항공사는 유나이티드 항공응?의 전신이 된다.
  6. 실제로 대우그룹 로고가 처음 나왔을 때 표절논란이 있었다.
  7. 텍사스 국제항공이 흡수된 것에 가깝다.
  8. 이 당시 컨티넨탈 항공에 대한 직원들의 불신은 상당히 대단했으며, 사내 분위기도 전체적으로 좋지 않았다. 직원들은 일이 끝나면 회사 뱃지를 즉시 떼어 버렸으며, 정시 도착률과 수화물 분실율은 안 좋은 의미로 최고점을 찍었고, 승객들은 컨티넨탈 항공을 기피하였다. 지금의 유나이티드 항공보다 더하면 더했지 못하진 않았다고 한다.
  9. 사실 이 65달러에는 고든 베슨의 약간의 계산이 있었는데, 정시 도착을 못했을 때의 손실금 500만 달러의 절반을 직원 수로 나눈 금액이 65달러였다고 한다.
  10. 1997년 바뀐 내용은 정시 도착 비율이 80%가 넘어갔을 때 순위 관계없이 무조건 65달러의 보너스를 지급하였다.
  11. 일례로 9.11 테러 직후 정리해고 관련 협상 때 노동조합이 상당히 고분고분하게 나와 순조롭게 협상할 수 있었다.
  12. 일부는 미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