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식 분진포

중일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저격총, 2식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반자동소총4식 자동소총
기관단총베식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MAB 38
권총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스기우라식 자동권총, 90식 신호권총, 94식 권총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중기관총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대전차화기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화염방사기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척탄통 및 박격포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유탄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냉병기군도일본군도
보병장비 둘러보기
WW1

연합군

동맹군
WW2
연합군
추축군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소련
프랑스
이탈리아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중화민국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왕국
스위스 스웨덴
냉전
소련
동독
중국
유고슬라비아
한국전
한국
북한
월남전
미국
월맹
현대전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중국 독일 핀란드 이스라엘
체코 스웨덴 이탈리아22px-Flag_of_India.svg.png 인도 폴란드
중화민국 터키 스위스 싱가포르 호주
스페인 노르웨이 태국 이집트 캐나다
브라질--- 북한

이 문서는 일본군이 1944년에 제식화한 분진포(로켓포)들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1 4식 7cm 분진포

파일:Attachment/70mm.jpg
파일:Attachment/70mm(2).jpg
파일:Attachment/Type 4real.jpg
四式七糎噴進砲(4식 7cm 분진포)

일본군이 1944년에 개발한 대전차 로켓으로, 보통 4식 대전차 로켓(Type 4 70 mm AT Rocket Launcher)이라고 하면 이것을 의미한다. 무게는 8kg으로 비교적 2인 운용이 가능한 정도였다.

연합군이 바주카를, 독일군이 판처슈렉을 사용할때, 전쟁 말기인 1944년이나 돼서야 개발한 물건으로 70mm 로켓을 사용하며, 바주카가 안정용 날개를 사용해서 날아갈때 분사유도식으로 회전시켜 탄도를 안정시킨 대전차 화기이다. 일단 원형은 미국의 바주카와 독일의 판처슈렉으로, 각각 노획품과 독일에서 U보트로 가져온 도면 등을 참고해서 그 개념을 따와 만들었다.

물론 여기까지만 들으면 그럴듯한 물건으로 보일지도 모르겠으나....

1.1 문제점

일단 급조품이다. 당장 병기 생산능력이 바닥으로 떨어진 시점에서 다른 총기 및 장비류의 부품을 가져다 쓴 무기였다. 게다가 원형인 바주카나 판처슈래케의 전기격발식 구조를 만드는 것도 애로사항이 꽃핀 나머지 박격포 및 척탄통에 사용하던 메카니즘을 따와야 했다. 생산 효율 문제 때문에 조준기능 역시 간략화되어 50m와 100m 가늠자로 고정되었고, 그나마 명중률도 충분치 않았으며 관통력 역시 회전안정식이라는 특성[1]에 더불어 탄약 자체의 품질 때문에 크게 부족, 90도 각도로 입사 시 최상의 조건에서 70mm를 관통할 수 있었다. 이는 유사한 구경의 타국 대전차화기 관통력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였으며[2], 셔먼을 상대할 때도 측면조차 상황에 따라서는 관통에 실패할 수 있는 수치[3]였다. 설사 관통한다 해도 승무원이 확실시 살상된다는 보장이 없다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는 걸 생각하면 사실상 없는 것보다는 조금 더 나은 수준에 불과할 가능성이 컸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일본군은 이 무기를 본토 결전용으로 분류, 해외 배치를 염두에 두지 않았는데... 그 해외의 범주에 오키나와가 포함되었다(...). 때문에 4식 대전차로켓은 그 비참한 상황 하에서 3500정씩이나 생산을 했음에도 단 한 발도 실전에서 발사되지 못했다.

2 4식 20cm 분진포

四式二十糎噴進砲(4식 20cm 분진포) 203mm 로켓포.

포탄은 지급되지만 발사대는 주어진 도면에 따라 현지에서 판재로 제작해야 했다. 일부 현지 부대가 독자적으로 3연장으로 만든 것도 있었다.

이오지마와 오키나와에 투입되어 98식 구포(혹은 98식 중박격포)와 함께 미군을 위협하였다. 그러나 50발/문밖에 제공되지 않아서 바로 고갈되어버린 것은 물론, 발사시 불꽃과 연기 때문에 위치가 발각될 위험이 커 발사되기 전에 제압 사격을 받고 파괴될 우려가 있었다.

3 4식 40cm 분진포

四式四十糎噴進砲(4식 40cm 분진포) 400mm 로켓포. 20cm 분진포와는 달리 특별 제작된 전용 나무 발사대가 필요하다. 개발 단계에서 금속 발사대가 장착되려 했지만 철이 고갈되면서 대신 현지에서 제작 가능한 나무 발사대를 이용하였다.[4]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에 발사 시 탄체가 안정적으로 날아가서 박격포보다 탄착이 정확한 장점이 있었다. 20cm 분진포와 함께 이오지마와 오키나와에 투입되었으며, 일부는 본토 결전용으로 배치되었다.
  1. 탄이 회전하면 메탈제트의 분산이 발생, 관통력이 저하한다. 일본군은 이것을 모르고 있었는데, 사실 당시엔 미국도 잘은 몰랐다.
  2. 57mm인 바주카가 M1기준 76mm, M9는 100mm를 뚫는다.
  3. 바주카의 100mm 관통력으로도 종종 5~60mm 장갑 관통에 실패할 때가 있었다. 입사각 등의 문제 때문에 관통거리가 증가하는 상황은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4. 발사대의 무게는 200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