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식 중기관총

중일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저격총, 2식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반자동소총4식 자동소총
기관단총베식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MAB 38
권총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스기우라식 자동권총, 90식 신호권총, 94식 권총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중기관총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대전차화기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화염방사기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척탄통 및 박격포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유탄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냉병기군도일본군도
보병장비 둘러보기
WW1

연합군

동맹군
WW2
연합군
추축군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소련
프랑스
이탈리아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중화민국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왕국
스위스 스웨덴
냉전
소련
동독
중국
유고슬라비아
한국전
한국
북한
월남전
미국
월맹
현대전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중국 독일 핀란드 이스라엘
체코 스웨덴 이탈리아22px-Flag_of_India.svg.png 인도 폴란드
중화민국 터키 스위스 싱가포르 호주
스페인 노르웨이 태국 이집트 캐나다
브라질--- 북한


Type_97_tank_machine_gun.jpg
Type97LMG.jpg
잡다한 것들을 들춰내면 외형은 96/99식 경기관총처럼 생겼다.

1 개요

九七式車載重機関銃(97식 차재 중기관총)

구경: 7.7mm
사용 탄약: 7.7x58mm (97[1]/99식 실포)
급탄: 20발 박스탄창
작동방식 가스압이용
전장: 1,145mm
총열 길이: 700mm
중량: 12.5kg (본체)
발사속도: 500RPM
탄속: 735m/s
유효 사거리: 540m
최대 사거리: 3,420m

일본 제국의 중기관총. 육군 소속 차량에 부착되었으며 영국의 항공기 장착형 빅커스 기관총을 97식 7.7mm 고정 기관총이라는 비슷한 제식명으로 A6M 전투기 등에 부착하여 해군이 운용한 기관총과는 연관성은 없다.

2 역사

기존의 일본 육군은 11년식 경기관총의 차량 부착형 91식 차재 경기관총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사용탄이었던 6.5x50mmSR는 탄피는 얇은데 가스압이 높은 문제로 장약량을 줄여야 기관총에서 원할하게 사용할 수 있었고, 기초가 되었던 11년식의 신뢰성도 그다지 좋지 않았다. 거기다 위력 문제까지 대두되면서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기관총 개발이 시작되었다.

3년식 기관총을 바탕으로 제작된 첫번째 시제품이 1934년 3월에 처음 등장하여 11월에 보다 향상된 2번째 시제품이 완성되었는데 부대의 실용 시험에서는 악평이 가득한지라 그리 좋지 않았다.
그래서 3번째 시제품으로는 중국쪽에서 노획한 Vz.26/30을 바탕으로 하는 시제 B호 경기관총을 개조하여 차재형 「갑호」가 나왔고, 89식 선회 기관총(11년식 경기관총의 항공기 탑재형)을 차량용으로 개발한 차재형 「을호」와 비교한 결과 갑호가 유망되면서 개량된 4번째 시제품이 1937년 7월에 완성되었다.

그런데 92식 중기관총에 사용되는 반기연식이었던 92식 실포를 쓰면 작동 불량이 일어나기가 쉬웠다. 그래서 무기연식 탄피의 97식 실포[2]를 사용하도록 변경되었고, 1938년 2월에 제식으로 채택되었다.

3 상세

주요 성능은 대체로 99식 경기관총과 유사한 편이다. ZB vz.26/30의 영향을 받은 총이라 총열 교환 방식이 비슷하지만, 좌측에는 조준경이 위치하고 있어서 총열 멈치는 우측에 있다. 또 99식은 30발 탄창을 사용하는데에 비해 이쪽은 원본처럼 20발 탄창을 사용한다. 탄창을 상부에 장착하는 방식이긴 한데 좁은 전차 내부에서 교환하기가 불편하다는 비판이 나왔지만 끝내 개선되지는 않았고, 사격시 차량 내부에 탄피가 산란하는 걸 방지하기 위해 탄피받이 자루를 장착했다.

95식 경전차 하고, 97식 경장갑차 테케, 97식 전차 등 일본 육군이 운용한 차량에 탑재되어 주력 차량용 기관총으로 사용되었다.
  1. 탄피 뒷쪽 끝부분이 반기연식이었던 92식 실포를 무기연식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동일하다. 1940년에 92식 실포의 탄피가 무기연식으로 변경, 97식과 별차이가 없어지게 되면서 92식 실포로 명칭이 바뀌었다.
  2. 탄피 뒷쪽 끝부분이 무기연식으로 된 것을 제외하고는 92식 실포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