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chinengewehr 30 |
종류 | 기관총 |
국가 | 바이마르 공화국 |
역사 |
개발자 | 루이스 슈탕게 |
개발 및 생산 | 졸로투른 군수공장, 라인메탈 슈타이어 |
개발 년도 | 1920년대 |
생산 년도 | 1931년~1934년 1934년~1944년 (MG17) |
생산 수 | 24,271정 (MG17) |
사용 년도 | 1931년~1945년 |
사용 국가 | 오스트리아 나치 독일 헝가리 일본 제국 |
사용된 전쟁 |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대전 |
파생형 | MG15, MG17 |
제원 |
구경 | 7.92mm, 8mm |
탄약 | 7.92x57mm 마우저 8x56mmR 만리허 |
급탄 | 30발 박스탄창 25발 박스탄창 (8x56mmR) 75발 드럼탄창 (MG15) 탄띠 급탄 (MG17) |
작동 방식 | 반동식 |
중량 | 9.5kg 12.4kg (MG15) 10.2kg (MG17) |
전장 | 1,162mm 1,078mm (MG15) 1,175mm (MG17) |
총열 길이 | 600mm 690mm (MG15) |
발사 속도 | 600~800RPM 1,000~1,050RPM (MG15) 1,200RPM (MG17) |
탄속 | 808m/s 755m/s (MG15) 855m/s (MG17) |
파일:Attachment/MG30.jpg
1 개요
영상은 일본 해군이 운용한 MG15 기반의 1식 선회 기관총.
바이마르 공화국(독일)에서 설계하고 스위스의 졸로투른 군수공장과 오스트리아의 슈타이어사에서 생산된 기관총.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무기와 탄약 생산에 제한을 받고있었던 독일은 조약을 피해 스위스와 오스트리아 등지에서 우회 생산하여 국방군 무장에 이용하려 했으나, MG13을 채용하면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가 대신 채용하였다.
![305px-Munster_MG15_%28dark1%29.jpg](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e/Munster_MG15_%28dark1%29.jpg/305px-Munster_MG15_%28dark1%29.jpg) | ![300px-MG_17.jpg](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e/MG_17.jpg/300px-MG_17.jpg) |
MG15 | MG17 |
독일에서 항공기 기총으로 MG15와 MG17로 사용되었고, 경기관총으로도 운용이 가능했다. 디자인은 MG34와 MG42를 개발할 때 영향을 끼쳤다.
2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나치 독일군 보병장비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Kar98k, G24(t), G33/40(t), VK, G98/40 |
반자동소총 | G41/43, VG 1-5 |
자동소총 | FG42, MKb 42, MP43, StG44 |
기관단총 | MP18 및 MP18의 파생형, MP38/40/41, EMP44, MP3008, ZK-383, MAB 38, KP/-31 |
권총 | 루거 P08, 발터 P38, 발터 PPK, 마우저 C96, 마우저 M1934, 마우저 HSc, 드라이제 M1907 |
지원화기 | 기관총 | MG07/12, MG08, MG13, MG30, MG26/30(t), MG34, MG35/36, MG37(t), MG42, MG131 |
대전차화기 | PzB 38/39, 졸로투른 S-18,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판처슈렉), 돌격권총, 흡착지뢰 |
화염방사기 | 플라멘베르퍼 35, 플라멘베르퍼 41/42 |
박격포 | 8cm 그라나트베르퍼 34, 5cm 그라나트베르퍼 36, 12cm 그라나트베르퍼 42, 10cm 네벨베르퍼 35/40 |
맨패즈 | 플리거파우스트 |
유탄 | 막대형 수류탄, GrB 39, 게베어그라나텐게레트(시스베허)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헝가리군 보병장비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95/31M 연발총, 35/43M 연발총 |
기관단총 | 39/43M 국왕 기관단총, MP35, MP40 |
권총 | 12/19M 권총, 29/37M 권총, 발터 P38 |
지원화기 | 기관총 | 마드센 M1902, 7/31M 기관총, 31M 기관총, MG34, MG42, MG131 |
대전차화기 | 36M 대전차 소총, 43/44M 휴대용 대전차포, 판처파우스트 |
박격포 | 39M 5cm 척탄통, 36/39M 8cm 박격포, 40M 10.5cm 박격포, 43M 12cm 박격포 |
중일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저격총, 2식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
반자동소총 | 4식 자동소총 |
기관단총 | 베식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MAB 38 |
권총 |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스기우라식 자동권총, 90식 신호권총, 94식 권총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
중기관총 | 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
대전차화기 | 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
화염방사기 | 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
척탄통 및 박격포 |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
유탄 | 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
냉병기 | 군도 | 일본군도 |